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사회적 배제 경험과 감사 글쓰기 과제가 얼굴표정 해석 편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회적 배제 경험과 감사 글쓰기 과제가 얼굴표정 해석 편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and Gratitude Writing on Bias in Interpretation of the Facial Expression
Authors
김희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Social exclusion experience causes intense psychological distress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emotional, cognitive, and physical aspects. Especially, it appeared that people in the emerging adulthood stage is more vulnerable to this social exclusion experience(Hawkley, Williams, & Cacioppo, 2010). Since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 an individual may exhibit aggressive behavior or rather pro-social behavior(DeWall, Twenge, Bushman, Im, & Williams, 2010; Maner, DeWall, Baumeister, & Schaller, 2007).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which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subsequent aggressive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mediated by hostile cognitive bias(DeWall, Twenge, Gitter, & Baumeister, 2009).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gnitive interpretation bias in the task of interpreting neutral facial expressions after social exclusion experienc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positive effect of gratitude emotion induced by the performance of gratitude writing task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experience and cognitive interpretation bias. For this research, 89 adul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2(social exclusion/acceptance) X 2(gratitude writing/control) ANOVA was conducted. Using the cyberball paradigm,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social exclusion condition, and the other half to the social acceptance condition. Then, in the group divided according to each condition, it was divided again into the gratitude writing condi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 Finall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ook at the neutral facial expressions and evaluate the degree of rejection and friendliness of each facial expression. The results of the ANOVA on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in the negative interpretation(rejecting) of the neutral facial ex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gratitude writing task. Specifically, among those in control con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bias according to social exclusion manipulation showing that excluded people interpretate neutral face more rejective than accepted people. However, among those in gratitude writing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bias between excluded people and accepted peopl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gratitude writing task on the positive interpretation(friendly) of neutral facial expressions. In other words, the group performing the gratitude writing task showed a more positive interpretation of the neutral face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directly examined the process of cognitive interpretation after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through experimental task. It also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gratitude writing task to weaken the negative effects of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intervention plan that can be provided to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사회적 배제 경험은 강렬한 심리적 고통을 유발하며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으로도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성인 진입기에서 이러한 사회적 배제 경험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Hawkley, Williams, & Cacioppo, 2010). 사회적 배제 경험 이후 한 개인은 공격적 행동을 나타내기도 하고 오히려 친사회적인 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DeWall, Twenge, Bushman, Im, & Williams, 2010; Maner, DeWall, Baumeister, & Schaller, 2007). 사회적 배제와 이후의 공격적 행동 간의 관계를 밝힌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이 둘의 관계를 적대적 인지 편향이 매개한다(DeWall, Twenge, Gitter, & Baumeister,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 이후 모호한 얼굴표정을 해석하는 과제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해석 편향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감사 글쓰기 과제 수행을 통해 유발된 감사정서의 긍정적 효과가 사회적 배제 경험과 인지적 해석 편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사회적 배제/수용) X 2(감사 글쓰기 과제 수행 유/무)의 피험자 간 설계로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만18-25세의 성인남녀 89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무선 할당 방식을 통해 각 처치집단에 배정되었다. 먼저 사이버볼(cyberball)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실험 참여자들의 절반은 사회적 배제 조건에, 나머지 반은 사회적 수용 조건에 배정되었다. 이어서 각 조건에 따라 나누어진 집단 내에서 다시 감사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조건과 통제 조건으로 나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 참여자들은 모호한 얼굴표정을 보고 해당 얼굴표정이 얼마나 거부적 혹은 우호적인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모호한 얼굴표정에 대한 거부적 해석에서 사회적 배제 경험 여부와 감사 글쓰기 과제 수행 여부 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감사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지 않은 집단 내에서는 사회적 배제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거부적 해석 편향을 보였으나, 감사 글쓰기 과제를 수행한 집단 내에서는 사회적 배제 집단과 수용 집단 간 거부적 해석 편향에서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모호한 얼굴표정에 대한 우호적 해석에 대해서는 감사 글쓰기 과제 수행의 유의미한 주효과를 발견하였다. 즉 감사 글쓰기 과제를 수행한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모호한 얼굴을 더 우호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험적 과제를 통해 사회적 배제 경험 이후 나타나는 인지적 해석 과정을 직접적으로 살펴보고 사회적 배제 경험의 부정적 영향을 약화시킬 수 있는 감사 글쓰기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배제 경험을 겪은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