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조선시대 사호도(四皓圖) 연구

Title
조선시대 사호도(四皓圖)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ihaotu(Sihao Painting, 四皓圖) of the Joseon Dynasty
Authors
전효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애호된, 前漢시대 四皓 故事를 제재로 하는 四皓圖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문헌에 기록된 조선시대 사호도의 의미와 현전하는 사호도의 도상과 표현, 양식적 특징을 정리하고 이것이 나타내는 바에 대해 미술사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호 고사는 漢代의 역사서와 魏晉時代의 隱逸·道家 문학을 거치며 형성되었다. 고사 속 사호는 秦나라 때부터 暴政과 亂世를 피해 산으로 숨은 逸民이자 漢나라 태자를 위해서는 入朝하여 조정을 안정시킨 儒家의 문인이며, 한편으로는 修道하여 得仙한 道家의 신선이다. 현전하는 最古의 사호도인 宋代 馬遠의 <商山四皓圖>에는 사호가 세 명은 함께 모여 바둑을 두고 나머지 한 명은 지초를 캐러 가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圍棋와 採芝像 유형의 사호도는 明·淸代에도 계속해서 그려지며, 중국 문인의 일상복식, 3 對 1의 인물 배치, 深山流谷의 야외 산수 배경, 松下圍棋像은 이후 동아시아 사호도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자리한다. 사호도는 사호 고사에 담긴 은거와 입조라는 이중적 행보로 인해 도상과 무관하게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그림이었다. 마원의 <상산사호도> 題跋文은 이러한 사호도의 특징을 보여 준다. 元代부터 중국 사호도에는 圍棋像과 함께 사호의 입조와 太子羽翼의 고사를 표현한 應聘像이 등장하기도 하며, 명·청대에는 오랜 壽를 누린 문인 은거자인 사호의 脫俗的 풍모를 강조하는 도상이 추가되거나 사호도가 故事人物畵가 아닌 祝壽 의미의 神仙畵로 그려지기도 한다. 한편 麗末鮮初 시기 문인들이 지은 사호도 제시는 비록 현전하는 고려시대 사호도는 없지만,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호도가 유입 또는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알려주며, 이 시기 사호도가 사호의 은일에서 감흥과 감계를 얻는 목적으로 감상되었음을 알려 준다. 조선시대 왕실·사대부 문인들은 사호의 隱居志操와 太子羽翼의 공로 모두를 칭송하였고, 사호의 이중 행보에서 군자의 道가 있는 出處를 되새겼다. 따라서 조선시대 사호도는 유가적 進退觀의 본보기가 되는 고사 인물에게서 교훈을 얻는 그림이었고, 때로는 은거와 입조 중 하나의 측면만을 강조하여 모범을 삼는 鑑戒畵였다. 한편 일부 문인들은 安劉策이 오히려 여후의 전횡을 초래하였다고 평가하여 사호의 입조를 비난하였으며, 사호도 감상에도 그러한 인식이 나타난다. 그러나 문헌 기록의 양과 내용으로 볼 때 전체 사호 인식에서 입조를 비난하는 입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미하여, 조선시대 사호도가 사호의 出處의 부적절함과 안유책이 실책이라는 부정적인 의미에서 교훈을 얻는 감계화로 활용되는 경우는 드물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현전하는 조선시대 사호도는 중국에서는 드문 圍棋像만 등장하는 유형, 마원의 <상산사호도>에 나타나는 도상의 특징을 본받은 圍棋와 採芝像이 함께 그려진 유형, 위기상과 함께 사호 중의 한 명이 잠을 자는 睡眠像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나뉜다. 중국 사호도에는 등장하지 않는 煎茶像과 수면상은 사호의 탈속과 은일을 보다 돋보이게 하기 위해 새로이 삽입한 도상으로 보인다. 18세기 이후 서화 수집 계층의 확산 및 서울의 상업 발달과 서화 가게의 등장으로, 閭巷 市井에서의 서화 유통이 활발해진다. 사호도는 19세기 서화 시장의 변화 속에서도 큰 인기를 누려, 시정에서 제작된 대형 채색 병풍, 단폭 그림, 문자도와 공예품, 사찰 벽면 등 다양한 화면에 등장한다. 이 시기 사호도에 대한 애호는 楚漢歷史小說의 유행에 힘입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西漢演義』가 번역과 구전 유통을 통해 문인 남성 이외의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퍼져 나가면서, 사호도의 인기도 함께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사호가 등장하는 문자도와 근대기 설화병풍은 사호도의 인식과 도상에 미친 연의소설의 영향을 잘 보여 준다. 19세기 이후 사호도는 본래 사호 고사가 지니는 문인 은거자이자 신선이라는 복합적인 정체성에 祈福豪奢 풍조와 신선화의 범람이 덧입혀져, 점차 祝壽吉祥畵로 변모한다. 감계적 고사인물화에서 축수길상적인 신선화로 변화한 사호도에는 白鶴, 호리병, 壽老人 도상이 등장하며, 이러한 성격의 사호도는 20세기 초까지 실내를 장식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조선 후기에는 시정에서 유행하는 그림이 사찰 내 전각의 내·외부 벽면을 장식하는 벽화로 그려지기 시작한다. 이것은 세속화된 불교의 한 단면이자 사찰을 친근한 공간으로 변화시켜 포교 및 사찰의 재정에 도움이 되게 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된다. 사찰 벽화로 그려진 18세기 후반의 사호도는 시정에서 인기리에 판매된 고사인물도이자 시조로도 널리 불린 익숙한 화제로서 선택되었다. 반면 19세기 이후 사찰 벽화에 등장하는 사호도는 인기 있는 소설 인물 그림이자 축수를 기원하는 길상적인 신선화의 성격으로 사찰 벽면을 장식하여, 동시기 시정에서 판매한 사호도에 나타나는 변화와 동일한 양상을 보여 준다.;This study focuses on the Shihaotu(Sihao Painting, 四皓圖), the painting style based on the story of Shihao(four luminaries, 四皓) from QianHan(Former Han, 前漢) Dynasty, which remained extremely popular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t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Shihaotu seen in Joseon Dynasty documents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hihaotu’ iconography, expression, and style while affirming its significance in art history. The story of Shihao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history books of the Han(漢) Dynasty and, later, Daoist-hermit text from the Wei-Jin(魏晉) dynasties. Shihao in the story were hermits who secluded themselves in a mountain to avoid the tyranny of the Qin(秦) Dynasty, were Confucian luminaries who attended the royal court for the sake of the Han Dynasty’s crown prince to stabilize the government, and were spiritually enlightened Daoist immortals. The oldest dated Shihaotu in existence, Shangshansihaotu(The Four Luminaries of Mount Shang, 商山四皓圖) painted by Mayuan(馬遠) in the Song(宋) Dynasty, depicted three old men playing Go and the other leaving to grub up herbs. Shihaotu composition of this nature continued to emerge in the Ming-Qing(明·淸) dynasties. Further, the daily dress of Chinese writers, placement of people in 3-1 composition, tall mountains and secluded valleys as background, and the game of Go under a pine tree becam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hihaotu in East Asia. Meanwhile, the preface of Mayuan’s Shangshansihaotu indicates that Shihaotu can be interpreted in two ways, regardless of the icons in it, according to the Shihao story displaying the contradictory concepts of seclusion and attendance to the government. In Chinese Shihaotu, an icon of acceptance which describes the story of serving the crown prince and attending the royal court have appeared since the Yuan(元) Dynasty. Shihaotu from the Ming-Qing dynasties, added an icon of unworldliness representing the dual identity of hermit writer and Daoist immortal. Further, sometimes Shihaotu was drawn to depict Daoist immortals for the purpose of wishing for long life, not to depict a character in a story. Even in the absence of Shihaotu from the Goryeo Dynasty, it is believed Shihaotu existed because poems were composed under the Shihaotu theme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Writers from royal families and novels from Joseon praised both the fidelity to seclusion and attendance to the government depicted in Shihao, and made it a model of noble man’s virtue. Shihaotu in the Joseon Dynasty used it as a picture of instruction praising both seclusion and attendance at the royal court or strengthening one side of it. There was some degree of criticism of Shihao’s attendance at court, as shown in some poems on Shihao. The existing Shihaotu from the Joseon Dynasty displays the iconography of playing Go and gathering herbs, a common feature shown at Shihaotu from the Ming-Qing dynasties and the origin, Mawon’s Shangshansihaotu. It sometimes included a picture that only showed Go playing – something not common in China – an icon of a young boy preparing tea or an icon of sleeping Shihao while the three playing go. However, the icon of preparing tea and sleeping did not appear in Chinese Shihaotu. It is believed that these two images, used in Chinese art books, were drawn to emphasize unworldliness and seclusion of Shihao.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the sale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mong commoners increased due to the proliferation of luxurious trends and collecting paintings andcalligraphy, plus the development of commerce in Seoul and advent of shops that sold them. Shihaotu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actively produced thanks to thes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hihaotu in the nineteenth century appeared on various objects such as folding screens, single-panel paintings, the walls of temples, closets, pottery, and other craftworks. This popularity of Shihaotu in the era was heavily indebted to the prevalence of historical novels from the Chu-Han(楚漢) dynasties. Especially as Xihanyanyi(historical novels of the West Han Dynasty, 西漢演義) which was transmitted both orally and through translation spread to various social classes in addition to male writers, preference for the Shihaotu also gained steam. Character pictures with Shihaotu and modern period’s folding screens with paintings of fables depicting Shihao show the influence of a novel with a historical theme on the perception and iconography of Shihaotu. In the nineteenth century, Shihaotu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picture of a lucky omen for longevity as the craze for pictures of Daoist immortals and a tendency toward extravagance and blessings were added to the original identity which combined hermit writers with Daoist immortals. In the Shihaotu of those days, which had been changed into images of Daoist immortals for longevity from an instructive painting of characters in the story, icons of a crane, a gourd bottle, and a long-lived man emerged. This kind of Shihaotu was used to decorate indoors. Temp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ose topics for their murals from pictures popular with the public, interpreted as an endeavor to propagate Buddhism and increase finance of temples by changing temples into comfortable places for believers and visitors as well as indicate a secularized aspect of Buddhism. Among Shihaotu drawn on the walls of temples, those from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re believed to have been selected because they were not only popular among the public as the icon of characters in the story but also a very familiar topic of Sijo(traditional Korean poetry). Shihaotu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like others from the same period, decorated the walls of temples both as pictures of popular fictional characters and as lucky images of Daoist immortals in order to wish for a long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