View : 1166 Download: 0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에 대한 신문 기사 분석

Title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에 대한 신문 기사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Filicide Suicide Cases
Authors
김유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OECD 국가 중 12년 연속 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에서는 부모 또는 보호자가 어린 연령대의 자녀뿐만 아니라 성인자녀를 살해한 후 자살을 하는 사건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여러 언론에서는 이 사건을 ‘일가족 자살’, ‘가족 동반 자살’이라 보도해왔고, 최근 이러한 사건들이 동반을 수반한 개념의 자살인지에 대한 논의와 정확한 현상 이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의 현황과 신문 기사의 프레임을 확인하고, 사건 발생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측면의 실천적, 정책적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자료는 200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에 해당하는 총 161건의 신문 기사를 활용했다. 내용 분석에 따른 양적 연구와 프레임 분석은 3인의 코더가 기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 ‘단어’, ‘구문’, ‘문장’, ‘은유’ 등을 코딩, 정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해당 내용은 관련 분야 전문가인 사회복지학 교수, 기자를 통해 검증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 중 먼저 양적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의 연도별 현황으로는 피해자녀 수가 평균 22.4명(10년간 기준)으로 매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유형에 따른 현황으로는 모-자녀 유형이 점차 감소 추세에 있고, 비교적 최근에 들어 부-자녀 유형이 모-자녀 유형 보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자살로 사망한 가해자의 수보다 살해된 피해자녀 수가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라 여성이 남성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자녀를 사망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해자가 남성일 경우 여성과 달리 배우자나 함께 동거하고 있는 가족까지 살해하는 비중이 69.5%로 분석되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어린 연령대의 피해자녀일수록 모-자녀 유형이, 피해자녀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부-자녀 유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건 발생의 원인은 경제문제, 정신적·정신과적 문제 등이 주된 원인으로 나타났다. 가해자의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의 경우 1순위 경제문제, 2순위 가정문제로 여성은 1순위 정신적·정신과적 문제, 2순위 경제문제 순으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40대 ~ 60대 남성이 동일 연령 여성에 비해 가정문제가 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는 남성에 비해 전체 연령대에서 정신적·정신과적 문제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살해된 피해자녀 수에 따른 가해자의 범행 원인을 살펴본 결과 2명 이상일 경우는 앞서 제시한 범행의 원인과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살해된 피해자녀 수가 1명일 경우에는 자녀 양육·돌봄 부담이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 범행에 활용된 수단 및 방법은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질식사로 확인되었고, 가해자의 연령과 피해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추락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해자가 남성일 경우 여성에 비해 둔기·예기 등의 폭력적인 도구를 활용하는 정도가 7.3%p(26.4%p>3.6%p)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가해자가 배우자 또는 동거인을 살해했을 경우에도 둔기·예기 등의 폭력적인 도구를 사용하거나, 익사와 같이 방어의 가능성이 낮은 방법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프레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 측면으로는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 보도가 대다수 편향된 정보원의 보고나 인터뷰 인용을 통해 사건 전체를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사건 해결의 대안 제시보다는 사건의 특성을 강조하는 일화적 프레임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적 측면으로는 특정 가족 유형을 강조하거나, 가해자의 성별에 따라 보도 양상이 달라지는 왜곡된 가족 개념 프레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녀에게 장애 또는 기타 문제가 있는 경우, ‘장애’ 또는 ‘기타 문제’가 사건의 주된 원인이 아님에도 그 특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자녀에게 장애나 문제가 있으면 살해 후 자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거나, 자녀살해가 자녀를 위한 방법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살과 살해의 행위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범행에 활용된 수단과 방법이 동일할 경우 ‘동반’에 초점을 맞춰 ‘살해’ 행위를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의 기사에서 ‘성(性)’에 대해 강조하거나, 성과 관련된 삽화나 사진을 활용해 선정성을 더 강화시키는 행태가 발견되었다.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자녀살해 후 자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구학적 특성, 원인 등 보다 구체적인 실태 파악과 그에 따른 해결책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양적 연구뿐만 아니라 프레임 분석을 진행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통해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살해 후 자살의 발생 원인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경제문제, 정신적·정신과적 문제, 가정문제, 자녀의 양육·돌봄 부담 등 가해자 또는 피해자녀의 성별이나 연령, 특성에 따라 그 원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에 대한 세밀한 실태 조사 및 연구, 다양한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자원의 연계·제공, 사후관리 등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체계화된 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양극화 심화, 돌봄·부양에 대한 부담, 이혼·별거로 발생하는 가족 적응력 약화 등 가족 해체의 위기를 지역사회 네트워크 및 보호체계를 통해 대응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본다. 둘째, 피해자녀의 보호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 결과 보호의무가 있는 가해자들이 남겨질 자녀에 대한 걱정으로 자녀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살해하려고 하거나, 인지·판단 능력이 부족한 미성년자나 성인자녀에게 자살을 종용하는 등의 폭력을 행사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어린이재단의 아동폭력예방 교육에 부모 또는 성인이 자살을 종용할 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설하거나, 한국자살예방협회와 중앙자살예방센터가 개발한 게이트키퍼 교육을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론 보도 시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의 원인을 자녀의 문제행동이나 신체적, 정신적인 장애를 지닌 자녀에게 있다는 식의 프레임은 지양하고, 피해를 방지하는 사회구조적인 해결 방안이나 대책에 대해 집중 보도하도록 권고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자녀살해 후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자녀살해 후 자살은 극단적인 아동학대이자 가정폭력이고 범법행위라 할 수 있다. 언론에서는 본 사건을 ‘동반 자살’, ‘가족 자살’이 아닌 ‘자녀살해 후 자살’로 지칭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의 해결 방법이 단순히 가해자에 대한 비난, 처벌 강화에만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사건의 발생 원인이나 배경 등을 파악하려는 노력과 그에 따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며, 언론은 범행 방법 및 수단, 가해자 또는 피해자녀의 신변을 구체적으로 보도하기 보다는 대책 마련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줘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과 함의를 통해 정신건강 영역의 전문가, 공중, 그리고 정책 입안자가 자녀살해 후 자살 사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다각적인 대책 마련에 관심을 갖길 기대한다. 주제어: 자살, 자녀살해 후 자살, 가족살해 후 자살, 아동학대 사망, 신문 기사 분석;South Korea has recorded the highest number of suicides for 12 consecutive years among OECD countries where there have been cases of suicide after killing adult as well as the children of young ages. Several media have named these cases as ‘murder suicide’ or ‘family joint suicide’ and thus, it has been an issue whether these cases should be regarded as suicide of the concept accompanied by joint or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accurat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filicide suicide cases and frame of newspaper articles by analyzing the content,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 in various aspects to prevent inci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e of 161 newspaper 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filicide suicide' cases from January 1, 2006 to December 31, 2016. Quantitative research and frame analysis based on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three coders based on data coded from repeatedly appearing in the article such as 'word', 'syntax', 'sentence', and 'metaphor'. By using this data, we derived formal and aspectal frames, and the contents were verified through a professor of social welfare and a journalist who is a related field expert. Using the summarized data, we derived formal and contextual frames using organized data and the contents were verified through a professor of social welfare and a journalist who are the experts in related fields. Of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be first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ffected children was found to be 22.4(based on 10 years standard) according to the annual status of filicide suicide cases. Depending on the family type, the mother – child type is gradually decreasing while the father-child type is increasing more than the mother – child typ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der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it appears to be the number of children who were killed by their parents was 1.3 times higher than that of offenders who died of suicide, and mother of child killed more children than that of father. In the case when offender was a men, the proportion of killing the spouse or family was analyzed as 69.5%. By the age group accordance, the mother-child type and father-type child type were found to increase, respectively. The more the children of the younger age are affected, the more the parent - child type increases. Third, the causes of the incidents were economic problems caused by debt and hardships of life, followed by 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family problems, child nurture and care burden. Based on the offender’s sex, the economic problems were the major cause in men of 20’s~40’s while the major cause of incidents for women was analyzed to be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at same ag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es of the perpetrators by the number of victims, it was found that when the number of victims killed was more than two, the offender commits the crime because of the cause described earlier. However, when the number of victims is one, it is analyzed that the burden of child care is one of the major causes. Fourth, for the means and methods used in filicide suicide cases, most of the age groups were found to die from asphyxia, and the lower the age of offenders and victim children, the more likely it is to use the fall. Also, the use of violent tools of males such as blunt weapons or sharp weapons was found to be 7.3%p(26.4%p>3.6%p) time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In addition, even when the offender murdered his or her spouse, roommate or family, it appeared to use violent tools such as blunt weapons or sharp weapons, or to use a method that is less likely to defend, such as drowning. The results of the fram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ormal aspect, it was found that the filicide suicide report tends to interpret the whole incident through the reports of mostly biased informants or interview quotes. Furthermore, it was found to focus on the incidental aspect of the incident rather than the theme-centered report that can solve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incident. Second, in terms of contents, a specific family type was emphasized as a distorted family concept or the aspect of the news becam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offender. Also, if the child has a disability or other problems,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appeared even if 'disability' or 'other problem' was not the main cause of the incid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s disability could lead to filicide suicide or that a false perception could be formed that filicide is a metho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crime was reduced or sensationalism of distorting the nature of the incident was also emphasized. When the suicide and murder acts occur at the same time or when the means and methods used for the crime are the same, it was shown that the ‘killing’ is reduced with a focus on ‘accompanying.’ Also, it was found to enhance 'sensationalism' by emphasizing "sex" or using sex-related illustrations or photos in the article on filicide suicid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To prevent filicide suicide that includes both killing children and suicide, comprehension of more specific situation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uses along with the solution should be sought.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practical and policy directions for prev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frame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 of filicide suicide showed that the cause was mutual complexity according to financial problem, mental·psychological problem, family problem and child-rearing burdens combined with victim children's gender and age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rganized systems including connection·provision of resources and follow-up control that can comprehensively approach through detailed factual survey and research and various interviews with experts about filicide suicide. Especially, the family dissolution crisis such as intensified social polarization, burdens for care and support and weakened family adaptation caused by divorce and separation should be substituted through local community network and protection system.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perpetrators who had obligations to protect their children committed filicide regardless of their children's willingnes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y convinced their children to commit suicide who lack the ability to recogniz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n various programs for children such as a program for children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of children's foundation to cope with the situation that parents or adults urge them to commit suicide, or a program for school age children in gate-keeper education of national suicide prevention center. Besides, media coverage that attributes filicide suicide to the children with physical, mental disability should be avoided. Rather than emphasizing children's characteristics, the media need to make efforts to intensively report social structural solution or measures to prevent damages. Third, filicide suicide should be approached as a social problem instead of personal problem. Filicide suicide can be considered as extreme child abuse, domestic violence, and illegal act. The media need to call the case 'filicide suicide' instead of 'mass suicide' or 'family suicide'. In addition, the solution of filicide suicide shouldn't be limited within reinforcing criticism or punishment of offenders. Therefore, the efforts to understand the cause and background should be made, and the relevant measures should be taken. The media refrain from the practice to report crime methods and personal information of offenders or victims in detail. Instead, they need to satisfy people's right to know about countermeasure. Lastly, the results of this paper using newspaper articles have limit to generalize filicide suicide cases in Korea. Nevertheless, it is expected that experts on mental health field, the public and policy makers will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filicide suicide and have interest in establishing multilateral countermeasures through this paper. Key words: suicide, filicide suicide, familicide suicide, child abuse death, newspaper article analy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