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숙정-
dc.contributor.author김소연-
dc.creator김소연-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0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2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29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11-
dc.description.abstractEven though the survival rate of preterm infants and the need for medical care after discharge have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studies on relations of child development knowledge, rearing knowledge of mothers, and afterward services are still in need. The purpose of this s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knowledge about child development and rearing and the use of medical care on maternal confidence of discarged preterm bab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5 mothers who used internet communities of preterm mothers and 30 mothers who visited hospitals for the follow up cares after having their preterm babies discharged from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in South Korea. The knowledge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and rearing was measured with a tool made by Park & Bang (2013), the use of medical care after discharge was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creat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d the maternal confidence was measured by the maternal confidence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0 to discer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child development knowledge of mothers was 16.69±3.66 out of 23. The knowledge on social development was ranked at the highest, while the knowledge on motor development was ranked at the lowest among child development knowledge. The mean of rearing knowledge of mothers was 9.49±1.76 out of 11. The level of knowledge on bathing was rated as the highest, and the knowledge on defecation was the lowest among rearing knowledge. The mean level of having used medical care after discharge was 1.58±0.50 out of 5. 2. Maternal confid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presence of preterm operation history (t = -2.159, p < .05). 3. Presence of preterm operation history, rearing and child development knowledge of mothers, and use of medical care after discharge explained 12.2% of maternal confidence and child development knowledge (F(4, 80) = 2.784, p < .05). Presence of preterm operation history (β = .232, p < .05) and child development knowledge (β = .252, p < .05) significantly affect on maternal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others of a discharged preterm baby, especially mothers of a preterm baby who has an operation history, needs continuous education for child development and rearing. In addition, there were gaps in utilization of medical care after discharge among mothers of a preterm baby. Therefore, easily utilized medical care after discharge can help to enhance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term infants.;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퇴원한 교정연령이 24개월 이내인 미숙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미숙아에 대한 발달지식, 양육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활동 중인 미숙아의 어머니 55명과 일개 대학병원에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한 미숙아의 어머니 30명으로 총 85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6월 29일부터 2016년 9월 26일까지 온라인상과 오프라인상에서 편의표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어머니의 미숙아에 대한 발달지식과 양육지식은 박지윤과 방경숙(2013)이 개발한 미숙아의 발달 및 양육에 대한 부모의 지식 도구로 측정하였다.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문항은 서비스 종류별로 연구자가 다섯 문항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모성자신감은 Parker와 Zahr(1985)의 Maternal Confidence를 최효신과 신영희(2013)가 번안한 모성자신감 측정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발달지식 점수의 평균은 16.69±3.66점, 양육지식 점수의 평균은 9.49±1.76점으로 나타났다.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은 병원의 상담전화, 병원 내 교육 프로그램, 병원의 방문간호, 보건소의 모자보건사업, 보건소의 방문간호로 다섯 개 서비스 중 평균 1.58±0.50개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중 병원의 상담전화 이용률이 72.2%(26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어머니의 모성자신감은 미숙아의 수술력 유무(t = -2.159, p < .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미숙아의 수술력 유무, 어머니의 미숙아에 대한 발달지식, 양육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유무가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수술력을 포함한 네 개의 요인은 모성자신감 분산의 12.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요인 중 수술유무( β = .232, p < .05 )와 발달지식( β = .252, p < .05 )이 모성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미숙아의 수술력 유무와 어머니의 미숙아에 대한 발달지식이 퇴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퇴원한 이후 미숙아의 어머니에게 발달지식을 교육하고, 특히 수술력이 있는 미숙아 어머니에게 수술과 관련된 적절한 건강 정보를 제공한다면, 모성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미숙아의 발달 증진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4 C. 용어 정의 5 Ⅱ. 문헌고찰 8 A. 어머니의 미숙아에 대한 발달지식 및 양육지식 8 B. 미숙아의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11 C.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자신감 14 Ⅲ. 연구 방법 16 A. 연구 설계 16 B. 연구 대상 16 C. 연구 도구 19 D. 자료 수집 방법 23 E. 자료 분석 방법 24 F. 연구의 제한점 25 G.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6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미숙아 관련 특성 26 B. 대상자의 미숙아에 대한 발달지식, 양육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모성 자신감 30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미숙아 관련 특성에 따른 발달지식, 양육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모성자신감의 차이 37 D. 대상자의 미숙아에 대한 발달지식, 양육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40 Ⅴ. 결론 및 제언 43 A. 결론 43 B. 제언 45 참고문헌 47 부록1. IRB 심의 결과 통보서 54 부록2. 온라인 연구 설명문 58 부록3. 오프라인 연구 설명문 62 부록4. 연구 참여 동의서 66 부록5. 설문지 67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932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어머니의 미숙아에 대한 발달지식, 양육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Rearing Knowledge of Mothers and Use of Medical care on Maternal Confidence of Discharged Preterm-
dc.format.pagev,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