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유혜정-
dc.creator유혜정-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30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3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4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43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30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hed light on Robert Morris(1931~ ) who had been in sync with society of American and conditions of art world from 1960s to 1970s and his works in the aspect of criticism of Formalist modernism. In 1960s of America's art world, when Morris actively worked, as it had been very complex with diverse changes in the society, it was at the time of turbulent times. Formalist modernism and other tendencies that wanted to escape from it consequently appear and those are closely related to politics and social contexts on the times. In order to meet expectation of the period with dramatic changes, Morris stated the severance from original forms through many media and manners especially by crossing between several art tendencies and suggest to work that is mixed with diverse art genres' qualities and sometimes demonstrate dance performance on the stage in person. However, at that time, the studies on his works have mainly concentrated on minimalism sculpture and it was composed with studies on particular works and forms.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the criticism of Modernist formalism which can be felt throughout his works. Especially, limiting the periods from 1960s to 1970s, in which all aspects of criticism of Formalist Modernism appears concurrently and review his critical intentions in various points of view. First of all, in 1960s, Morris tried to dismantle Modernism's myth of originality by utilizing common object and using the methods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He tried to overcome existing works' concept which is pure aesthetic objects that reflect subject's transcendental intention through objet works that emphasized property of material. He also installed minimalism sculpture in geometrical shapes which occupy whole exhibition space and let audience experience the work by moving their body in real time and space. This was to criticize Modernist formalism's emphasis on vision that concentrated experience on the work exclusively to one sense of 'vision'. Furthermore, Morris wanted to dismantle Modernism sculpture's stereotype of static solid notion and open opportunities for new concept of sculpture that cover diverse areas through the so-called 'anti-form' sculpture that applied time progress with contingency. Meanwhile, Morris worked on piece that applied social contexts of America at that time. He performed that shows politicalization or criticize art system in post-capitalism and worked on to expose repression structure of the whole society. By these works, Morris tried to break away from aesthetic logic of Formalism that completely separated life and art and remained silent from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period. As an artist who had been questioned and remorse against the Formalist Modernism, Morris criticized it analytically in every aspect. With his diverse and continuous attempts, these provided foundation for tendencies in art and he was regarded as an representative artist who have opened Postmodernism by overcoming Formalist Modernism which was authoritative and closed. Through fundamental and continuous criticism on his work of existing system, another era of art history has been begun. Thu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that have considered entire aspects of Formalist Modernism in Morris' work between 1960s and 1970s.;본 논문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미국의 사회 및 미술계의 상황과 궤를 함께한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1931~ )의 작업을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이라는 축으로 조명한 연구이다. 모리스가 활발 하게 활동했던 미국 미술계의 1960년대는 복잡하고 변화가 많았던 사회 상황만큼이나 격변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다. 형식주의 모더니즘과 그것을 벗어나고자 했던 다양한 경향들이 잇달아 등장했던 것인데, 이는 당대의 정치, 사회적인 맥락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모리스도 이러한 극적인 변혁의 시기에 부응하면서, 여러 미술 경향을 넘나들고 다양한 예술 장르의 속성이 혼재된 작업을 제안하거나, 때로는 직접 무대 위에서 무용공연을 시연하는 등 다양한 매체와 방법으로 기존 양식들과의 단절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그간 이 시기 모리스 작업에 대한 논의는 미니멀리즘 조각의 지형도 내에서 이루어져오거나, 특정 작업과 형식에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모리스 작업 전반에 흐르고 있는 형식주의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근거하여 그의 작업을 해석해보고자 했다. 특히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의 모든 양상이 거의 동시에 드러나는 1960-1970년대로 기간을 한정하여, 그의 비판적 의도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1960년대 초 모리스는 평범한 사물을 활용하고 반복과 순환의 방식을 사용하여 모더니즘의 독창성의 신화를 해체하고자 했다. 작품의 물성을 강조한 오브제 작업을 통해 그는 미술가 주체의 선험적 의도가 담긴 순수한 미학적 대상이라는 기존 작품 개념을 넘어서고자 한 것이다. 또한 그는 기하학적 형태의 미니멀리즘 조각을 전시공간 전체를 점유하도록 설치하여, 관람자가 실제 시·공간 속에서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며 작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작품에 대한 경험을 오로지 '시각'이라는 하나의 감각에만 집중시켰던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시각중심주의를 비판하고자 한 것이다. 나아가, 시간적 '과정'과 우연성을 작품에 수용한 소위 '반형태 (anti-form)' 조각을 통해 모리스는 모더니즘 조각의 고정된 입체 개념을 해체하고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새로운 조각의 가능성을 열고자 하였다. 한편, 모리스는 당대 미국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한 작업을 실천하였다. 그는 일련의 정치색을 띠는 퍼포먼스를 수행하거나 후기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의 미술제도를 비판하고 사회 전체의 억압구조를 노출시키는 작업을 진행 한 것이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모리스는 삶과 예술을 철저하게 분리시키고 당대의 사회, 역사적 맥락에 대해 침묵하였던 형식주의 미학논리를 벗어 나고자 한 것이다. 이렇듯, 형식주의 모더니즘에 대한 의문과 반성의 시기에 작가로서 등장한 모리스는 여러 측면에서 분석적으로 형식주의 모더니즘에의 비판을 실천 하였다. 이러한 그의 다양하고도 지속적인 시도는 이후 전개될 많은 미술 경향에 밑거름을 제공하였고, 이로 인해 그는 권위적이고 폐쇄적인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극복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연 대표적인 작가로 꼽힌다. 기존 체제에 대한 그의 근본적이고도 지속적인 비판의식과 작업을 통한 실천에 의하여 또 다른 미술의 역사가 시작된 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60-1970년대 모리스의 작업에 나타난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의 측면을 보다 총체적인 시각으로 고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Ⅱ. 로버트 모리스 작업의 형성 배경 8 A. 1960년대 미국의 사회적 상황과 미술계 8 B. 모더니즘 비판의 기류와 모리스의 비판의식의 형성 13 Ⅲ. 1960-1970년대 모리스의 작업방식을 통해 본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의 양상 18 A. 초기 오브제 조각에 나타난 독창성 신화의 해체 18 B. 신체를 통한 시각중심주의 비판 28 C. 반형태 작업에 의한 조각 개념의 확장 39 D. 제도 비판을 통한 사회적 억압구조의 노출 49 Ⅳ. 결 론 59 참고문헌 63 도판목록 71 도 판 78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364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작업에 나타난 형식주의 모더니즘 비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60-1970년대 작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riticism of Formalist Modernism in Robert Morris's Works : Focus on the Period 1960-1970-
dc.creator.othernameLyu Hea Joung-
dc.format.pagev, 102 p.-
dc.contributor.examiner오진경-
dc.contributor.examiner전혜숙-
dc.contributor.examiner윤난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