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박제언-
dc.creator박제언-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35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3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5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57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32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에드바르트 뭉크(Edvard Munch, 1868-1944)의 여성이미지에 나타나는 여성관을 사회적 맥락과 함께 고찰함으로써 그 의미를 보다 폭넓게 조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뭉크의 여성이미지에 관한 선행 연구는 그의 불우한 개인사와 연결 지어져 여성을 어둡고 음울한 존재로 표현하고 있다는 해석이 주를 이루거나, 1970년대 페미니즘 미술사 연구들에서 19세기 말 미술에서 나타나는 혐오적 여성재현의 문제를 다루는 맥락에서 읽는 논의에 그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뭉크가 당대 여성의 사회적 입지변화와 여성노동자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있던 점과, 여성과 함께 교육받으며 자라온 환경 등을 고려할 때 사회적 맥락에서의 여성관을 해석해 낼 여지가 있다는 전제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뭉크의 여성이미지에 나타나는 다양한 모티브를 통해 종래의 개인사적 맥락과 함께 시대적 배경을 균형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19세기 말 유럽에서는 여성을 가정의 영역에 귀속시키고 억압하는 부르주아적 가정 이데올로기가 정립되었고, 이에 반하는 움직임이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노르웨이에서도 1880년 최초의 여성단체가 설립되면서 여권신장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노르웨이의 지식인들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여권운동을 지지하였으며 뭉크도 시위와 관련된 그림을 그리거나 직접 참여하는 등 적극적으로 여성문제에 개입하였다. 뭉크는 교육받은 여성에 의해 양육되었고 여자 형제들과 함께 수학하였으며, 예술대학과 문학그룹에서 여성 지식인들과 교류하는 등의 경험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은 뭉크가 여성을 지성을 가진 독립적 주체로 인식하였을 수 있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뭉크는 가족을 모티브로 한 여성이미지에서 투병하는 누이를 성자처럼 묘사하거나 어머니의 죽음을 생명을 탄생시키기 위한 숭고한 희생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특징은 죽음을 단순한 종말이 아닌 생명으로의 회귀로 받아들였던 뭉크의 순환적 세계관과도 연결되어 뭉크의 양가적인 여성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뭉크는 19세기 말 상징주의의 주요한 주제였던 신화와 전설 속의 여성을 모티브로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당대 문학과 철학에서 유행하던 성녀와 악녀가 결합된 이중적 여성상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이미지들에서 뭉크가 여성을 생과 사, 선와 악이 공존하는 양가적인 존재로 받아들였음을 읽어낼 수 있다. 한편 뭉크는 여성 지인들의 초상화를 제작하면서 어머니와 아내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여성과 아이를 함께 그리던 당대의 일반적인 방식을 벗어나 여성을 단독초상이나 부부초상으로 그렸으며, 부부초상에서 관습적으로 표현되던 남성우의의 시선배치를 전복시켜 묘사하였는데 이러한 특징에서 여성을 독립적인 존재로 표현하고자 했던 뭉크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여성노동자들을 익명화 시켜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상징하는 보편적 존재로 묘사하고 있는 점과, 매춘부를 에로틱한 시선을 걷어내고 노동하는 존재로 적나라하게 그리는 점은 뭉크가 여성노동자들이 처한 부당한 현실에 대해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이 뭉크의 여성이미지에 나타나는 여성관은 이원적이면서도 일면 진보적 인식을 표출하는 등 복합적인 양상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면적인 양상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 뭉크의 여성이미지에 나타나는 복합적 함의를 보다 명확하게 들여다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뭉크라는 한 작가의 여성이미지가 개인사 일변도로 해석되거나 19세기말 여성에 대한 혐오적 재현의 일례로 받아들여졌던 한계를 넘어 보다 복합적인 측면에서 그의 여성이미지의 의미를 재고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paper is a study to consider the view of womanhood appearing on the Edvard Munch's female images with the social context and to illuminate the meaning more broadly. Preceding researches on the Munch's female images up to now have mainly been interpreted that he expressed women as dark and gloomy beings in connection with his disadvantaged personal history or have shown a tendency that the researches were no more than discussions only in the context of dealing with the issues on aversive reproduction of women appearing in the studies of the Feminism art history in the 1970's and in the late 19th century art. However, considering the points that Munch was aware of the social position changes of the women in that period and the problems of women workers and considering the environment that he was brought up and educated together with women, this research began under the premise that there is a room for interpreting his view of womanhood in the social context in an unconventional way. In this paper, I am going to analyze Munch's view of womanhood through various motives appearing on his female images in balanced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s well as the old personal historical context. Bourgeois family ideology was established in Europe at the end of 19th century limiting women within the family territory and suppressing them, and the movement against this ideology was spread throughout Europe starting from England. In Norway, the first women's organization was founded in 1880 and the demands for the expansion of women's rights were remarkable. Norwegian intellectuals supported the feminist movement through various activities. Munch also intervened in the issue of women actively by drawing pictures related with or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 Munch was brought up by an educated woman, studied with his sisters together and had experiences of communicating with female intellectuals in art college and literary groups. It can be inferred from these factors that Munch may have recognized women as intellectual independent subjects. Munch described her sister under medical treatment as a saint or his mother's death as a noble sacrifice for the birth of a life in the female images motivated from family. This characteristic was linked to his cyclical view of world which accepted a death not as mere end of life but as a return to life and shows his ambivalent female perception. Munch produced various works based on the motives of women in myths and legends which were the main themes of symbolism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was in line with the dual woman image which is a combination of a woman saint and a wicked woman which was popular in contemporary literature and philosophy. We can read from these female images that Munch accepted woman as an ambivalent subject with life and death, good and evil. Meanwhile, when Munch drew the portraits of his female acquaintances, he painted a woman as a single portrait or a couple portrait breaking the conventional way of painting the woman and child(ren) together to emphasize the woman's role as a mother and a wife at that time. He overturned the disposition of the male dominant eyes conventionally expressed in the portrait of a couple, which shows his intention to express a woman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addition, the fact that Munch describes women workers as universal beings representing proletarians through anonymity and describes the prostitute explicitly as a working subject without erotic eyes shows that he was strongly aware of the unjust reality the women workers were facing. As shown above, the view of womanhood appearing on the Munch's female images was realized as a composite aspect expressing dualistic and progressive recognition. When considering the multifaceted aspects together, we could see more clearly the complex implications appearing on the Munch's female images.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meaning of Munch's female images was reconsidered in a more complex way beyond the limits that one artist's female images were interpreted as a personal history only or accepted as an example of the aversive reproduction of the women in the late 19th centu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뭉크의 여성관의 형성배경 5 A. 19세기 말 노르웨이 여성의 사회적 위치변화 5 B. 뭉크의 여성관 형성의 개인사적 배경 12 Ⅲ. 모티브 별로 본 여성에 대한 뭉크의 시각 18 A. 가족 18 B . 신화와 전설 속의 여성 27 C. 지인 43 D. 여성 노동자 50 Ⅳ. 결론 57 참고문헌 60 도판목록 68 도판 75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702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여성이미지를 통해 본 에드바르트 뭉크(Edvard Munch)의 여성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View of Womanhood in the Female image of Edvard Munch-
dc.format.pagei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