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미숙-
dc.contributor.author노지환-
dc.creator노지환-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8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8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832-
dc.description.abstract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식 식생활은 주식인 밥과 함께 다양한 부식을 반찬으로 섭취할 수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발효와 저장기술 등과 같은 과학적이고 우수한 조리법이 다양하게 발전・계승되어 식문화로써의 그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서구식 식생활의 도입으로 현대 사회에서 쌀과 쌀가공식품에 대한 위상과 함께 한식 문화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의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반도의 농업과 한식문화는 쇠퇴하여 그 입지를 점차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과거로부터 이어진 우수한 음식문화의 가치와 이에 대한 자부심을 다음 세대에게로 전달하기 위해서 쌀과 한식문화에 대한 교육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쌀과 관련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나 주로 영양교육 또는 전통음식문화 교육에 포함되는 형태로 개발, 진행되고 있어 그 비중이 크지 않으며 일회성에 단기적인 내용이므로 식생활 변화에 기여하기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장기적이며 체계적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 식생활 문화를 반영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쌀의 섭취량을 증진하고 아동의 올바른 식생활 형성, 더 나아가 한식 문화에 대한 자긍심 고취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학동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로 이 때 형성된 식습관이 평생의 삶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시기에 대한 올바른 식습관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은“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식 식생활 실천을 통한 쌀 소비 증가와 아동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목표한다. 이를 위해 아동 개인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습관 형성, 가족 식사를 통한 식사예절 및 감사와 배려의 자세에 대한 인성교육, 지역사회 및 농업에 대한 이해를 통한 애향심 고취, 전통 음식 문화와 한식의 우수성에 대한 자긍심에 대한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총 10차시에 걸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교육 실정을 고려하여 학교 수업 또는 방과후 활동 시간을 통해 교육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은 교수체제설계 모형(ADDIE)에 입각하여 개발하였며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적절성과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얼마나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한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CIPP 모형을 통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ADDIE 교수 체제 개발 모형에 입각한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분석 단계, 설계 단계, 개발 단계, 실행 단계, 평가 단계를 거쳤다. 분석 단계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한 연구대상자 및 식생활 교육 요구도, 기존 식생활 교육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계 단계에서 프로그램 목표 및 세부 목표의 설정, 설계 준거의 구성, 참여 동기 유발 전략 수립, 설문지 구성이 이루어졌다. 개발 단계에서는 ‘가족’, ‘건강’, ‘배려’, ‘전통’을 핵심가치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목표와 핵심 가치를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후 실행단계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교수 학습 환경에 적용하여 시범교육을 실시하였다. 시범교육은 교육군 165명을 대상으로 수업 시간을 통해 총 3주간의 기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평가 단계에서는 교육군(165명)과 대조군(65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 각각 1회씩 실시된 설문 내용을 t-검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식생활 교육 실시 후 교육군 아동의 식생활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쌀 또는 쌀 가공 식품에 대한 섭취 빈도, 쌀 지식, 교육 내용과 쌀 조리법에 대한 이해도,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 태도・실천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대조군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결과 값을 나타내지 못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에게 적합하며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각 단계는 그 과정이 적절하게 진행되었는지를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CIPP 평가 모형을 통한 검사・평가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이 적절하게 이루어졌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 있어 시범교육을 통해 그 효과성을 입증한 바 있으나 이는 단기 교육에 불과하여 아동의 식생활 습관 전반에 걸친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일부 변화를 나타내었던 식생활 습관의 변화에 대해서도 그 효과가 추후 지속될 수 있는 지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연구를 실시하고, 교육 대상자의 인지 능력 및 학습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식생활 교육의 개발・실시를 통해 아동의 식생활 습관의 변화를 유도하며 생애 전반적인 건강과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Korean meals made with rice are nutritious because they can eat various kinds of corrosion by side dishes with stock rice. In addition, scientific and excellent recipes such as fermentation and storag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handed down in various ways, and their excellence as a food culture has been widely recognized.However, due to the adoption of western style food, the awareness of Korean food culture has tended to decrease with the status of rice and rice processed foods in modern society.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annual per capita consumption of rice is continuously decreasing, and agricultural and Korean food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is declining and its position is gradually disappearing. In this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rice and Korean culture is raised in order to convey the value and pride of excellent food culture that has passed from the past to the next generation. In this trend,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rice are conducted in Korea, but the proportion is not so large as it is mainly developed and included in nutrition education or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re short-lived in a one-off period, it is not enough to contribute to the change of di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ong-term and systematic dietary education program and to develop a dietar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Korean dietary culture that includes rice as a stock, to improve the intake of rice and to promote proper eating habits.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rice consump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aimed at children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eating habits are formed and the eating habits formed at this time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life and health of life. Therefore, correct eating habits are very important for this period. The "Food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Rice Consumption" aims at "Increasing rice consumption through the practice of Korean food with rice as a stock and forming healthy eating habits of children". To do this, we formulated a healthy and correct eating habits for the children, a manners education on the manners of the meal and manners through the family meal, appreciation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nd agriculture, pride in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Korean food excellence And is seeking education for. To do this, we formulated a healthy and correct eating habits for the children, a manners education on the manners of the meal and manners through the family meal, appreciation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nd agriculture, pride in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Korean food excellence I would like to do training on.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Rice Consumption' was developed to be able to be taught through school classes or after school activities considering 10 years' dietary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teaching system design model (ADDIE). The CIPP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dietary education programs and the effectiveness of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Development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consumption of rice based on the ADDIE teaching model development model has undergone analysis phase, design phase, development phase, implementation phase, and evaluation phase. In the analysis stage, the study subjects, the need for dietary education and the existing dietary education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we set up the program goals and detailed goals, the design criteria, the participatory motivation strategy, and the questionnaire. At the development stage, we set educational goals and core values for program development with 'family', 'health', 'consideration' and 'tradition' as core values. Based on this,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at the implementation stage was applied to the teaching -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ilot education was conducted. The pilot training was conducted for 165 weeks in the education group over a total of three weeks. In the evaluation stage, t-test was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in the education group (165 persons) and the control group (65 person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children in dietary education increased. 2) The frequency of consuming rice or rice processed food increased. 3) Knowledge of rice increased. 4) Understanding of education contents and understanding of rice recipe increased. 5) The eating attitude and practice level of rice stock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in all items. Therefore,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is study, each step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programs has undergone the inspection and evaluation process through the CIPP evaluation model in order to comprehensively verify whether the process has proceeded appropriately.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judge that program development was done properly.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rice consumption' proved its effectiveness through pilot education in program development stage, but it is only short - term education.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study did not lead to changes in the overall eating habits of the children.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as to whether the effects of dietary habits that have shown some changes can persist. I hope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research based on the 'Food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Rice Consump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In additio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develop and implement customized dietary education considering the cognitive ability and learning level of the subject. And I hope this study will also lead to changes in the eating habits of the child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overall life-style and healthy eating habits of the chi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조작적 정의 6 1.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6 2. ADDIE 교수 체제 개발 모형 6 3. CIPP의사결정 모형 7 4. 사후 평가 도구 7 Ⅱ. 이론적 배경 10 A. 식생활 교육 10 1. 식생활 교육의 개념 10 2. 식생활 교육 현황 11 B. ADDIE 교수 체제 개발 모형 16 1. 교수 체제 개발(ISD: 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 모형 16 2. 에디(ADDIE) 모형 17 C. 의사결정모형(Dscision-oriented model) 19 1. CIPP 모형 19 Ⅲ. 연구 방법 및 내용 25 A.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25 1.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모형 25 2.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27 3.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적절성 및 교육 효과성 평가 과정 43 B.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45 1. 연구 내용 45 2. 교육 효과성 평가 방법 53 C. 연구의 엄격성 64 Ⅳ. 연구 결과 65 A.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 65 1.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65 B.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의 시범교육 70 1. 시범교육의 실시 70 C.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74 1.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의 적절성 평가 74 D.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83 1.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교육 효과 분석 83 2. 교육 방법의 선호도 분석 100 3.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102 4. 가설 검증 결과 분석 104 E.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수정・보완 109 1.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수정・보완 109 Ⅴ. 결론 및 제언 110 A. 연구 결과 요약 110 B. 결론 113 C.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114 참고문헌 115 1. 국내 참고문헌 115 2. 국외 참고문헌 118 부록 1 120 부록 2 124 부록 3 136 부록 4 140 ABSTRACT 1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119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쌀 소비 촉진을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consumption of rice : For elementary school seniors-
dc.format.pageviii, 179 p.-
dc.contributor.examiner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최남순-
dc.contributor.examiner조미숙-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