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3 Download: 0

어머니의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한 환경중심중재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한 환경중심중재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Mother Training Program focused on Naturalistic Intervention applied Responsive Communication Strategies on Joint Attention Behaviors of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hors
윤혜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자폐 범주성 장애는 생애 초기 영아기에 발견이 가능할 뿐 아니라 조기 개입의 효과가 크게 기대된다.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판별에 준거가 되는 공동관심 능력 발달의 어려움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초기 특징이다. 이로 인해 영아기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진단하는 주요한 지표가 되는 공동관심 능력은 상대방의 공동관심 시도에 반응하는 공동관심 반응행동과 공동관심을 시작하는 공동관심 시작행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 어머니에게 반응적 의사소통전략을 적용한 환경중심 중재에 대한 교육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행동인 공동관심 반응하기, 공동관심 시작하기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가 처한 가장 자연적인 환경인 가정에서 어머니가 영아와의 놀이 상황에서 공동관심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실행할 수 있도록 어머니 훈련을 실시하였다. 어머니 훈련은 6회기의 어머니 교육과 그 이후 어머니가 전략을 실제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피드백 제공으로 이뤄졌는데, 어머니교육은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성, 영아에 대한 발달의 이해,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 환경중심중재의 개념과 특성, 환경중심중재전략, 반응적 의사소통을 적용한 환경중심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예시로 구성되었고, 이후 어머니가 실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피드백은 교육 전 아동과의 일상에서 기록한 놀이기록지 검토, 본 회기에 이루어진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평가와 지난 회기 놀이의 분석에 대한 연구자의 제안, 연구자와 어머니의 중재계획 논의 및 놀이계획안 작성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영아는 진단전문기관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로 진단을 받았으며 공동관심을 잘 보이지 않아 중재를 필요로 하는 30개월 이하의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들이었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측정을 위하여 참여 영아의 공동관심 반응행동과 공동관심 시작행동을 8초 관찰, 2초 기록의 10초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명의 참여 영아 모두 6회기의 어머니교육과 10회기의 피드백이 중재로 제공되었다. 중재 종료 직후 식사하기 활동의 상황 일반화를 3회기씩 측정하였으며 중재 종료 4주 후에는 중재효과의 유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한 환경중심중재 어머니 교육을 받은 어머니와의 놀이 활동의 결과, 참여한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모두 공동관심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어머니와의 놀이 활동을 통해 증가된 공동관심 시작행동과 반응행동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 참여 영아 1,3은 중재 후반부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고, 참여 영아 2는 중재 시기 평균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어머니와의 놀이 활동을 통해 증가된 공동관심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의 발생률이 식사하기 활동을 통해 세 명의 참여 영아 모두 상황 일반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반응적 의사소통을 적용한 환경중심중재 어머니교육은 공동관심행동을 보이지 않는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반응행동과 공동관심 시작행동의 발생률을 증가시키고, 식사하기 활동으로의 상황 일반화가 나타났고, 중재 종료 후에도 그 효과를 유지하였다.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연령에 있어서 국내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영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발달에 있어 핵심적 능력인 공동관심을 다루고, 조기개입에서 가장 적절한 환경으로 추천하는 대상 영아의 가정에서 진행하였다. 또한 어머니 교육을 통한 놀이 활동으로의 자연스러운 강화로 영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영아에게 직접적인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음에도 공동관심행동의 발생률에 있어 효과를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각 어머니의 요구에 맞는 개별화된 교육 내용과 진단 초기에 가족 구성원에게 필요한 자폐 범주성 장애에 대한 특성과 발달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Autism Spectrum Disorder(ASD) is largely based on biological, and neuro-developmental factors. ASD can be easily discovered in early ages, hence, early intervention should be emphasized. The impaired development of joint attention is typical aspects for autism children as well as criterion of identification for ASD. Children who have ASD tend not to have difficulty with specific expression of their needs, but they usually do not show the behavior of joint attention which can be defined as knowing shared focus with the others. The ability of joint attention is essential for learning languages, and developing social interactions. This study aimed to promote behaviors which are precursors of joint attention and joint attention behaviors for ASD children through a mother training program focused on naturalistic intervention applied respons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cusing on faces, joint engagement can be included in the precursors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initiating joint attention are the part of joint attention behaviors. To maximize effect of play strategies, this study gave a mother training. Mother training program was consist of mother education and feedback. Mother education curriculum for mother provided a framework for the intervention with suggested strategies. Interventionist provided feedback consist of reviewing the playing report, analyzing the play, interventionist's suggesting, planning and discussion of the intervention for implementing the play in natural family routin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ree toddlers with ASD. Criteria of eligibility were the children, who have age less than 30 months at entry, do not show the joint attention behavior. This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There were three periods throughout this research, nam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eriod. Observations of joint attention were conducted for every 10 seconds through partial-interval recording. After finishing intervention, effect of generalization for intervention was measured in 3 s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hown as followed. First, all toddlers showed improved rate of joint attention through mother training. Second, in four-week follow-up observation, the rate of precursors for all participants were maintained. Third, all toddlers showed the generalized intervention effects for the other situations. In summar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children who have ASD, their joint attention can be effectively promoted and maintained through a mother trai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