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무용전공이 여대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itle
무용전공이 여대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ajoring in Dance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Extroversion and Physical Self-concept
Authors
김미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외향성과 신체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 경상도 소재의 15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6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무용전공은 대학에서의 무용 전공 여부에 따라 무용전공집단과 무용비전공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무용의 유형별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무용의 종류를 발레로 제한하였으며, 무용비전공 여대생 중에서도 어린 시절 발레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정서지능은 Mayer와 Salovey(1997)의 정서지능 최근모형에 기반을 두어 문용린(1999)이 개발한 성인용 정서지능검사(Adult Emotional Quotient: AEQT)를 사용하였다. 외향성은 Costa와 McCrae(1992)가 개발하고 이경임(1995)이 번안한 5요인 성격검사(NEO-FIVE Factor Inventory: NEO-FFI)를 사용하였다. 신체적 자아개념은 Fox와 Corbin(1989)가 개발하고 유진과 소호성(1998)이 번안한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PSPP)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은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무용전공은 외향성을 매개로 하여 정서지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무용비전공 여대생보다 무용전공 여대생의 외향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외향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서지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은 신체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정서지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무용비전공 여대생보다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신체적 자아개념을 통해 정서지능은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은 외향성과 신체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정서지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무용비전공 여대생에 비해 무용전공 여대생의 외향성과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정서지능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무용전공, 외향성, 신체적 자아개념 및 정서지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정서지능을 예측하는 선행변인으로 무용전공, 외향성, 신체적 자아개념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여대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무용의 다양한 직·간접효과를 고찰함으로 국내의 무용 활성화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study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majoring in dance and its indirect effects through extroversion and physical self-concept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 total of 267 female university students(129 who are majoring in dance and 138 who are not majoring in dance) in Seoul, Gyeonggi-do and Gyeongsang-do responded to questionnaires about whether they are majoring in dance or not and their perceptions of extroversion, physical self-concep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joring in dance had no direct effect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majoring in da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xtroversi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dance showed higher extroversion, which led to a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majoring in da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physical self-concept.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dance showed more positive physical self-concept, which led to a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Lastly, majoring in da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xtroversion and physical self-concept.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dance showed higher extroversion which led to more positive physical self-concept and as they recognized more positively about their physical self-concept, it was able to predict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majoring in dance but both extroversion and physical self-concept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to expla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lso,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physical self-concept which was formed based on physical activities like dance affects emotional intellig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