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연어 지도 방법과 학습 집단 유형이 중학생의 영어 연어 지식 습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연어 지도 방법과 학습 집단 유형이 중학생의 영어 연어 지식 습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llocation Instructional Methods and Learning Group Typ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llocation Knowledge Acquisition and Attitude
Authors
전유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The primary goal of English education is to develop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effective and successful communication, English teachers have focused on improving students' four skill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vocabulary had been widely overlooked in the EFL classrooms until recently, and Vocabulary learning has just been considered as the part of learners' self-study. However, for improving these four skills, vocabulary acquisi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particular, the acquisition of collocation knowledge has been considered as a main part of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find the useful and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collocation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llocation instruction methods(explicit vs. implicit learning) and learning group types(individual vs. cooperative learning)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acquisition and attitude such a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and to fin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is study, 108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ere taught collocation instruction over a five-week period. According to collocation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group types,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xplicit-individual group, explicit-cooperative group, implicit-individual group, and implicit-cooperative group. Moreover,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llocation knowledge acquisition o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each group of students were divided into high proficiency group and low proficiency group. The students learned 32 target collocations with different types of collocation instructional methods. In the first class, students took pre-test consisted of receptive test and productive test, and the post-test was administered in the end of the class to assess the extent of the collocation knowledge acquisition before and after instructions. Moreover,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to examine students' learning attitud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receptive knowledge, explicit collocation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mplicit instruction, and high-level students’ post-test scores were higher than low-level students’ test sco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learning group and interaction effects. Second, with regard to productive knowledge, the collocation instruction method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explicit instruction group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than implicit instruction groups, and high-proficiency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low-proficiency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learning group types, and any interaction effect was no found. Third, with respect to learning attitude, all the groups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affective domains such as interest, confidence, motivation, and attitude in collocation learning.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omain of motivation and attitude in collocation learning. On the domain of preference on pre and post surve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prefer implicit collocation learning to explicit one and showed their preference for cooperative learning to individual learning. In addition, on open-ended surveys about collocation instruction methods and learning group types, it turned out that many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implicit collocation instruction. Without any burden to memorize new words, they could just guess the meaning of the words to complete the tasks.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collocation instruction methods and group types. That is, when learners are involved in explicit instruction, they were more content with learning individually, while when engaged in implicit instruction,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followings are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utilizing four types of collocation instructions can be helpful to learners for promoting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Secondly, explicit collocation instruction is recommended to develop students’ knowledge because it can enhance the saliency of the collocation. However, explicit collocation learning should be designed in more meaningful way out of passive methods such as mechanical repetition. Secondly, cooperative learning can be a good way to improve learner's collocation acquisition. When learners get more opportunities to use collocation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group members, they can effectively remember collocations and use them more successfully. However, when it comes to some students in explicit collocation instruction, they often think cooperative learning is not helpful, so it should be carefully and properly used considering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ers' needs. Finally, teacher must provide the students with various collocation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we need to examine the appropriate collocation teaching method for low-proficiency learners in EFL circumstance. In conclusion, collocation instruction should be highlighted to have learners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leading them to understand and produce the language more efficiently. Also, it should be conducted in EFL classrooms appropriately taking collocation instruction methods and group interaction types into consideration.;연어 학습의 효과성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이는 연어 지식 및 연어 오류, 연어 중심 지도법과 개별 어휘 목록 중심 지도법에 관한 비교 연구, 연어 지도가 언어의 4기능에 미치는 영향 등에 국한되어 있으며, 연어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들은 단순히 학습자들을 명시 집단과 암시 집단으로 나누어 해당 과업을 홀로 수행하도록 하는 실험 설계들이 대부분이다. 즉, 다른 변인과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방법적 접근을 시도하여 다양한 연어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연어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로 명시적·암시적 연어 지도 방법과 더불어 개별·협동 학습, 그리고 영어 능숙도가 연어의 이해력 및 표현력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상·하위 집단의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연어 학습 방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어 지도 방법과 학습 집단 유형에 따른 네 가지의 연어 학습 방법이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습자 108명을 대상으로 총 5주간 6차시 수업으로 실시되었다. 연어 지도 방법과 집단 유형, 그리고 영어 능숙도에 따른 연어 학습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에 참여한 네 집단에게 각각 명시적 연어 지도와 암시적 연어 지도를 통해 목표 연어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개별 혹은 협동 학습으로 과업을 수행하는 방식에 차이를 두어 전체 실험 집단을 명시적 연어 학습 개별 활동 집단, 명시적 연어 학습 짝 활동 집단, 암시적 연어 학습 개별 활동 집단, 암시적 연어 학습 짝 활동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영어 능숙도에 따른 연어 지식 습득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어 중간고사 점수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각 집단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1차시 수업에서는 사전 연어 평가지를 통해 참가자들의 연어 능력을 확인하였고, 6차시에 사후 연어 평가지를 통해 실험 수업 이후 변화된 연어 학습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사전 평가지와 사후 평가지는 문항 순서만 바꾼 채 동일한 시험지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연어 학습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목표 연어들은 Benson, Benson과 Ilson(1997)이 분류한 연어 분류 기준 중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를 모두 포함하여 총 32개의 연어를 차시별로 8개씩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실험학교의 정규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과서를 토대로 실험을 맡아준 영어 담당 교사 및 원어민 교사와 상의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설문지와 사후 자유 응답 설문지를 제작하여 서로 다른 연어 지도 방법과 집단 유형이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본 실험 연구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어 지도 방법 및 학습 집단 유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이해력의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네 집단 모두 연어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능숙도에 따라 나누어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역시 네 가지의 각기 다른 연어 학습 방법을 통해 이해력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다음으로 연어 지도 방법과 집단 유형,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른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어 지도 방법 간, 영어 능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지만, 집단 유형 간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명시적 연어 지도 방법이 학습자들의 연어 이해력 학습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하위 학습자보다 상위 학습자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연어 지도 방법과 집단 유형,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연어 표현력의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이해력 학습과 마찬가지로 모든 집단의 연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후 표현력 평가 점수에 대한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도 방법과 영어 능숙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연어 지도 방법의 경우 명시적 연어 지도를 받은 집단의 사후 평균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영어 능숙도의 경우 상위 학습자의 사후 평균이 더 높았다. 반면, 지도 방법별, 집단 유형별,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별로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서 명시적 연어 지도 방법이 연어 표현력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위 집단에 비해 상위 집단의 표현력 학습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셋째, 연어 지도 방법과 집단 유형에 따른 정의적 측면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동기, 연어 학습에 대한 태도에 관하여 영역별 사전·사후 반응을 비교·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사후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일원분산분석의 결과는 동기와 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동기 영역의 경우 암시적 연어 지도가 학습자들의 동기를 자극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으며, 태도 영역의 경우 협동 학습을 통해 활동지의 과업을 수행한 집단이 연어 학습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편, 연어 지도 방법과 집단 유형의 선호도에 대한 사전·사후 반응을 비교한 결과, 네 집단 모두 짝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지도 방법의 경우에는 명시-협동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들 모두 암시적 연어 지도에 대해 더 높은 선호 결과를 보였다. 앞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어 지도 방법과 집단 유형에 따른 네 가지의 연어 학습 유형은 학습자들의 연어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명시개별, 명시협동, 암시개별, 암시협동의 연어 학습 방법은 모두 학습자들의 연어 이해력과 표현력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실제 영어 수업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업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우리나라와 같이 EFL 환경에 속한 학습자들의 연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명시적 연어 지도 방법이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들은 연어 이해력 및 표현력 평가에서 암시적인 지도를 받았을 때보다 목표 연어에 대한 교사의 명시적인 설명을 듣고, 반복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을 때 우수한 점수를 보였다. 다만, 명시적 연어 지도에 대한 단점으로 지루하고 집중력이 흐려졌다는 학습자들의 의견을 고려하여 지나치게 반복적이거나 기계적인 학습으로부터 벗어나 유의미한 연어 학습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흥미로운 방법들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어 학습에 있어서 적절한 상황의 협동 학습은 학습자들의 연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학습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협동 학습은 학습에 대한 즐거움을 높여주고 심리적 부담감을 줄여주며, 동료와 상의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이 기억에 오래 남도록 도와줌으로써 연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단, 교사의 명시적인 지도를 받아 협동 학습의 필요성을 덜 느끼는 경우나 협동 학습으로 인해 산만해질 수 있는 수업의 분위기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성향과 요구, 학습 목표 등에 따라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연어 학습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연어 학습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네 가지의 연어 학습 유형은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의 연어 능력을 향상시켰으나, 하위 집단보다는 상위 집단 학습자들의 연어 이해력 학습과 표현력 학습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하위권 학습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연어 수업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습자들이 연어 이해력과 표현력 학습에 있어서 궁극적인 향상을 보이기 위해서는 연어 지도 방법과 집단 유형을 수업 내용과 목적에 따라, 그리고 학습자들의 성향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있게 통합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학습 방법을 고수하기보다는 학습 목표와 교수 상황에 맞게 적절하고 균형 있는 교사의 연어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연어 중심의 어휘 지도가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어 학습 유형들을 끊임없이 탐구해야 할 것이며, 명시적 연어 지도, 암시적 연어 지도, 개별 학습, 협동 학습을 균형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