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의 활용 양상 분석

Title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의 활용 양상 분석
Other Titles
Using Educative Curriculum Documents to Support Elementary Teachers’Learning :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Authors
유지승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이 진행되고 있으나 정작 일선 초등교사들은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를 읽지 않아 교실의 교육과정과 수업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함의와 개정 의도가 잘 반영될지는 미지수이다. 더욱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요소들을 새롭게 등장하였기에 이를 해석하고 수업에 적용하는 교사의 능력이 더욱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교육과정 이해와 활용 향상을 위해서 교사의 학습자원으로서의 교육과정 문서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교육과정 문서를 사용하는 가운데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육과정 재구성 및 개발 능력까지 길러질 수 있다면 교사들은 교육과정 문서를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를 사용하는 세 교사의 교육과정 읽기, 평가, 적용의 과정을 면밀히 비교·분석하여 문서에 따른 교사 학습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와 비교할 때, 교사들이 교사의 학습 지원을 위해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를 읽는 양상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와 비교할 때, 교사들이 교사의 학습 지원을 위해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를 평가하는 양상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와 비교할 때, 교사들이 교사의 학습 지원을 위해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를 적용하는 양상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이다. 위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 아이디어인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고찰한 후 교사의 교육과정 문서 이해와 설계, 재구성을 지원하는 문서 개발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기존 교육과정 문서 개선 관련연구들은 문서의 외적 체제와 문서 내 요소의 진술 제시방식 개선을 강조하고 있어 독자인 교사를 고려한 문서에 대한 탐색이 다소 미흡했다. 교사의 교육과정 활용 양상은 읽기, 평가, 적용의 단계로 나뉘며 교육과정 활용의 질을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 문해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사가 교육과정 문해력을 높일 수 있고, 교사 학습을 지원을 하는 교육과정 문서를 활용할 때 교사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해와 구상의 질은 향상될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중 사례연구방법을 활용 하여 세 교사가 서로 다른 두 교육과정 문서를 활용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사의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의 특징과 해외 여러 교육과정의 특징을 종합하여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였고, 이 교육과정 문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를 활용할 때 나타나는 교육과정 활용 양상과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때 교사와의 면담,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세 교사들의 교육과정 읽기 양상의 변화, 평가 양상의 변화, 적용 양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교사들은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을 읽을 때 문서를 의미와 논리를 가진 텍스트로 인식하였고 텍스트의 구조를 이해하며 읽었다. 또,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하고 개발하였는지 그 논리와 맥락 이해하며 읽는 양상을 보였으며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에서는 제시된 질문을 통해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문서와 상호작용하며 읽는 양상 보였다. 둘째, 교사들이 두 문서를 평가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과는 달리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을 통해 일반화된 지식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교과 지식 구조 학습이 가능했고 지도서와는 다른 교육과정 문서의 역할을 생각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른 두 교사와 달리 김 교사의 경우 교과 지식 구조에 대한 학습은 이루어졌으나 이것이 학생과의 수업에서 가지는 의미는 없다고 평가하였다. 셋째,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를 활용한 수업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수업과 달리 일반화된 지식이 보다 적극적으로 수업의 목표에 반영이 되었다. 또 교사들은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교과 내용 전개 논리를 수업 구성에 적용하여 차시를 전개했으며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이를 창의적인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김 교사의 경우 일반화된 지식을 반영한 수업 목표와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논리가 반영된 차시 전개를 보이지 않았으며 창의적인 활동 구상도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는 교사의 교육과정 활용의 변화를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수업에 적용, 반영하는 학습이 두드려지게 나타났다. 이는 다음과 같은 개선된 교육과정 문서의 특징과 요소로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첫째,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는 교사의 교육과정 지식의 향상을 이끌었다. 일반화된 지식과 같은 여러 교육과정 용어의 정의와 역할, 기능 그리고 학습과정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서술하여 교사가 교육과정 문서를 읽고 충분히 이해하도록 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개발자의 의도와 논리가 제시되어 교사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일반화된 지식이나 성취기준, 주요 학습개념을 논의의 결과로 제시하지 않고 선정 근거와 관련 교과 지식을 함께 제시하여 교사는 개발 논리를 학습할 수 있었다. 셋째, 풍부한 교과 내용 지식을 제시하여 교사가 교과 지식 구조와 일반화된 지식의 이해가 가능했다. 소수의 핵심 개념 외에도 관련 상위, 하위 개념을 제시하여 교사가 체계적으로 학습 내용과 일반화된 지식의 원리를 학습하였다. 넷째, 핵심질문을 제시하여 교사의 적극적인 문서 읽기와 교수학습과정과의 연계를 이끌었다. 교사는 핵심질문에 대답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문서를 이해할 수 있었고 다소 추상적인 교육과정 문서를 구체적 교수학습상황과 관련지으며 교육과정 문서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 활용 과정을 분석하며 교육과정 문서에 따른 활용 양상의 변화와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사 학습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은 독자인 교사를 고려한 진술 및 제시 방식과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향상을 돕는 정보를 통해 다양한 양상의 교사 학습을 가능케 하였다. 이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가 교사의 자율적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보장하며 동시에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는 교사의 교과와 교육과정 이해는 창의적 수업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김 교사와 같이 교과서를 교육과정 운영의 주요 자료로 인식하고 사용하는 경우 교육과정 문서만으로는 교사 학습을 이끌기 어렵기 때문에 교사 연수와 추가 자료, 교사 양성 교육에서 또한 교육과정 문해력과 전문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교육과정 문서 개선은 학습 내용과 운영 지침의 제시뿐만 아니라 독자인 교사에게 의미 있는 문서가 될 수 있을지 또한 고려하며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고려한 문서 개선과 그 외 학습 지원이 가능할 때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은 향상될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교육과정 문서 외에도 교사가 읽고 사용하는 교육과정 자료가 다양하며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 장면이 아닌 수업계획안 작성까지만 살펴보았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요인과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과정 문서를 통한 교사 학습 양상과 가능성을 탐구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The New Curriculum released in 2015 tried to show enduring understandings and overcome mere knowledge aquisitions. However the Curriculum document did not change and can not support the aim of revision. It can make a teacher in the classroom confused about the purpose, intentions, and aims of the 2015 Curriculum.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that Educative Curriculum document can lead to a teacher’s interpretation and competency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Following the results of Former studies, The Educative Curriculum document can raise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critical skills and creativity in their ow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manner of using the Curriculum between two different documents, and also to find out how Educative Curriculum Document forms a teacher`s learning.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are the changes in teachers` Curriculum Reading Caused by 2015 Curriculum and Educative Curriculum? Second, What are the changes in teachers` Curriculum Evaluating Caused by 2015 Curriculum and Educative Curriculum? Third, What are the changes in teachers` Curriculum Adapting Caused by 2015 Curriculum and Educative Curriculum? The procedur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teachers’ manner of Educative Curriculum’s reading, evaluating, adapting compare to 2015 curriculum. Three elementary teachers read two curriculum documents and evaluated them. Then they made lesson plans using two curriculums. According to analysis within-case and cross-case, Observation videos, notes and interview transcriptions, teacher`s lesson plan were analysed.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authentic process of a teachers’curriculum use and how Educative curriculum document leads the changing of teachers learning. Therefore during the anaylsis the focus wa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the curriculum. Following the within-case analysis, Teacher Kwon considered the standards and results of learning instead of what she had to teach. In reading she could have interacted more with the writer of the curriculum by interpreting the writer`s intention, and reading the document in more detail by answering the‘key question’. Teacher Lee thinks the Educative curriculum is more useful because after reading it she learned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the aim of the enduring understands. By these learning she reconstruct her lesson plan rather than follow the curriculum. She changed the purpose of the lesson to get the big idea, and put more effort in 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periods. Teacher Kim also showed changes in reading and evaluating. When she read the Educative curriculum she could follow the thinking of curriculum developer. and considered the students more. The following features could be found from the cross-case analysis. When the Educative curriculum was given, teachers can focus on student`s learning instead of their teaching. They can also learn the process and decision making of curriculum developers. Factors such as‘key questions’can lead a teacher concentration on the curriculum and make them interact better. In teachers’Curriculum Evaluating, the Educative curriculum make them agree to the needs of enduring understands and make the teacher learn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big ideas. After use of the educative curriculum a teacher can change their thinking the Educative curriculum document can lead their learning and that it is worth it. When three teachers adaptied Educative curriculum, they showed that based on interpretation creativity of curriculum use and reconstruction can be possible. They can form the insights of lesson contents, so that they can change the aim of a lesson and the structure of curriculum following their thinking. Raising curriculum literacy leads to the improvement in curriculum potential.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 and future studies can be suggested. First, a teacher can learn the standards and processes of thinking from the curriculum if the Curriculum developer and writer show their intention and decision making. Telling the details about what they think and how they decide can help teachers improve their curriculum literacy. Second, the‘Key question’makes a teacher interact with curriculum more and make them build up the knowledge to the enduring understands. Question makes teacher concentrate and consider their students while reading. Third, there should be more resourses to help a teachers learning. Educative curriculum lead teachers competency in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design but It requires additional education programs. Fourth, This study examines a teachers’reading to adapting and not performing. It is obviously different and shows another implications in lesson performing and students’learning. Therefore future studies can further research this subject and matter in more detai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