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김경빈-
dc.creator김경빈-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33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3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7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76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31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early children's preparation for entering an elementary school before school age and their parents' recognition on school readiness according to types of institutions early children are attending. Hence,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1. Is there difference in early children's preparation for entering a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ypes of institutions? 1-1. Is there difference in preparation for entering an elementary school at home according to types of early children's institutions? 1-2. Is there difference in preparation for entering an elementary school at an institution according to types of early children's institutions? 2. Is there difference in parents' recognition on school readiness according to types of early children's institutions? 2-1. Is there difference in parents' understanding on school readiness according to types of early children's institutions? 2-2. Is there difference in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impotance of school readiness factors and help from the institutional education for achieving school readiness evaluated by parents according to types of early children's institu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parents of 237 early children before school age attending a kindergarten, day care center and a private institute at a 5-year-old class through a questionnaire. Questions on preparation for entering an elementary school and understanding on school readiness we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rough related precedent studies. As for evaluation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importance by factor and help from the institutional education for achieving school readiness, school readiness standard of Murphey and Burns(2002) adapted by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as corrected and complemented in this research. For data analysis, the mean and S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cross analysis were ANOVA conducted. Scheffé post hoc test was done i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NOVA.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partial difference in preparation at home according to types of institutions early children were attending. As for a kindergarten, day care center and a private institute, it showed that private institute parents were preparing most at home. Preparatory activities were mainly basic learning related to math and written language. Secondly, there was difference in preparation of institutions according to types of institutions early children were attending. It revealed that education on entering an elementary school for early children and their parents was conducted at a kindergarten most actively and at an institute most infrequently. Third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n parents' school readiness according to types of institutions early children were attending. In other words, most parents understood pre-school preparation of their children as 'school readiness' emphasizing adaptation to a school life rather than as 'learning readiness' stressing learning abilities. Fourth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importance by school readiness factors(social-emotional developments, Approaching to learning, communicative skills, cognitive-intellectual developments, basic life habit formation) according to types of early children's institutions but there was partial difference in present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and help from an institution for achieving readiness. As for present school readiness for basic life habits, day care center parents evaluated their children's readiness high. As for help from an institution for achieving school readiness, it showed that kindergarten parents felt they had a lot of help from an institution in learning attitude formation, communicative skills and basic life habits. This study suggests that transition practice to an elementary school is needed for early children and their parents before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a similar level regardless of types of institutions and supports by institution and home are required for school readiness related to basic life habit formation before entering a school. In particular, transition practice to an elementary school and guidance for basic life habits are needed more urgently for early children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han those attending a kindergarten or a day care center.;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초등학교 진학 준비 현황과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취원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준비 현황에 차이가 있는가? 1-1.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가정 내 준비 현황에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기관 내 준비 현황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라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라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라 부모가 평정한 자녀의 학교준비도, 학교준비도 요인별 중요도, 학교준비도 달성에 대한 기관 교육의 도움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학급 취학 전 유아 237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준비 현황 및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과 관련한 문항은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자녀의 학교준비도 평가, 요인 별 중요도, 학교준비도 달성에 대한 기관 교육의 도움 정도는 Murphey와 Burns(2002)의 학교준비도 기준을 한국아동패널(2014)에서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른 가정 내 준비 활동 현황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 중 학원 학부모가 가정 내에서 별도의 준비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활동은 주로 수학 및 문자 언어와 관련된 기초학습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른 기관 내 준비 활동 현황에 차이가 있다. 유아 및 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교 진학 관련 교육은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 중 유치원에서 가장 활발하게, 학원에서 가장 저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른 학부모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는 차이가 없었다. 즉 대부분의 학부모가 학습 능력을 강조하는 '학습준비도'보다 학교 생활 전반에 대한 적응을 강조하는 '학교준비도'로서 자녀의 취학 전 준비를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라 학교준비도 요인별(사회·정서발달, 학습태도형성, 의사소통능력, 인지·지적발달, 기본생활습관형성) 중요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자녀의 현 학교준비도와 준비도 달성에 대한 기관의 도움도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자녀의 현 학교준비도에서는 기본생활습관에 있어 어린이집 학부모가 자녀의 준비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학교준비도 달성에 대한 기관의 도움도에서는 학습태도형성, 의사소통능력, 기본생활습관에 있어 유치원 학부모가 기관의 도움을 가장 많이 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원 기관 유형과 관계없이 초등학교 취학을 앞 둔 모든 유아와 부모들에게 비슷한 수준의 초등학교 전이교육이 필요하다는 것과, 취학 전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관련된 학교준비도에 대한 기관과 가정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학원 취원아의 경우 유치원, 어린이집보다 기관 내 초등학교 전이교육과 기본생활습관교육에 취약하여 이에 대한 지도 및 지원이 더욱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의 초등학교로의 전이 6 B. 학교준비도 13 Ⅲ.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연구도구 20 C. 연구절차 22 D. 자료분석 2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4 A. 취원 기관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입학 준비 현황 24 B. 취원 기관 유형에 따른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31 Ⅴ. 논의 및 결론 35 A. 논의 35 1. 취원 기관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입학 준비 현황 35 2. 취원 기관 유형에 따른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37 B.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3 부록 51 부록 1 51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93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취학 전 유아의 취원 기관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입학 준비 현황과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early children’s preparation for entering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ype of institutions and parents’ recognition difference in school readiness-
dc.creator.othernameKim, Kyongbin-
dc.format.pagev, 62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