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0 Download: 0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Title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Other Titles
The program coordinators’ perception regarding the use of music for bereavement care in hospice and palliative settings in South Korea
Authors
김지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진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의 사별돌봄 현황과 사별돌봄 인식 및 사별돌봄에서의 음악 활용 현황과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사별돌봄 프로그램에서 음악치료 시행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 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 77곳과 시범사업 중인 요양병원 14곳의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사별돌봄 프로그램의 현황과 인식 및 사별돌봄 프로그램 내 음악 활용 현황과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온·오프라인을 통해 수집된 설문지는 총 55부였으며, 불충분한 답변 1부를 제외한 54부에 대해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대부분(92.6%)이 사별돌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사별돌봄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92.7%)도 높게 나타났다. 그에 반해 코디네이터들은 사별돌봄 프로그램이 불충분하다(78.2%)고 인식하였는데, 그 이유로 일회성 프로그램의 한계(58.2%), 인력의 부족(47.3%), 프로그램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43.6%)을 꼽았다. 사별돌봄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으로 코디네이터들은 사별가족 스스로의 필요성 인식(43.6%)과 의료진 및 기관 담당자의 필요성 인식(21.8%)이 증대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세팅의 절반 이상(50.9%)은 사별돌봄 프로그램에서 음악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사별돌봄 프로그램에서 음악치료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는 네 기관 중 한 곳(25.5%)으로 나타났다. 사별돌봄 프로그램 내 음악활용에 대해서는 긍정적(85.5%)인 응답이 높았으며, 절반 가까이 되는 기관에서 향후 음악을 활용할 의사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사별돌봄 음악치료에 대해서는 직·간접적인 경험이 없는 경우가 절반 이상(58.2%)이었지만, 사별돌봄 프로그램 내 음악치료가 시행되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83.6%)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사별돌봄 음악치료의 이점으로는 심리 정서적 안정(90.9%)이 다른 응답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사별돌봄 음악치료에서 고려해야 할 점으로 음악치료사들의 사별 관련 교육 및 훈련을 통한 전문성 확보(29.6%)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사별돌봄 음악치료 중재자의 학위 자격 요건으로는 석사학위 이상(56.4%)이 가장 높게 분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사별돌봄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의 프로그램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국내 기관에서 사별돌봄 프로그램에 음악에 대한 사용 비중이 적지 않고, 음악 활용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 향후 음악치료가 사별돌봄 프로그램에 시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사별돌봄 음악치료 시행 시 음악치료사가 사별 관련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가져야 하며, 일회적인 프로그램보다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질적인 부분을 향상시킬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사별돌봄 내 음악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코디네이터의 음악활용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음악치료 시행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n medical personnel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regarding the use of music as a therapeutic tool in bereavement care. Thus, a specially design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program coordinators such as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91 palliative and hospice care settings, and the responses from 55 coordinato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 indicated that mos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currently provide bereavement care programs. The majority of the coordinators (92.7%) perceived bereavement care as a necessary part of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owever 72.2% of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current status of bereavement care to be insufficient due to the limitation of one-time program, and lack of human resources and pertinent expertise among clinicians. In order to expand bereavement care programs, the coordinators indicated that family members and hospital administrators need to be educated regarding the importance of bereavement care. In addition, 51% of the participants implement music and 25.5% provide music therapy program as a part of their bereavement care. Most coordinators (85.5%) perceived music to be a therapeutic and helpful tool in bereavement care. They perceived bereavement music therapy to be most helpful in the area of psychological well-being(90.9%), and that it is important for music therapists to achieve professionalism via advanced training and education in bereavement care(29.6%). Based on the survey of 55 program coordinators,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great demand for quality bereavement care programs in hospice and palliative settings in South Korea and that music therapy is considered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bereavement c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