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미경-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creat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47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4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9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94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36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s of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and the ways of its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sts of the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online surveys. First, as a literature research, the definition, features of serials and the guidelines of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were reviewed.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importance of serials's collection management in public library was viewed upon. Second, the policy and cas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re studied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in the public library. Nine Domestic libraries which had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were studied. By understanding the policy and cases the elements that shaped it were pulled out. The libraries in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s: Seoul Metropolitan Library, Busan Metropolitan Simin Municipal Library, Daegu Metropolitan Jungang Library, Incheon Metraopolitan City Michuhol Library, Daejeon Hanbat Library, Gwangju Municipal Mudeung Library, Sunkeong Library, Jeollanamdo Provincial Library, Jeonbuk Library. As cases of international libraries, 『A study on the collection management process and core collection in public libraries』(2008) was referenced. From the online website the full text of collection management policy was viewed and three public libraries that had policy on serials were chosen. The final libraries were the followings: Boston Public Library, San Francisco Public Library and Rochester Public Library. Second, a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librarians to understand the condition of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and the perceptions of the librarians. Among the libraries possessing more than 50 serials which were a total of 107 librarians were asked to participat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9th to November 6th of 2016 and a total of 30 libraries responded back that the survey was sent. Based on analyzing the websit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es and the survey the conditions of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in public libraries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number of serials possessed in the library were lower than the standards of the law. Also there was a deviation among libraries. Second, there were not many libraries which had policy regarding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and even the one’s that had the policy were to broad to be applied. Third, serials did not reflect the nature of the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the libraries did not follow the trend of possessing online serials. Fourth, serials were only allowed to be viewed in the library which limited the access. Based on research on the conditions of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e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as ways of improvement. First, in case of management, a policy of serials should be made and used for consistency and fairness in collection management of the collections synthetically. in a national level an assessment of serials should be made. Also there is a need of technical support of the library system from Public Library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Second, in case of service, there is a need for expanding the collection. Among items that are donated the one’s that are valued for possession should be entered or in case of free newspapers a pack should be made. A collection that reflects the local communities should be made. In order for better use of space and for diversity, the use of online serials should be expanded. There is a need of allowing to borrow serials. Based on the doing a statistical analysis the information should be used for collection assessment and development. Also, by expanding the online approach, both serials that are possessed and not should be accessed. From this we can enhance the interest of users. In this study, the conditions of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e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problems, ways of improvement are suggested.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future of being the foundation of creating a policy of serials and will expand the collection and lastly improve information services.;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연속간행물 장서관리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현황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장서관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홈페이지 및 장서관리 정책조사, 온라인 설문조사 등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연속간행물의 개념과 특성, 연속간행물 장서관리 업무의 의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실태조사를 위해 첫째, 국내외 장서관리 정책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국내 지역대표도서관 중에서 연속간행물 관련 장서관리정책을 통지한 9개관의 장서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 대상 지역대표도서관은 서울도서관,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 인천광역시 미추홀도서관, 대전광역시 한밭도서관, 광주광역시 무등도서관, 경기도 선경도서관, 전라남도립도서관, 전북도청도서관이다. 국외 사례조사의 대상으로는 서혜란 외(2008)의 『공공도서관 장서관리 실태조사 및 기본장서목록 연구』를 참고하여 온라인에서 장서관리정책 전문을 공개하여 확인할 수 있고, 연속간행물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3개관의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 도서관은 보스턴 공공도서관(Boston Public Library), 샌프란시스코 공공도서관(San Francisco Public Library), 로체스터 공공도서관(Rochester Public Library)이다. 둘째, 국내 공공도서관의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현황을 파악하고 업무 담당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장 많은 공공도서관을 운영하는 경기도를 연구 대상 지역으로 하여 기본 50종 이상의 연속간행물을 소장하고 있는 일반 공공도서관 총 153개관 중에서 이메일 주소 제공에 동의한 107개관의 담당자에게 온라인 설문조사지를 배포하여 2016년 10월 19일부터 11월 6일까지 31개관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또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에 포함되지 않은 기초자치단체의 소속 공공도서관의 중앙관에 대해서는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장서관리정책을 통지받아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와 정책조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한 공공도서관을 소재한 지역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경기도 31개 시·군 중 26개 기초자치단체이다. 국내외 홈페이지 조사, 정책조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된 공공도서관의 연속간행물 장서관리 현황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장하는 연속간행물 장서의 규모가 법적 기준에 미달하는 도서관이 있었으며 도서관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연속간행물 장서관리 지침을 수립하여 이를 근거로 체계적인 장서관리를 수행하는 도서관이 많지 않았다. 보유하고 있는 지침의 내용도 포괄적이어서 실제 업무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지역사회의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연속간행물 장서구성이 이루어졌다고 하기 어렵다. 또한 전자출판의 비율이 증가하는 연속간행물의 출판현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인쇄 연속간행물 중심의 장서를 구성하였다. 넷째,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에서 연속간행물은 관내 열람으로 대출을 제한하였다. 또한 일부 도서관에서는 연속간행물을 등록하지 않거나 분류·목록하지 않는 등 자료에 접근하기 위한 충분한 접근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상의 국내외 정책 등 사례조사, 국내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운영 및 관리의 측면에서 연속간행물 장서관리 지침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관성·공정성 있는 장서관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지침은 상세하고 객관적인 기준으로 업무에 참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공공도서관 장서관리 평가에 연속간행물 관련 내용을 포함하여 양적·질적인 개선을 독려할 필요가 있다. 공공도서관 표준관리시스템(KOLASⅢ)의 기능개선 요청을 통해 종 단위에서 개별호 단위로 목록 작성을 가능하게 하여 주제명 키워드를 통한 자료접근성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이용자 서비스의 측면에서 기본적인 연속간행물의 장서 규모를 확보해야 하며 소장가치가 있는 기증 연속간행물을 등록하거나 구입할 수 없는 자료에 대한 수증을 협약하는 등 적극적으로 연속간행물 종수를 확대해야 한다. 공공도서관이 속한 지역에서 발행되는 연속간행물을 포함하여 지역사회의 특색을 반영한 장서개발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소장공간의 활용과 장서의 다양화, 접근 편의성 확대를 위하여 온라인 연속간행물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속간행물의 특성과 개별 도서관의 형편을 고려한 방식으로 연속간행물 대출 서비스를 시행하여 이용통계를 장서평가와 장서개발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서관자료의 접근성을 확대하여 소장하고 있는 연속간행물을 효율화하고 미소장 자료에 대해서도 적극 적인 리퍼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국내외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문제점을 고찰하여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장서관련 지침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발전은 도서관장서의 범위를 확대하고 정보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C. 선행연구 6 Ⅱ.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의의 11 A. 연속간행물의 개념과 특성 11 B. 연속간행물 장서관리 업무와 지침 16 C.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중요성 24 Ⅲ. 공공도서관 연속간행물 장서관리 실태조사 27 A. 국내외 장서관리 사례 및 정책 분석 27 B. 국내 장서관리 현황 분석 56 Ⅳ. 공공도서관 연속간행물 장서관리의 개선 방안 76 A. 운영 및 관리 측면 77 B. 이용자 서비스 측면 80 Ⅴ. 결론 86 참고문헌 89 부록. 업무 담당자 대상 설문지 93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46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공공도서관의 연속간행물 장서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ement of Serial's Collection Management in the Public Library-
dc.format.pagev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