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연희-
dc.contributor.author장미희-
dc.creator장미희-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51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5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4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48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379-
dc.description.abstract쓰기는 현대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학술적 목적 영어 교육(English for Academic Purpose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읽기와 쓰기의 통합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는 교육 현장에서 읽기 자료를 읽고 이를 활용하여 작성해야 하는 쓰기 과제가 부여되는 과목들이 많은데, 이와 같은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ESL/EFL 학생들이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수행되는 읽기·쓰기 통합 과제중 하나는 제시된 읽기 자료를 읽은 후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는 논설문 글쓰기 활동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 쓰기 교육의 비중이 적고 대부분의 학습자는 영어로 글을 쓰는 것을 많이 어려워하여, 이러한 논설문 쓰기는 한국 영어 학습자에게는 어려운 읽기·쓰기 통합 과제이다. 논설문 쓰기 과제가 부담스러운 학습자들에게 영어 읽기 자료가 제공되어 그 내용을 바탕으로 글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면 읽기 자료는 쓰기 과정을 도와줄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읽기·쓰기 통합형 과업에서 논쟁적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읽기 자료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구체적인 학습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 통합적 쓰기에서 읽기 자료 유형이 대학생의 영어 쓰기와 읽기 자료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읽기 자료 유형을 활용한 논설문 쓰기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읽기 자료 유형별 두 집단 즉 기사문 유형의 읽기 자료 집단과 논설문 유형의 읽기 자료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집단은 각각 다양한 전공을 가진 대학생 20명씩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전 쓰기 평가를 통해 영어 쓰기 능력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실험 참여자들은 독립형 유형인 사전 쓰기 평가와 읽기․쓰기 통합형 유형인 실험 쓰기 과제를 수행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실험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쓰기에서 제시된 읽기 자료 유형이 구성, 내용, 언어 사용의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사이에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 참가자들의 작문과 설문지에서는 읽기 자료의 유형에 따라 실험 쓰기의 구성, 내용, 언어 사용 영역에서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설문 읽기 자료 집단의 경우 제시된 읽기 자료가 요구된 쓰기 과업의 장르와 동일하며 읽기 자료의 글의 구조를 모방하여 글을 쓰거나 글의 내용을 많이 활용하는 것도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논설문 읽기 자료 집단은 기사문 읽기 자료 집단에 비해 글의 구성과 내용 영역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과업의 장르와 동일한 읽기 자료가 제시될 경우, 읽기자료가 글의 구성과 내용 측면에서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통합적 쓰기에서 읽기 자료 유형이 읽기 자료 차용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두 읽기 자료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 참가자들의 쓰기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은 서로 다른 읽기 자료 차용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사문 읽기 자료 집단은 상당한 수정과 함께 직접 인용을 가장 많이 사용한 반면 논설문 읽기 자료 집단은 최소 수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기사문 읽기 자료는 사실이 중심이 되는 객관적인 쓴 글이기 때문에 많은 기사문 집단의 참가자들은 읽기 자료 원문을 직접 인용하여 자신의 글의 근거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논설문 읽기 자료 집단에서는 직접 인용이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논설문 읽기 자료 집단은 읽기 자료를 사용할 때 주로 환언하기를 사용하였지만 원문의 문장을 상당 부분 그대로 베끼는 모습이 나타났다. 논설문은 원문 저자의 주장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구조이기에 실험 참가자들은 논설문에서 쉽게 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읽기 자료를 자신의 글의 명제나 근거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읽기 자료를 베껴서 사용하기가 쉬웠다고 여겨진다. 즉 읽기 자료의 담화 특성은 학습자들의 원문 차용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원문을 그대로 베끼는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통합적 쓰기에서 읽기 자료 유형이 읽기 자료 사용 적합성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논설문 유형의 읽기 자료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기사문 유형의 읽기 자료 집단보다 더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통합적 쓰기에서 제시되어지는 읽기 자료의 유형이 학습자에게 요구되어진 과업과 동일하였을 때 읽기 자료를 더 많이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험 참가자들의 쓰기를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제시된 읽기 자료가 학습자들이 수행해야하는 과업과 장르가 동일하였을 때 실험 참가자들은 읽기 자료의 내용이나 구조를 논설문 쓰기 과제에 그대로 베끼거나 과도하게 사용하는 문제가 나타났다. 통합적 쓰기에서 읽기 자료 유형이 과제에서 요구되는 글의 유형과 유사할 때 읽기 자료 사용량이 더 많아진다는 연구 결과는 읽기·쓰기 통합적 과제에서 읽기 자료를 선택할 때 자료 유형의 영향을 고려해서 과제의 목적에 적절한 자료를 선택해야하며 읽기 자료와 쓰기 유형이 유사할 때 읽기 자료를 그대로 베껴 사용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과업에서 요구되는 글의 유형과 읽기 자료 유형이 유사한 경우 글의 구조와 내용 측면에서 더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언어 능숙도가 낮은 학습자나 장르에 대한 경험이 적은 학습자를 지도할 경우 과업과 동일한 읽기 자료 유형을 제시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읽기 자료 유형에 따라 읽기 자료 차용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통합적 쓰기 평가를 위해서는 적합한 평가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types of source texts o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 with source text and use of source text. The participants were 40 EFL Korean undergraduates, and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provided with a newspaper article as a source text (experiment group1) and the other group was presented with an argumentative text (experiment group2). Two types of writing tasks, a writing only and an integrated writing,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As a pretest, they wrote an argumentative writing without any source text to identify their writing proficiency. After the pre-test,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newspaper article group and an argumentative text group. Then each group wrote an argumentative writing with their given article source,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 source text usage with their responses to the task. After the experiment, the students’ writings were evaluated and analyzed in the five aspects: organization, content, language use, textual borrowing, and textual appropr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task score of two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students’ writings and the questionnaires, however, effects of source text were found on students writing in aspects of the organization, content, and language use. Direct impact of source text on the argumentative writing was more apparent in the argumentative text group than the newspaper article group. The participants of argumentative text group not only could grasp the organization of argument, but could also employ the propositions and supports from the original texts. Argumentative text type had better effect on writing the argumentative writing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contents. Second, there were no direct correlations between the type of source text and textual borrowing in the statistical analysis. However,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type of source text affected students’ textual borrowing style. Direct quotations were used mostly in the newspaper article group, whereas most of the argumentative text group took paraphrasing with copying the original sentence over 50% as their textual borrowing. The difference in textual borrowing style between two groups was resulted from the discourse of source text features. The article text is a writing that objectively conveys a fact or information, so the students used direct quotations to utilize the source text as a support. Also, the argumentative text group was effortlessly able to grasp its source text that contained explicit claims of the author and could use their source text in developing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ir writing. It seems that the feature led the students in argumentative text group to copy their source tex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ype of source text can indeed have influence on the students’ textual borrowing style. Third, the result of a statistical analysis of integrated writing demonstrated that the type of source tex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xt usage. The argument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the textual appropriateness,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students with lower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with lower proficiency in the article group did not fully comprehend the source text, thus was not able to use the source properly. On the other hand, students with lower proficiency in the argument group utilized their source for developing the organization and designing their writing. However, the argument group had the excessive use of source text and parts that were patched together from the given text.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higher amount of the source text use was triggered by the similarity in the genre of the source text type and the writing task. Three important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L2 writing instruction emerge from this study. First, the faculty should carefully select source tex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goal of the task and the learners’ proficiency. Students can have more help from the source text that is similar to the task, especially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content. Using a same type of source text with the task would be useful for low-proficiency student. Second, the faculty should be aware that the type of source text could have effects on the textual borrowing style and need proper rubric to assess the writing. A third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faculty must guide students not to copy or plagiarize the original text, especially when the task is similar to the source 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pedagogical values;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should be noticed for further research.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ith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should be only suggestive. Also, a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 time,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results being magnified. More significant effects could be found if future studies offered proper source text according to participants’ language abilities and integrated writing training to help participants get accustomed to the tas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통합적 쓰기 4 1. 읽기와 쓰기의 상관관계 4 2. 읽기쓰기 관계 이론 6 3. 통합적 쓰기의 정의와 과업 유형 10 4. 통합적 쓰기의 작문 과정 12 B. 통합적 쓰기와 읽기 자료 14 C. 선행연구 16 1. 통합적 쓰기에 관한 연구 16 2. 통합적 쓰기의 읽기 자료에 관한 연구 21 Ⅲ. 연구방법 26 A. 연구 질문 26 B. 연구 대상 26 C. 연구 자료 28 1. 사전 및 실험 평가지 28 2. 사전 및 실험 평가 채점 기준 30 3. 설문지 33 D. 연구 절차 34 1. 실험의 활동 절차 34 2. 실험 이후 절차 34 F. 연구의 제한점 3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1 A. 읽기 자료 유형이 통합적 쓰기에 미치는 영향 41 1. 사전 쓰기 및 실험 쓰기 점수 비교 분석 42 2. 집단 간 실험 쓰기 점수 비교 분석 50 B. 읽기 자료 유형이 읽기 자료 사용에 미치는 영향 56 1. 집단 간 읽기 자료 사용 점수 비교 분석 56 2. 집단 간 읽기 자료 차용 비교 분석 59 3. 집단 간 읽기 자료 사용 적절성 비교 분석 62 C. 통합적 쓰기에 대한 설문 결과 분석 68 1. 읽기 자료 사용에 대한 설문 결과 분석 68 2. 심화 설문 결과 분석 71 Ⅴ. 결론 및 제언 81 참고문헌 85 부록 96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33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 대학생의 영어 통합적 쓰기에서 읽기 자료 유형이 논설문 쓰기와 읽기 자료 사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ource Texts o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Integrated Argumentative Writing and Source Text Use-
dc.format.pagevii, 105 p.-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contributor.examiner이미진-
dc.contributor.examiner최연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