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주희-
dc.contributor.author전우주-
dc.creator전우주-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19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1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3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37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83-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언론노조 산하 출판 노조 협의회에 속한 각 분회 및 지부의 조직화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출판 산업 내 노동조합 조직화가 출현하고 성공하기 위해서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동조합이 출범하기 전 출판 노동자들은 가부장적 노사관계와 저임금, 고강도 장시간 노동 등과 같은 열악한 노동조건하에 있었다. 특히 사측의 편애로 인해 노동자들은 상당히 분열되어 있었고, 사측에 대한 개별 노동자들의 대처가 있었다. 그러나 자신들의 노동조건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상태였고, 임금이나 복리후생 개선이 노조 출범의 주요 목적은 아니었다. 출판 노동자들은 자신이 속한 직장 또는 출판산업에서 오랫동안 일하기를 원했다. 이를 위해서는 노동자로서 영향력을 행사해야했고, 노동조합을 제외한 다른 대안이 없다고 판단했다. 출판 노조의 조직화는 사측으로인해 어려운 상황에 놓인 동료를 돕기 위해 서 촉발되었다. 출판 노동조합의 출범은 비공식적 소모임이 발전하면서 출범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러한 모임이 처음부터 노동운동을 지향하지 한 것은 아니었다. 소모임을 통해서 노동자들은 자연스럽게 동료와의 유대감을 쌓게 되었고, 서로의 일상과 노동조건을 공유하면서 사측의 부당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소모임을 통해서 형성된 유대감과 신뢰감은 구성원들의 단결의 공고히 하였고, 소모임 구성원들이 노동조합 준비위원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출판 노동조합의 초기 조직화 과정에는 리더십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리더는 노동조합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사람들을 설득시켰다. 반면 준비하는 과정에는 리더라 불릴만한 사람이 없었고, 모두 함께 토론하고 준비에 참여하였다. 이와 같은 리더 없는 리더십(Leaderless leadership)으로 인해 구성원들은 동일한 선상에서 수평적으로 토론할 수 있었고,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노동조합 대표권 갭을 줄일 수 있었다. 출판 노동자들 대부분이 노동운동 경험이 없었다. 때문에 언론노조나 다른 분회에서 주는 도움은 노조 출범에 필요한 법적 지식을 제공하고 권리를 찾기 위해 요구되는 각종 비용을 낮추어 노동조합 출범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또한 출판 노동자들의 직업 특수성으로 인해 동원할 수 있었던 자원이 조직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출판 노동자들은 직업 특성상 텍스트를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노동법을 쉽게 습득하였고, 각 사업장의 실정에 맞는 단체협약안을 준비할 수 있었다. 게다가 출판 노동자들은 유명한 교수, 작가, 기자들과 작업할 일이 많다. 출판 노조는 이러한 네트워크을 활용하여 노동조합 운영에 대한 조언을 얻었고, 작가들과의 친분을 이용하여 사측이 노동조합을 압박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출판 노조는 조직화 이후에 다양한 투쟁을 벌였고, 각 투쟁에서 사측의 사과 및 재발 방지를 보장 받는 등 일부 성과를 냈다. 그러나 아직 산업 차원의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성과는 미비하다. 그러나 출판 노조 출범이후 산업 내에서 출판의 ‘노동’측면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고 있으며, 노동자들이 정체성이 형성되고 강화되었다. 현재 출판노조는 산별노조로 나아가는 과도기에 있으며 그 성장을 더욱 기대해볼만 하다.;This paper is to explain what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the emergence and success of the union in the book publishing indust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Before unionizing, book publishing workers were under poor working conditions, such as patriarchal labor relations, low wages, high intensity long working hours. Particularly, due to the favoritism of the employer, the workers were divided in their work place. However,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wage and welfare improvement was not the main objective of unionization. Book publishing workers wanted to work long in their own work place or book publishing industry. To do this, they have to exercise their influence as workers and there was no alternative but a trade union. Organizing the publishing union was triggered to help colleagues in difficult situations. The unionization of book publishing workers started with the informal gatherings, not aiming at the labor movement initially. Through the small group, the workers naturally built bonds with their peers, and they became aware of the unfairness of the employer by sharing their daily life and working conditions. These bond and trust solidified the unity of the members of small group. Also they became the union preparatory committee. The influence of leadership was important in the initial organizational process of the book publishing trade union. Leaders talked about the need for union and persuaded peopl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one to be called a leader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everyone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and prepared together. Through such leaderless-leadership, members were able to discuss on the same line in a horizontal way, and the representation gap of labor unions could be reduced by reflecting diverse opinions. Most of the publishing workers had not joined labor movement. Therefore, the help given by the media union or other branches made it easier to organize trade unions by providing the legal knowledge and lowering the costs for unionizing. In addition job specificity of book publishing workers seems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unionization. In particular, the book publishing workers have the ability to analyze and reconstruct texts, so they can easily understand labor laws and prepare collective agreements by themselves. In addition, book publishing workers frequently work with professors, writers, and journalists and have good relationships with them. The union has used these networks to obtain advices on union management and has made it difficult for the company to pressure union members. The book publishing union had various struggles after the unionization, and got some accomplishment such as the apologies of the company and the guarantee of preventing recurrence. However, the achievement is not enough because it has not yet made an industrial collective agreement. However, since the appearance of the book publishing union, there has been a debate about the 'labor' of book publishing within the industry and the identities of workers have been formed and strengthened. Currently, the book publishing union is in a transition period leading to industrial unions and its growth is more promis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4 1. 연구방법 4 2. 연구대상 5 3. 연구참여자 9 Ⅱ. 이론적 배경 11 A. 이론적 자원 11 1. 노조 수요 이론 11 2. 집합행동이론 14 B.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틀 17 1. 우리나라에서의 노동조합 조직화연구 17 2. 분석틀 22Ⅲ. 출판 노동자 조직화의 조건 25 A. 출판산업의 사업장 규모와 고용현황 25 1. 출판사업체 규모 25 2. 출판산업의 상근 노동자 현황 28 3. 출판산업의 외주 노동 활용 30 B. 출판 노동자의 노동환경 32 1. 저임금 32 2. 퇴직금 36 3. 고강도의 장시간 노동 37 4. 출판사 내부의 노사관계 39 B. 불만과 노조 도구성 45 Ⅳ. 노동조합 조직화 전개 52 A. 노동조합 조직화 계기 52 B. 노동조합 준비위원회 결성 59 1. 비공식 모임의 발전 59 2. 리더십의 영향 64 3. 내부 및 외부자원동원 70 A. 파주출판문화정보 산업단지 셔틀버스 정상화 80 B. 출판산업 내 성희롱성폭력에 대한 투쟁 82 C. 부당전보 및 부당해고에 대한 투쟁 85 D. 노동자 정체성 형성 및 강화 88 Ⅵ. 결론 92 A. 요약 및 함의 92 B. 한계 및 과제 97 참고문헌 99 부록1. 설문지 107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58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출판 노동자의 조직화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the Unionization of Book Publishing Workers-
dc.format.pagev,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