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배임죄에 있어서 재산상 손해의 의미

Title
배임죄에 있어서 재산상 손해의 의미
Other Titles
The meanings of property damages of breach of trust
Authors
곽지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동범
Abstract
형법 제355조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배임죄는 개인 간, 회사로 대표되는 법인과 개인 간 또는 법인간의 거래상 발생하는 배신행위, 나아가 그에 따른 재산상 손해를 발생하게 하였다는 점에 형법적 가벌성의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재산범죄 중에서도 사법질서를 규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는 범죄이다. 원칙적으로 재산상 손해는 민사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사적자치의 원칙에 비추어 타당하며 형법적 개입은 보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민사의 형사화는 지양되어야 한다. 배임죄도 우리 형법의 다른 범죄와 마찬가지로 독일이나 일본의 영향을 받았음을 부인할 수 없으나 그 조문의 내용이 상이하여 해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목적범의 형태가 아니며 미수범을 처벌하고 있기 때문에 손해를 가한 때의 의미를 손해를 가할 위험이 있는 경우까지 포함시켜 해석하는 것은 범죄자에게 지나치게 불리한 유추해석이 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배임죄의 경우에만 다른 재산범죄와 달리 손해를 가한 때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법 해석에 있어 명확히 반영하여야 한다. 또한 상법 제622조, 제623조의 특별배임죄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의 배임죄 가중 규정으로부터 형법상 배임죄는 개인적 법익을 보호하는 재산 범죄라는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위험범으로 해석할 이유가 없다. 그동안의 배임죄의 해석론이 구성요건 해석을 통해 구체적 사례를 포섭하는 법적용이 아니라 구체적 사례에 법적용의 결과를 정당화하기 위한 해석이 되지는 않았는가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여론에 의한 현실적 필요에 의해 구성요건의 엄격한 해석을 방관한 채 손해의 개념을 확대 해석하여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을 이탈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결국 형법 제355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배임죄는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것이 분명한 경우에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 때의 손해란 침해범의 성질에 비추어 실질가치를 따져 산정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는 대상 범죄에 형법상 업무상 배임죄의 특별규정인 상법상 특별배임죄가 추가되는 것이 타당하고, 이득액뿐만 아니라 손해액 역시 가중 구성요건으로 삼는 것이 법질서 전체의 조화를 이루는 방안이라 하겠다.;The provisions of Article 355 (1) of the Criminal Act are based on the breach of the act of betrayal and property damage resulting from the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or corporations. Therefore, it is a criminal offense that is meaningful in order to regulate the judicial order among property crimes. In principle, civil remedies are appropriate for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to resolve property damages. Criminalization of civil affairs should be avoided in that criminal intervention should be supplementary. Korean criminal law has been influenced by German and Japanese law,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gal usage because the content of the text is different. Korean Penal Code is not a form of objective offenders and punish the attempt.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when the harm is done" to "when there is a risk of causing harm" can be a very unfavorable analogy to criminals. Unlike other property crimes, only the breach of trust offenders requires "when the harm is done", which should be clearly reflect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pecial Crimes in Articles 622 and 623 of the Commercial Act and the Article 3 of the breach of trust offenders in the Act of Aggravated Punishment for Specific Economic Crimes, there is no reason to interpret it as a dangerous offense even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criminal offense is a property crime protecting personal interests. It is necessary to look back whether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infidelity has been interpreted in order to justify the result of legal use in specific cases, not just the inclusion of specific cases through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al requirements. The concept of damages should not be extended by the realistic necessity of public opinion to depart from the principle of criminal justice. In the end, the breach of trust offenders prescribed in Article 355 (1) of the Criminal Act should be considered to be recognized if it is obvious that the person has been harmed. The damage should be calculated based on the actual value in view of the nature of the infringer.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add a special felony offense under the commercial law, which is a special provision of the criminal law, on the basic crime to which the Act of Aggravated Punishment for Specific Economic Crimes, and it is a proper method to harmonize the entire legal system to demand not only the benefits but dama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