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0 Download: 0

양성 및 현직 교육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Title
양성 및 현직 교육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n & Needs for Training Course & In-Service Education
Authors
신수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양성 및 현직 교육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양성 및 현직 교육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양성 및 현직 교육에 대한 영아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ㆍ수도권 지역에 있는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 2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김은영(2016), 김현영(2013), 유병예(2013), 이진희(2011)의 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교육에서 영아교육을 수강한 비율은 응답자의 절반정도였으며, 양성교육에서 받은 영아교육이 교사 생활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실습의 경우 영아반 실습을 경험한 비율은 절반정도였으며, 영아반 실습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영아와의 상호작용방법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꼈고, 실습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영아의 발달수준에 대한 이해부족을 어려워하였다. 둘째, 현직교육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대부분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현직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양성교육에서 영아교육 관련 내용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실제적인 도움이 되지 않고 시간투자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셋째, 영아교사는 영아교육의 효과적 시기에 대해서 양성교육이라고 하였다. 양성교육에서 영아 교육활동 및 놀이지도 실제와 관련된 다양한 교수방법 교육을 가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다양한 직접경험의 기회증가 등 많은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향후 실습의 방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유아반과 영아반 실습을 동등한 시간과 비율로 해야 한다고 하였다. 원하는 현직교육 방식은 사례나누기를 통한 교수전략 세우기를 가장 선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양성교육에서는 영아교육에 대한 교과목 및 내용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양성기관과 현장의 실무중심 교육 연계가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영아반 실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아교육에 특화된 현직교육의 요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n and needs for a training course and in-service education. Hence,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1. What recognition infant teachers have on a training course and in-service education? 2. What needs infant teachers have for a training course and in-service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63 infant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 Doㆍmetropolitan areas. Research tools were produced in this study based on researches by Eun-Young Kim(2016), Hyeon-Young Kim(2013), Byeong-Ae Yoo(2013) and Jin-Hi Lee(2011).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bout half respondents participated in infant education in a training course and said that infant education from a training course gave aid to living a life as teacher. As for practice, a ratio experiencing practice in an infant class occupied about half and teachers having experience of practice in an infant class had difficulty in how to interact with infants and teachers having not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 developmental level of an infant. Second, most infant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in-service education. They said the reason why in-service education is needed is that training course has insufficient contents on infant education and the reason why it is not is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investing time and it is not helpful practically. Third, infant teachers said that training course is effective for infant education. They mentioned that many improvements are needed for education on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related to infa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play guidance in a training course to offer an opportunity for various direct experiences. As for practice hereafter, most teachers said that practice for early children and infant classes should be done in identical hours and ratios. In addition, as for in-service education methods they wanted, they preferred instructional strategy making most through case sharing. Judging from these research findings, subjects and contents of infant education should be intensified in a training course. Besides, educational linkage centered on practice between training institution and field should be made so through it infant class practice has to be strengthen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needs of in-service education specialized in infant education is to be refle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