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미경-
dc.contributor.author박소연-
dc.creator박소연-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53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5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2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2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386-
dc.description.abstractTraditionally, a creative activity of an artist has been understood to be carried out by a subconscious creative inspiration. But modern perspectives started to see the possibility of creativeness reach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conscious and the conscious thought, and brought the necessity of a continuous information search into focus. As the result, it has becom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erged in a creation process, and the information needs of artists. Earlier studies o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artists have mainly focused on the members of university. Therefore, it is needed to move the focus onto the artists in more active service, especially emerging artists whose state is between students, who have yet to start their career as artists, and professors, who are already well-established in the fiel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needs during each creation process of the emerging artists in visual arts field. The model of art making process has been used to survey the information needs of each phase; information sources of preference; information seeking;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use of the library. The work targeted emerging visual artists who have used fifty-nine domestic visual art creation studios, conducting surveys both on-line and by personal visits throughout a month, from 17th of October to 25th of November, 2016. Furthermore, additional interviews were made to supplement the survey. Eighty artists gave reply, and sixty-nine valid sets of survey were collected. The result of the work showed that the artists have been feeling they need plenty of information during their making process, and the kind of information they most wanted was 'the expert knowledge specializing in art'. Artists also needed information on specific artists and their work, in particular. The analysis on each making process reported that the most wanted information during artwork conception was business information as well as expertise knowledge specializing in art; during idea development, material, media, technique and skill information and specific visual information; during making the artwork, information about material, media, technique and skill; and during the phase of finishing the artwork, business information and feedback on the work. The information source in demand during each making process differed as the following: during artwork conception, the artists required information sources on-line or printed; during idea development, they wanted visual information sources such as visual work or art work and internal information sources at the same time; during making the artwork, fellow artists or trial-and-error; during finishing the artwork, experts such as curators. Furthermore, the phase when the artists felt the most difficulty in obtaining necessary information was the artwork conception phase, then idea development, and making the artwork, finishing the artwork for the last. Subjects have responded that the information source that they wanted to use but had difficulty in actual usage were academic colloquiums or seminars about art and the class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art academies or schools.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reason why they had difficulty in using such sources was because the subjects did not know where such institutions or seminar venues were located, or because those venues were too far away.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did visit libraries acquire art books but did not use them often. The artists also barely asked for help to the librarian. The reason why they did not use the library was because libraries were located too far and the artists were not accustomed to the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together, figured out the nature of information needs that occurs during the making process of emerging visual artists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earlier studies. Unlike what earlier studies suggested, information needs towards specific images did not occur very often. Subjects did not like the possibility of plagiarism or effect on their work, and sometimes even needed specific images to search and find out whether a similar work already exists. When subjects selected information, not only whether it contained necessary content but also the source and the speed we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The importance of physical form, which was analyzed to have an impact on information selection in earlier studies, was relatively small. Moreover, it was more common to look for specific information than just browsing. In the same context as recent questions raised against artists' browsing, browsing barely occurred in using libraries. Investigation showed that emerging visual artists were interested in fields which were irrelevant to art. Nevertheless, rather than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out a variety of fields, they preferred to fix one or several particular main concerns, hence gain continuous information on them. The work showed that the artists depended much on human network in achieving information on techniques, skills, and media necessary for creation, and also that they gained information about trends and events in the art world through critics or creators, mainly on their SNSs. Finally, the subjects reported about the library that they wanted expansion of more recent materials on art or improvement of electrical sources in electrical libraries. The information needs of emerging visual artists were in the same context as existing studies on artist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nevertheless changing with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is study has a critical meaning due to the fact that it has targeted currents artists, breaking academic bounds, and also that it perceived the information needs and preferred information sources during creation in the context of creation process.;예술가들은 다양한 외적·내적 정보와 상호작용하며 작품을 창작한다. 창작과정 내에는 정보탐색행위가 내포되어 있으며, 예술가들은 다양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다. 예술분야 중 시각예술은 예술가의 개인성과 자율성이 두드러지는 분야임에도, 국외의 예술가의 정보 요구에 관한 연구에서 공통적인 특징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국내 예술가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다른 분야에 비하여 부족한 상황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예술가들이 작품창작과정 내에 어떠한 정보요구를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창작과정의 맥락을 통해 정보요구를 이해해야할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창작단계별 정보요구와 선호정보원, 정보탐색, 도서관 이용현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시각예술가 중에서도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 연구를 보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보요구의 개념과 예술가를 대상으로 한 정보탐색행위연구를 파악하였다. 또한 창작 단계 모형 및 창작관련연구를 살펴봄으로서 전반적인 연구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국내 16개 시각예술 창작스튜디오를 이용한 신진시각예술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온라인과 직접 방문을 통해 2016년 10월 17일부터 2016년 11월 25일 40일간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중 직접 방문으로 설문을 수집한 경우 12명을 대상으로 추가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9부(42.6%)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할 수 있었다. 셋째, 조사결과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신진시각예술가의 정보요구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기존 연구와 이를 비교하였다. 창작단계별 주요한 정보요구와 정보원을 밝히고, 도서관 이용특성을 바탕으로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창작과정동안 신진시각예술가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요구는 '예술과 관련한 전문 지식'과 '전시·공모전·작품판매·레지던시 등 경력'에 관한 정보였다. 창작과정 전반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원의 형태는 인쇄자료였으며, 특히 '예술분야의 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창작과정동안 예술가의 내부정보원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창작단계별로 나타나는 정보요구와 선호정보원은 다음과 같다. 작품구상단계는 예술작품이 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단계를 가리키며, 이때에는 '영감을 위한 정보'와 '예술과 관련한 전문 지식'과 관련한 정보요구가 나타났다. 인쇄자료와 인터넷 형태의 정보원이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이디어 개발단계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확장시키는 단계를 말했다. 이 단계에서는 '재료·매체·기법·기술 관련 정보'와 '구체적인 이미지 정보'에 대한 요구가 조사되었으며, 예술작품과 같은 이미지 정보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단계는 물리적으로 작품의 창작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며, '재료·매체·기법·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예술가 동료'가 주요정보원인 것으로 응답되었다. 창작완료단계의 경우 완성한 작품을 외부에 공개하는 단계로, 여기서는 '전시·경력을 위한 정보'와 '작품의 비평·피드백'에 대한 정보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예술분야의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정보탐색 시 브라우징보다 구체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찾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선택의 기준은 내용적 적합성과 출처의 권위, 신속성이었다. 응답자들은 정보탐색 시, 특정 주된 관심사에 관한 학제적이고 망라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였다. 넷째, 정보를 입수하는 데 가장 어려움을 겪는 단계는 작품구상단계, 아이디어개발단계, 창작단계, 창작완료단계 순이었다. 그동안 이용하고 싶지만 이용하기 어려운 정보원은 예술과 관련한 학회나 세미나, 학원이나 학교 등의 교육기관의 강의로 나타났다. 신진시각예술가들은 필요한 정보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이유로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도서관은 주로 예술관련 도서를 이용하기 위해 방문 하지만, 자주 이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의 도움을 받기보다 스스로 필요한 자료를 찾는 경향을 보였다. 신진시각예술가들은 도서관에서 최신의 예술관련 자료를 확충 하고, 전자 도서관의 전자 자료를 개선시키기를 원하였다. 미술관처럼 기획력을 갖추고 특수한 컬렉션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신진시각예술가들은 다양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창작단계에 따라 정보요구 또한 변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은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예술가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신진예술가로서의 특성 또한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예술가를 비롯한 문화예술분야 이용자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및 예술분야 자료 확충, 이용자 교육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예술가의 정보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예술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정보서비스를 확충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됨으로서, 예술분야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서비스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C. 선행연구 5 Ⅱ. 신진시각예술가의 정보요구 13 A. 신진시각예술가 13 B. 시각예술창작단계 17 C. 시각예술가의 정보요구 26 Ⅲ. 신진시각예술가의 정보요구 조사 38 A. 조사 방법 38 B. 조사 결과 41 C. 창작단계별 정보요구 분석 64 Ⅳ. 결론 79 참고문헌 83 부록1. 설문지 89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312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신진시각예술가의 창작단계별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formation Needs of Emerging Visual Artists : During each Art Making Process-
dc.creator.othernamePark, So Yeon-
dc.format.pagevii, 102 p.-
dc.contributor.examiner이상용-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현-
dc.contributor.examiner차미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