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대처전략으로써 음악 활용 실태조사

Title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대처전략으로써 음악 활용 실태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use of Music for Managing symptom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uthors
원지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이차적 외상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 수준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의 대처전략으로써 음악 활용 여부, 대처전략에 따른 음악 활용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근무하는 상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95부를 회수하였고, 그 중 답변이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93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81명(87.1%) 이상이 이차적 외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0명(75.3%)은 매우 심각한 수준의 이차적 외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은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대처전략으로써 문제 중심적,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3가지 대처 유형 중 81명(80.2%)이 정서 완화적 대처 유형으로 음악 활용을 하고 있었으며 이는 스트레스 관리에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음악프로그램이 있다면 59명(63.4%)이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정서와 관련된 주제에 관심이 높았다.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음악 활동 유형, 음악 요소, 음악 장르 등의 음악 활용 실태는 3가지 대처유형 모두 음악 감상을 주로 하였으며, 대중가요의 발라드, 음악요소로는 멜로디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높고,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 실생활에서 음악 활용을 많이 하고 있는 만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음악 치료적인 접근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심리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처전략으로써의 전문적인 음악치료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use of music according to coping strategies and the use of music as a coping strategy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To do this, 9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counselors working in the national child protection specialist institutions. Of these, 9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insufficient. As a result, 81 (87.1%) of the counselors of the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 showed secondary trauma, and 70 (75.3%) experienced a very serious secondary trauma. As a strategy to cope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81 (80.2%) of the three types of coping strategies of problem-oriented, emotionally and desperately thinking were using music as emotional palliative coping type. 59 participants (63.4%) answer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music program for secondary trauma stress management, and they were interested in topics related to emo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econdary trauma stress coping, the type of music activity, music factor, and music genre were mostly favored by music appreciation, popular ballad, and melody as musical factor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sculoskeletal approach to secondary traumatic stress management is easy because the secondary trauma stress of the counselor of child protection specialist is high and the music use is practiced in the real life for coping with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fessional music therapy program as a coping strategy to psychologically support the counselor of the child protection profession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