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김지인-
dc.creator김지인-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3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1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174-
dc.description.abstract해녀는 잠수를 통한 작업을 하면서 일생을 보내고 물질을 중심으로 형성된 독특한 문화와 생활양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해녀가 해산물 채취를 하는 과정과 전·후에 어떻게 건강관리를 하는지 알아보고자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해녀들의 건강에 대한 태도, 신념, 언어와 행동을 해녀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기술하여 있는 그대로의 건강관리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였다.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부에 위치한 지역에서 15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물질 작업과 관련하여 작업 동안과 작업 전⋅후에 어떠한 건강관련 행위를 하는지를 살펴보고 이해하기 위해 참여 관찰을 수행하였고 면대면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radley (1979, 1980)가 제시한 영역 분석, 분류 분석, 성분 분석, 주제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5가지의 문화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화적 주제인 '자신의 몸 상태에 따라 물질을 조절함'에서 해녀는 물질을 중심으로 식습관을 형성하고 저온의 해수에서 물질을 하면서 체온을 조절하였다. 물속에서는 수면까지의 거리를 가늠하여 호흡을 조절하였고 안전한 물질을 위해 연철을 알맞게 착용하고 바다 환경과 동료 해녀와의 공간을 두고 작업하는 등 자신의 상태에 따라 물질을 맞추어 나갔다. 두 번째 문화적 주제인 '물질을 위해 몸을 소중히 여기고 돌봄'에서 해녀는 수면과 영양 보충을 통해 원기를 북돋웠고, 노동의 강도를 줄이고 물질을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자신의 몸을 돌보았다. 세 번째 문화적 주제인 '마음을 평안하게 다스림'에서 해녀는 부정적인 생각과 불화를 피하며 평상심을 유지하고, 속신과 종교에 의지하며 마음을 평안하게 다스렸다. 네 번째 문화적 주제인 '증상 완화를 위해 약을 복용하고 치료를 받음'에서 해녀는 물질 전 약으로 통증을 예방하고 마음을 안정시켰으며, 지속적인 병원 방문을 통해 증상을 관리하고 심리적 위안을 받았다. 다섯 번째 문화적 주제인 '공동생활을 통해 의지하고 대처함'에서 해녀는 동료와 함께 물질하며 안전을 지키고, 일상생활에서도 물질을 중심으로 공동생활을 유지하며 동료와의 유대관계를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해녀는 오랜 기간 자신의 몸 상태에 따라 물질을 조절하면서 바다 생활에 적응해 왔으며, 지속적인 물질을 위해 스스로 몸을 돌보고 평상심을 유지하며 탐욕을 멀리하는 삶을 살아 왔다. 물질 동안의 증상 관리와 예방을 위해 약으로 조절하고 심리적 안정을 얻었으며, 동료 해녀들과의 공동체 생활 속에서 관계를 지속하며 위험 상황에 대비하고 바다에서 안전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제주 해녀의 물질을 지속하기 위한 삶에서의 건강관리 주제는 "몸과 마음에 귀 기울이고 탐욕을 다스리며 안전한 물질을 위해 조절해 나가는 삶"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녀의 건강관리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해녀들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is conducted under the research method of ethnography to understand health management of women divers who have had the routine of exhausting life under the sea for a such a long time even with various health problem. For the study, the data of 15 women divers from eastern Jeju Island are collected between the period of July 2016 and October 2016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face-to-face interview, and analyzed based on domain, taxonomic, componential and theme analysis of Spradley (1979, 1980). The cultural them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ultural theme is 'balancing diving with body condition'. Women divers develop eating habits for diving, regulate body temperature under the low temperature of seawater and control breathing while jud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and the surface. Also,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surroundings under the sea by balancing their body and understanding ocean environment and the space among the peer women divers. Second cultural theme is 'appreciating and caring body for diving'. Women divers encourage energy with sleep and nourishment and prevent skin damage by eliminating body wastes after diving. Reducing workload in their every life also helps their health management. Third cultural theme is 'finding peace of mind'. Women divers try to have some peace of mind by avoiding negative thoughts and discord and by having traditional folk beliefs and religion. Fourth cultural theme is 'using medicine and treatment for symptom relief'. Women divers relax and prevent pain with medicine before diving and have comfort from visiting hospital. Fifth cultural theme is 'Relying on and coping with community'. The women divers secure safety while diving with their peers and build a sound relationship with them as they lead the lives centering diving around.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deeply explores the culture of health care among female divers in Jeju in accordance with uniqu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beliefs and attitude of them.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fore, I suggest education and mediation program development along with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divers and care nee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질문 4 Ⅱ. 문헌고찰 5 A. 제주 해녀의 물질 특성 5 B. 제주 해녀의 건강관리 10 Ⅲ. 연구방법 16 A. 연구 설계 16 B. 연구 지역 17 C. 연구 참여자 18 D. 자료 수집 19 E. 자료 분석 24 F. 윤리적 고려 24 G. 연구의 엄격성 25 Ⅳ. 연구결과 27 A. 연구 참여자의 특성 28 B. 제주 해녀의 삶에서의 건강관리 경험의 문화적 주제 30 1. 자신의 몸 상태에 따라 물질을 조절함 31 2. 물질을 위해 몸을 소중히 여기고 돌봄 49 3. 마음을 평안하게 다스림 61 4. 증상 완화를 위해 약을 복용하고 치료를 받음 68 5. 공동생활을 통해 의지하고 대처함 78 Ⅴ. 논의 86 A. 제주 해녀의 삶에서의 건강관리에 대한 논의 86 B. 간호학적 의의 97 Ⅵ. 결론 및 제언 99 A. 결론 99 B. 제언 101 참고문헌 102 부록 111 부록 A. 연구 참여자 설명서 111 부록 B. 연구 참여자 동의서 114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75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제주 해녀의 삶에서의 건강관리 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Health Management Experience in Life of Women Divers in Jeju Island-
dc.format.pagev,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