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국내·외 의료 환경 내 가족 참여 음악 중재 연구 고찰

Title
국내·외 의료 환경 내 가족 참여 음악 중재 연구 고찰
Other Titles
Review of Music Interventions with Famili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dical Setting
Authors
최다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외 의료 환경 내 가족이 참여한 음악 중재 연구 43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연구의 중재 내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문헌을 대상으로 연도, 출판 여부에 제한을 두지 않고 검색하여 1987년부터 2016년 11월까지 발표된 연구를 포함하였다. 연구의 전반적인 특징, 연구 대상자의 특성, 종속변인 및 측정 도구, 음악 중재 기법 및 음악사용, 연구 방법론을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의 음악 중재 참여 유형은 환자의 연령대 및 질병의 심각도에 의존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음악 중재 연구의 종속 변인 및 음악 중재 기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분석 연구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가족 관련 종속 변인은 심리·정서적 지표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러한 영역에 개입하기 위해 사용된 중재 기법은 음악 감상, 노래 심리치료 및 노래 부르기 등이었다. 한편 국외의 가족 포함 음악 중재 연구가 다양한 세부 의료 분과에서 꾸준히 논의 된 것에 비해 국내는 간헐적으로 일부 분과에서만 소수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어 국내 의료 환경에서 가족을 내담자로 포함하거나 환자와 동반 참여한 음악치료 중재 및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의료 환경 내 가족 참여 음악 치료 임상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며 중재 내용이 가족의 필요에 맞도록 관련 자료와 중재 내용에 대한 세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43 works of literature and analyzed overview of content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f music interventions for families of patients in medical setting. In this project, included studies were published from 1987 to november 2016. It were decided that items to be analyzed included statu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information of the studies, characteristic of subjects, dependent variable and measurement instrument, technique of music intervention or the use of music and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music intervention was dependent on the ages and severity of the disease of patients, and these had an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and techniques of music intervention. In the analysis of total works, there were great number of dependent variables of the perspectives and the psychological or emotional area. and there were used music listening, song phychotherapy and singing as technique. Finally, it is necessary to find a better way in domestic area on music intervention for families of patients because numbers of studies were very small. As follow this results, the contents of music therapy researches for families on medical setting were needed to supplement, and to specialize by the type of particip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