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덕애-
dc.contributor.author이문영-
dc.creator이문영-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29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2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8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85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299-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amines George Herbert’s The Temple in which Herbert overcomes his flawed human nature and becomes an ideal human-being and a poet of the Renaissance through actions of self-cultivation. The poems of The Temple, in line with the genre of meditation poetry, follow a course of continuous self-examination and self-reflection by which it moves away from a state of human agony and to a godly mindset. The poems of The Temple illustrate poetry-writing as a process of correcting and developing Herbert’s thoughts, in the midst of emotional turmoil. In this sense, The Temple can be interpreted as a self-cultivating writing process. Relating to the concept of cultiva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horticultural metaphors used by Herbert. In The Temple, the garden is a central image of the process and the products of poetry. The use of organic metaphor can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self-cultivating writing, since the gardening, an art form of order and discipline, developed as an impressive metaphor of self-cultivation in Renaissance. In this context Herbert’s own choice of gardening metaphors in The Temple can be interpreted as a strategy to express his determination for self-cultivation. All the more, Herbert uses the horticultural metaphor to represent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s, and this is the way to stress the importance of divine art for becoming an ideal Renaissance man through self-cultivation. In this context, this thesis regards The Temple as a self-cultivating writing reflecting the 17th century Renaissance gardening which was a cultural trend of the time. Chapter II investigates the context of Renaissance self-cultivation through the 17th century English gardening trend. Through thi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gardening language inside The Temple actualizes the self-cultivation of Herbert relating to his ideal vocation. Chapter III analyzes how Herbert strategically uses gardening metaphors to cultivate himself into an ideal self and a poet. He uses barren uncultivated nature imagery as a metaphor for himself as an object of horticultural cultivation. On the other hand, Herbert uses productive natural imagery to project his desire to become his own ideal self. This is an expression of Herbert’s desire to change from a flawed self to an ideal self. However, this desire should be controlled because nature itself has become unstable after the Fall. Through the gardening metaphor, Herbert represents the art of restraint as a cure for nature and this is how Herbert learns the virtue of self-control. Futhermore, by portraying the divine gardener Herbert advocates the acceptance of divine art. In this matter, Herbert’s continuous requests toward God in the image of gardening is a strong expression of the characteristic of Renaissance ideal self. Herbert’s complete acceptance of divine art becomes accomplished when Herbert practices the divine gardener’s art in his own poems. Through this process, Herbert improves his own incomplete self transforming into a better self through the virtue of self-restraint and the complete acceptance of divine art. Therefore, Herbert’s poetry-writing through gardening language can be considered as an affirmation of the human advancement and the need of renewing of the human nature. In this sense, his writing itself is a creative undertaking to improve the imperfect human nature and cultivate oneself to be an ideal Renaissance self and a poet.;본 논문은 허버트(George Herbert)가『성전』(The Temple)을 통해 자신의 불완전한 인간 본성을 극복하고 이상적인 르네상스 인간이자 시인으로 거듭나기 위한 자기 개발을 실천하고 있음을 고찰한다.『성전』의 시들은 지속적인 자기 분석과 반성을 통해 각종 인간적 번뇌와 감각적 쾌락에 함몰되지 않음과 동시에 신적 차원의 생각으로 개발해 나가고자 하는 명상시 전통을 따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성전』의 시들에서 나타나는 내용 및 형식적 측면의 실험적인 특징들과 더불어 불연속적인 감정적 경험들의 묘사는 명상적 실천에 따른 시 쓰기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지속적으로 교정하고 개발해 나가는 과정 중의 산물로 보여진다. 이러한 논리에 따라『성전』에서의 허버트의 시 쓰기는 명상시의 전통과 연계하여 생각을 통제하고 개발해나가는 자기 개발의 실천적 글쓰기로 해석할 수 있다. 개발의 개념과 관련하여 본고가 더욱 주목하는 것은 허버트의 정원과 관련된 원예적 메타포 및 이미지의 사용이다. 『성전』에서 정원은 시적 배경이자 시 창작과정의 중심적인 이미지로 나타는데 이는 허버트의 자기 개발적 글쓰기의 성격을 더욱 분명히 한다. 무질서와 과잉에 반한 규율과 질서의 예술로서의 정원 가꾸기는 당시 영혼의 치유라는 기독교적 전통과 함께 르네상스적 자기 개발에 대한 심취로 이어졌다. 정원 및 정원 가꾸기는 양식의 개발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사법으로서 교양과 문명을 획득하는 수단이자 자기개발에 대한 효과적인 메타포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성전』에서의 원예적 메타포의 빈번한 사용은 허버트의 시 쓰기를 통한 자기 개발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전략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허버트는 정원적 메타포를 통해 신과 인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구축해내며 궁극적으로 신적 예술의 수용을 강조하는데, 이는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설파하는 신적 근원성을 기반으로 한 인간 존재의 노력과 신의 은총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끊임없는 자기 개발의 내용을 확고히 하는 지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성전』을 17세기 르네상스 정원 가꾸기라는 시대적 유행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자기 개발의 실천적 글쓰기로 보고, 원예적 언어의 사용이 허버트가 이상적인 자아로 개발되는 데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며 그 모습은 어떠한지 살펴본다. 본론 II에서는 17세기 영국에서 활성화된 정원 개발의 폭발적인 유행과 인기의 요인과 함께 정원 가꾸기가 표방하는 자기 개발의 내용을 면밀히 살펴본다. 이를 통해 문학 속에서 원예적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기 개발이 허버트의 이상적인 소명을 실현하는데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 기능과 효용성에 대해 분석한다. 본론 III에서는 본격적으로『성전』의 시에 나타난 원예적 언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원예적 메타포의 전략적인 사용을 통해 이상적인 자아이자 시인으로서 거듭나는 허버트의 자기 개발의 과정을 살펴본다. 허버트는 절박한 처지의 원예물과 자신을 평행시키는 구절을 통해 화자 ‘나’를 불모의 자연물로 제시하고 인간 자체를 원예적 개발의 대상으로 상정한다. 이와 반대로 변화되고픈 이상적인 자아의 모습은 결실을 통해 생산성과 유용성을 창출하는 원예작물에 투영된다. 이러한 작업은 정체되고 무생식적인 삶을 거부하고 역동적이고 생산적인 삶의 자아로 변화되고자 하는 소망을 피력하는 것이며 동시에 자신의 정체성을 재구조화하는 시도이다. 하지만 허버트의 성장 및 생산성에 대한 바람은 타락 이후 불완전한 자연으로서의 인간 본성으로 인해 과도한 욕망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기에 그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이상적인 자아가 되는데 있어서 견제의 대상이 된다. 허버트는 이러한 자연에 대한 치유책으로서의 절제의 예술을 정원 은유를 통해 재현해 내면서 절제의 미덕을 스스로에게 부여하고 습득해 나간다. 더 나아가 허버트는 신적 정원사를 등장시킴으로써 근본의 예술, 곧 신적 예술에 대한 완전한 수용의지를 밝힌다. 이러한 맥락에서 허버트의 식물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지는 신적 정원사를 향한 지속적인 간구는 성공적인 자기개발에 있어 신적 예술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르네상스 이상적 자아의 자질을 강하게 표명하는 것이 된다. 허버트의 자아와 신의 예술과의 완전한 합일은 시에 조원술을 직접 적용함으로써 신적 정원사의 행위를 실체적으로 예행하는 시인의 시적 기술이 신의 예술과 동일시되며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허버트는 자기 절제와 신적 예술의 완전한 수용을 통해 기존의 불완전한 자아를 극복하고 새로운 자아로 거듭나게 된다. 즉 허버트의 원예적 언어를 통한 시 쓰기는 인간 재창조의 필요성과 개선 가능성에 대한 강한 긍정과 의지의 표현으로서 불완전한 인간적 본성을 교정하고 바람직한 르네상스 자아이자 시인으로 자신을 개발해 가는 창조적 과업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르네상스 정원 가꾸기와 자기 개발 11 Ⅲ. 『성전』에서의 정원 가꾸기 26 1. 불완전한 자아와 불모의 자연물 26 2. 이상적인 인간/시인에 대한 소망과 생산적인 자연물 34 3. 절제의 예술과 신의 예술 44 IV. 결론 69 V. 부록 73 참고문헌 74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0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성전』에서 정원 읽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ading Garden in George Herbert's The Temple-
dc.format.pagei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