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2 Download: 0

중등 사회과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및 운영 현황

Title
중등 사회과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및 운영 현황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on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Assessment Practice in Classroom
Authors
박수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s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성취평가제) on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assessment practices in classroom. Adopting a mixed research methodology, this research interviewed 30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in Korean and surveyed 70 teachers included interviewees.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inductive coding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nder the grounded theory. Perceptions and influences about the assessment in classroom that the teachers discussed regarding the system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ajority of the teachers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new assessment system, they have difficulties to apply in school field. Another main agent of education, school parents and students have low level of awareness for new assessment system, so teachers feel embarrassment at managing students' grade. Second, after the introduction of new evaluation system, there is no changes in teachers' practice in classroom. Because they utilized offer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 for their assessment, as the main segments of student assessment while having hardships to control its difficulty level. Finally, social studies' subject features discord the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which teach the abstract values and attitude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advance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teachers' practices of implementing in classroom, more teachers' assessment professionalism has to be prepared. So more rigorous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 and consulting opportunities need to be provided.;창의력과 인성을 겸비한 인재를 요구하는 글로벌 지식 기반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도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 육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제도를 확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9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었고, 학생의 적성과 소질 및 진로에 따른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평가하던 방식인 상대평가 형식의 내신9등급제는 개정 교육과정과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력·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 및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제도 개선과 학교 여건 및 학생의 개성을 반영한 평가를 시행하기 위해 성취평가제가 등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평가제도는 상대평가와 절대평가가 반복적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띠어 왔는데, 절대평가의 성격을 가진 성취평가제가 2012년부터 도입되면서 과거 절대평가제 하에서 나타났던 성적 부풀리기 현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왔다. 또한 성취평가제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교사의 평가 전문성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중등학교에 순차적으로 도입된 성취평가제에 대하여 사회과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인식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제로 평가를 어떻게 운영하는지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평가제도로의 전환으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생생하게 알아보고, 성취평가제를 실제 운영하는 주체인 교사들의 평가전문성에 대해서도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의 중·고등학교에서 성취평가제를 경험한 사회과 교사들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중 30명은 심층면담에 참여 하였고, 이를 포함한 7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는 전자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웹 페이지 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고,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 면담은 녹취하여 녹음 내용 전체를 전사한 후 연구자의 역량에 따라 지속적인 비교를 시행하였고,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코딩을 진행하여 코드리스트를 추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의 경우, 교사들의 인식과 평가 운영 현황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고, 결과는 기술통계 수준으로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해 심층면담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사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담고자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성취평가제의 도입취지와 평가제도가 지향하는 방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와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를 적용하는데 모순점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는 2016년에 중·고등학교 전 학년이 성취평가제로 내신 성적을 산출하고 있기는 하지만, 대학입시제도 반영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이 제시되지 않은 것이 주요한 원인이었다. 교사들은 성취평가제 도입 이후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난 변화가 전혀 없다고 응답할 만큼 무력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이 성취평가제로 평가를 운영하고 있으나 학생과 학부모들은 새로운 평가제도에 대한 인식도나 이해도가 낮은 실정이다. 때문에 학생의 성취를 나타내는 성취수준의 의미에 대해 관심이 낮고, 등급과 등수에만 관심을 가져 교사들이 성취평가제의 취지를 살려 평가를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제도의 도입에 대한 충분한 홍보와 교육이 부족한 것을 원인으로 볼 수도 있으나, 교사들이 성취평가제 연수와 교육에 대해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평가 전문성 부족으로 학교 현장에서 평가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성취평가제는 기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 형식으로의 변화 뿐 만 아니라, 평가의 준거가 되는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바탕으로 전체 교수·학습과 평가를 계획하여 실천하는 학교 환경의 전환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연구 결과, 교사들은 기존 등급제로 평가를 실시할 때와 성취평가제가 도입된 후의 교수·학습 방법 및 수업 실행에 전체적으로 변화가 적거나, 없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학교 여건과 학생 특성에 맞춘 수업과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성취기준 설정에 대해 교사들이 큰 부담감을 가지고 있어, 국가수준에서 배부한 자료를 수정·보완하지 못한 채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더불어 절대평가로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문제 난이도에 대해 학생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여, 평가의 난이도가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점수를 전체적으로 높게 부여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과거에 시행되던 절대평가에서 나타났던 성적 부풀리기 행태와 시험 난이도 하락 현상이 나타나자, 상급 학교에서는 중·고등학교의 내신 성적을 불신하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에 대해 교사들조차 자신들의 평가전문성에 대한 자신을 가지지 못하고, 문제 출제와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데 미숙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고백하며 상급학교가 불신을 가지는 것에 대해 납득하는 태도를 보였다. 사회과와 관련해서는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서술에 대한 문제점이 자주 언급되었다. 성취기준이 사회과 개념에 대해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기술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과목 내 학습 내용의 난이도에 따라 성취수준을 교사의 역량으로 개발하여 평가를 운영해야 하는 점이 교과 특성과 성취평가제가 부딪히는 부분이라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또한 하나의 성취기준 내에 방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학기 초 작성했던 평가 계획에 제시한 성취기준을 지필평가에서 모두 다루지 못하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다. 사회과 내에서 가치·태도 영역에 대한 평가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에는 포함된 부분이 적고, 학생들에게도 마땅히 제시하기가 어려워 해당 영역에 대한 의미있는 평가가 어렵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하지만 성취평가제를 통해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심도있게 이해하게 되거나, 자신의 수업 및 평가에 대하여 학습자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반성하는 계기를 가지기도 하였다. 초년 교사들의 경우 낯설고 어려울 수 있는 평가 계획 수립이나 실행, 수업 진도 및 교과 내용을 성취기준을 통해 학습하고 이해하고 되면서, 학교 현장에 적응하고 수업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받고 있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성취평가제가 한국의 학생평가와 사회과 교육 현장에 줄 수 있는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평가와 절대평가가 반복적으로 전환되어 온 평가제도의 양상을 보았을 때, 성취평가제 실행으로 발생하고 있는 성적 부풀리기 행태나, 산출된 학생의 내신 성적 결과에 대한 상급학교의 낮은 신뢰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제도가 취지에 따라 정착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이 대학입시와 연계할 정책을 마련하고, 대입 과정에서 성취평가제로 산출된 결과를 어떻게 반영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하루빨리 제시되어, 교사 뿐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가 겪고 있는 혼란을 잠재워야 한다. 둘째, 평가전문성을 갖춘 교사들이 확보되어 교사가 출제한 평가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어야 한다. 교사들의 평가전문성은 단위학교에서 실시한 평가가 학생들의 다양성을 반영하면서, 학생의 학습을 돕고, 평가의 변별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적절한 교사교육과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평가 자료 및 성공 사례들이 제공되어 단위 학교 현장에 있는 개인 교사들도 평가 전문가로서 자신감과 자부심을 가지고 수업과 평가를 연계시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15년 고시된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부터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공통 교육과정으로서 '통합사회'가 신설되고, 본 과목은 학생의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하도록 이끌게 될 것이다. 이는 성취평가제와 도입 취지의 방향성을 같이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통합사회 교과목 또한 2021년 수능과 대학 입시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될지 발표된 바가 없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성취평가제와 통합사회 교과 성격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평가제도가 길러내고자 하는 창의·인성 및 융합 인재를 양성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