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활용

Title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활용
Other Titles
A Study on Early Children Teachers' Recognition & Application of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uthors
강민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children developed by the government and early children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programs provided at national educational fields for 10 years. Hence,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1. How are early children teachers' general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government-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children? 2. How are early children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government-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children by program? In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to measure early children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programs developed by the government based on instruments used for researches by Seong-Suk Bu(1999), Min-Seon Keum(2004) and Hae-Jeong Yoon(2007). Firstly, questions on general recognition were added based on program application or not, reason for application of a program and reason for non-application of a program by Hae-Jeong Yoon(2007). Besides, Seong-Suk Bu(1999), Min-Seon Keum(20040 and Hae-Jeong Yoon(2007) suggested specific contents of activity disorder as questions in researches on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so activity disorder factors were categorized. Other questions on individual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a program were produced fitting for objectives of a program.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governmen used for the survey were limited to those developed·distributed for the past 10 year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arly children and of teachers' average years of experience. Furthermore, in order to consider fairnes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t was limited to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children produced·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other governmental organs for kindergartens in the whole country excepting programs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 Develop Institutes with a view to specializing a regional curriculum.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general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government were relatively higher but it was limited to some programs. Besides, it show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government gave aid to supporting operation of a curriculum for some early children teachers having difficulty in it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nd contacting with a government-developed program through teachers' training was the highest. The reason why they used such a program was that they considered it was necessary at a field and the reason why they did not was that they were educating contents identical to such a program already.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used most frequently or considered adequate were program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re were many programs early children teachers considered inadequate developed by governmental organs except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government by program,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children's preparation for disasters ·life safety for supporting operation of a kindergarten curriculum showed the highest in many areas. Besides, application frequ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but unlike application frequency, adequacy for field, connection to curriculum and intention for continual application perceived by early children teachers were not influenced by governmental development departmen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suggesting improvements of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long with their efficient operation through examining early children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provided for the past 10 years at a field. Early children teachers recognized that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were helpful for operating a curriculum. Also, most of them had higher recognition on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hey had use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y are not enough aware of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for many reasons, leading to infrequent application, it is required to discuss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m to acquire information on such programs. Hence, it is expected for this research to form a foundation for discussion about measures for providing adequately early children teachers with governmental policies and supports for early childhood.;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지난 10년간 전국 유아교육현장에 제공된 프로그램들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활용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교사의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활용은 어떠한가? 2. 유아 교사의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별 인식과 활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정부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금민선(2004), 부성숙(1999), 윤혜정(2007)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기초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먼저 윤혜정(2007)의 프로그램 활용 여부, 프로그램 활용 이유, 프로그램 미활용 이유 등을 토대로 전반적 인식을 묻는 문항을 추가하였다. 또한 금민선(2004), 부성숙(1999), 윤혜정(2007)은 교사의 인식과 활용에 대한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활동 장애에 대한 구체적 내용들을 문항으로 제시하였는데, 이를 토대로 활동 장애 요인을 간략히 범주화 하였다. 이외의 문항들은 프로그램의 개별적 인식과 활용에 대한 문항으로, 프로그램 제작 목적에 맞추어 제작하였다. 설문에 사용한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지난 10년간 개발·배포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이는 일반적 유아교육기관의 특성과 교사의 평균 경력년수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또한 연구대상 유아교육기관의 형평성을 고려하기 위해, 각 지역의 교육과정 특성화를 목적으로 제작된 유아교육진흥원의 프로그램을 제외하여 교육부 및 그 외의 정부기관이 전국 유치원을 대상으로 제작·보급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 인식과 활용은 비교적 높은 편이라 볼 수 있으나 이는 일부의 프로그램에 한정된 결과였다. 또한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교육과정 계획 및 실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일부를 비롯한 여러 유아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지원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연수를 통하여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접하게 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이유는 현장에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져서이며 활용하지 않는 이유는 이미 프로그램과 같은 내용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활용하였거나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교육부가 개발한 프로그램이 많았으며, 유아 교사가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일부의 프로그램의 경우 교육부 외 정부기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많았다. 둘째,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별 인식과 활용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유아 재난대비·생활안전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활용 빈도의 경우 교육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활용 빈도와 달리 유아 교사가 인식한 현장 적합성과 교육과정 연계성, 지속활용의사등은 개발부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지난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 10년간의 현장에 제공된 프로그램들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을 알아봄으로써, 이를 통하여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들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유아 교사들은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했다. 또한 활용한 경험이 있는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한 인식이 대부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러 이유로 다양한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그로 인하여 활용이 낮아지고 있음을 고려하였을 때 유아 교사들이 정부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가 앞으로의 다양한 정부기관의 유아교육정책 및 지원이 현장의 유아 교사들에게 적합하게 제공 될 수 있는 방안 논의의 기초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