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김태선-
dc.creator김태선-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14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1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5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50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6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 및 신체상이 남녀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자녀 및 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부-자녀 및 모-자녀 의사소통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신체상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의 성차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2곳의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311명의 남녀 청소년으로, 남학생 151명과 여학생 160명이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Barnes와 Olson (1985)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PACI])를 민하영(1991)이 청소년 자녀용 질문지(Adolescent Form)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신체상은 김완석(2007)의 전반적 신체 존중감 척도(korean overall body esteem scale [KOBES])를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용한 최린(2012)의 척도를 이용하여, 그리고 행복감 척도는 Hill과 Arygle (2002)의 옥스퍼드 행복검사 척도(oxford happiness inventory [OHI])를 허승연(2009)이 청소년용 질문지로 번안한 것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IBM Co., Armonk, NY) 프로그램과 AMOS 21.0 (IBM Co., Armonk, N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부스트래핑 방법 및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녀 의사소통은 전체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으나, 부-자녀 의사소통은 전체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전체 청소년은 어머니와 개방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둘째, 모-자녀 의사소통과 전체 청소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신체상은 매개적 역할을 하였으나, 부-자녀 의사소통과 전체 청소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신체상은 매개적 역할을 하지 않았다. 즉, 전체 청소년은 어머니와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할수록 신체상이 긍정적이었으며, 신체상이 긍정적일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신체상을 통해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성차가 나타나, 여자 청소년의 경우 신체상이 모-자녀 의사소통과 여자 청소년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여자 청소년은 어머니와 개방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신체상이 긍정적이었으며, 신체상이 긍정적일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신체상이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남자 청소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지 않았다. 남자 청소년은 신체상이 긍정적일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부모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 및 긍정적 신체상의 중요성을 밝혔다. 또한, 부-자녀 및 모-자녀 의사소통 및 신체상이 남녀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름을 동시에 확인하였고, 매개변인으로서의 신체상의 강력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행복감 증진을 돕기 위해 청소년의 신체상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확립 및 긍정적 인식을 향상시키고, 부모와의 관계에 관해서는 남녀 청소년 각각에게 다소 개별적인 방식으로 접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o adolescents' happiness including a mediating role of body image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happines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11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151 boys and 160 girls) who were attending 2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ou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adolescents, which included measure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PACI), body image (Korean Overall Body Esteem Scale: KOBES) and happiness (Oxford Happiness Inventory: OHI).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d effects on adolescents' happiness. Adolescents who kept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showed higher level of happiness. Second, body image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happiness. Adolescents who had open communication showed positive body image, and positive body image contributed to adolescents' happiness. However, body image didn'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happiness. Lastly,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athways. For boys, boys who had positive body image showed higher level of happiness. For girls, body image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girls' happiness. Girls who had mother-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showed positive body image, and positive body image contributed to girls' happ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the body image as a mediator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happines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athway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rol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body image in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happines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7 A. 청소년의 행복감 7 B.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행복감 9 C. 부모-자녀 의사소통, 신체상 및 청소년의 행복감 14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24 A. 연구문제 24 B. 용어정의 24 Ⅳ.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조사도구 30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32 Ⅴ. 연구결과 35 A. 예비 분석 35 B. 측정모형 분석 40 C. 구조모형 분석 41 Ⅵ. 논의 및 결론 51 참고문헌 61 부록 88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10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부-자녀 및 모-자녀 의사소통이 남녀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신체상의 매개적 역할-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Happiness :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Body Image-
dc.format.pagev,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