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일호-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19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1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8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86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27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60년대 이후 공예현상과 그 이론에 대한 연구이다. 다양한 조형성을 보여주면서 독자적인 영역으로 발전한 동시대 공예를 분석하고, 부족한 공예담론에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인간의 물질적, 정신적 산물인 공예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의미를 제고하고, 이론적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공예의 새 지평을 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예를 예술실천의 하부활동으로 간주했던 관점들을 역사적 맥락 안에서 살펴보고,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영향으로 변화한 공예의 양상을 이론가들의 논의로 분석하면서 예술과 공예의 관계, 공예의 정체성, 공예실천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고대부터 18세기 순수예술체제가 성립되기 이전까지 예술은 다양한 인간의 활동과 숙련된 제작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었으나 유용성과 즐거움을 기준으로 예술과 공예는 분리되었다. 이후 등장한 모더니즘 이론은 예술형식의 순수성과 자율성의 추구라는 명목으로 공예를 하위 정체성을 가진 활동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공예를 예술실천의 하부활동으로 간주했던 측면들은 당 시대가 가지고 있었던 이상과 실행, 제도, 기관 등 복합적인 사회체계가 만든 구성물이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모더니즘 미술은 예술을 삶의 세계와 동떨어진 공허한 형식으로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미술은 모더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반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공예의 형식이나 재료가 가진 특질이 부각되어 공예는 변화하고 그 영역을 확장하게 된다. 1970년대 전후 미술은 다원주의에 힘입어 매체의 다양성과 탈장르화 양상이 두드러지게 된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작업을 하고자 했던 미술가들은 이전까지는 열등한 것으로 여겨져 왔던 공예매체를 사용함으로써 문제의식을 드러냈고, 관습에 대항한 공예가들은 전통적 요소를 버린 파격적인 작업을 통해 작가의식을 보여주었다. 공예를 하나의 접근법이나 태도, 혹은 어떤 일을 하는 행동방식으로 보는 관점은 과정을 예술표현 방법이나 사회적 행동의 도구로 받아들였다. 더 이상 기능과 실용이라는 전통적 요소가 공예 해석의 기본이 될 수 없고 재료나 기법으로 장르를 구분할 수도 없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논의와 분석의 부재로 인해 공예의 지위와 평가는 미미했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다양한 동시대 공예의 양상 중‘예술로서 공예’와 ‘사회적 실천으로서 공예’에 주목했다. 이것이 1960년대 이후 공예가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특징이기 때문이다. ‘예술로서 공예’는 작가의 조형표현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면서 오브제화된 공예에 대한 고찰이다. 공예가 예술의 외양을 따라하는 것만으로 예술이 될 수 없다는데 동의하지만 공예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상반된 관점을 가진 하워드 리사티와 브루스 메트칼프의 논의는 예술로서 공예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근거를 제시한다. 또한‘사회적 실천으로서 공예’는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는 것은 물론 저항운동이나 시위문화를 이끌기도 하고, 정치적 혼란기나 전시에 국가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등 사회 다양한 분야와 관계를 맺고 있는 공예의 양상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공예의 근간인 기능과 유용성을 버리고 예술표현의 장이된 공예와 사회·정치적 발언의 도구가 된 공예는 우리에게 혼란을 준다. 과연 예술과 공예의 경계는 존재하는지, 동시대 공예의 객관적 정체성은 무엇인지, 다양한 공예실천을 어떻게 규정해야 할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해결의 이론적 틀을 래리 샤이너로부터 찾았다. 광범위한 문화사연구를 통한 다각적 논의가 동시대 다양한 공예활동을 설명하는데 적절하다는 판단에서이다. 샤이너는 순수예술을 역사적 구성물로 규정짓고, 통합된 개념을 가졌던 고대의 예술개념을 지향하면서 예술의 동등성을 추구한다. 인간이 만든 모든 것을 공예의 다양성 안에서 승인하면서 공예를 문화적 실천이라는 상위개념으로 본다. 인간의 물질적, 정신적 과정의 산물이라는 의미에서의 문화, 그리고 문화 속에서 행해지는 인간의 모든 활동을 공예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과정으로서 공예, 실천으로서 공예, 나아가 실천의 개념 안에 있는 과정으로 공예를 볼 것을 제시한다. 이러한 그의 시각은 동시대 공예가 지향해야 할 목표와 공예의 가치, 의미를 명확하게 규명해 주는 것은 물론 광범위하고 다양하면서도 동시에 모호하고 불분명한 동시대 공예를 설명하기에 충분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제 예술과 공예의 경계는 불분명해졌고 예술은 다양한 관점에서 무수히 많은 양식과 경향을 가진 열린 개념이 되었다. 표현재료나 제작기법의 선택이 예술과 공예, 예술과 비예술을 구분하는 조건이 될 수 없다. 공예는 지적인 것을 포함한 모든 인간 활동의 산물로 기능과 실용성, 미라는 가치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문화의 산물이다. 다양한 문화적 실천의 장으로서 공예를 받아들여야 한다.;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aspect of the craft since the 1960's and its theory. The paper analyses the contemporary craft which has been developed into its own independent domains with various formativeness displayed, and presents the theoretical basis for discourse on craft. This attempt enhances the value and meaning of craft, the material, spiritual product of humans, and gives theoretical validity to it, thereby aiming at opening a new horizon of craft. To that end, I look into those aspects i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craft had been regarded as a sub-activity of art practice and inquire into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craft, identity of craft, and craft practice, examining in the discussion of theorists the facets of craft that have been changed by the influence of anti-modernism art. The concept of art from ancient times to the point before the fine art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covered various human activities and skilled production, but art was divided from craft, based on utility or pleasure. Modernism theory which appeared after that made craft the activity of sub-identity in the name of the purity of art form and the pursuit of autonomy. However, the aspects that craft was considered as a sub-activity of art practice, were the composition made by complex social systems such as ideals and practice, systems, and institutions, of the epoch. By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modernism arts were criticized for making art the empty form which was distant from the world of life. Arts reacted against it and tryed to overcome the limit of modernism, which brought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r materials of craft so that craft changed and expanded its realm. Arts around the 1970s took on the notable aspects of the diversity of the media, and cross-genre, thanks to pluralism. Artists, who were seeking to have their works breaking out of stereotypes, exposed critical mind by using the craft media which had been regarded as inferior, and artisans, who were going against convention, revealed their social consciousness as artists with innovative works discarding traditional elements. The viewpoints on craft as an approach or a manner, or a way of doing something saw the process as a means for artistic expression or an instrument of social behavior. The traditional elements, viz, function and utility, could be no longer the basis of interpretation of craft, and genre could not be divided by materials and techniques, either. Even with these changes, the assessment and status of craft was tenuous due to lack of theoretical debate and analysis. In this regard, this paper focuses on 'craft as art' and 'craft as social practice' among diverse aspects of contemporary craft. These are what I think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the craft since the 1960s. The Craft as Art is a review on objet d´art-like craft, which artists' formative expression played its important part. The arguments of the two theorists, who hav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identity of craft, though they agree that craft can not become art only by following the appearance of art, provide useful grounds for analysis of contemporary craft. Dealing with various categories as part of social practice, craft publicly denounces the social irregularities as well as leading resistance movement or protest culture. and participates in forming national identity in times of political chaos or of war, which is the aspect of craft. However, craft, which becomes a place of artistic expression, or a means of socio-political speech, with function and utility eliminated, is confusing. Those are the questions of whether or not a clear demarcation between art and craft really exist, what the objective identity of contemporary craft is, how we should define varied craft practice. In this respect, this thesis finds the theoretical frame for solving these problems from Larry Shiner. In my judge, the analysis by extensive research on cultural history is appropriate to explain the various activities in craft. Shiner characterized fine art as historical composition, supporting the unified, ancient concept of art and seeking equivalence of art. He views craft as cultural practice, a super ordinate concept, accepting everything that humans made, in the diversity of craft. He understands that culture in the sense of the fruits of material and mental process of human beings, and all human activities in culture, are to be craft. And he suggests to see craft as process, practice, and, by extension, the process within the concept of practice. This standpoint helps to clarify the value and meaning of craft and the goal contemporary craft aims for, as well as providing ample grounds for explaining contemporary craft which is wide and varied, and also ambiguous and obscure. Now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craft is not so certain, and art becomes an open concept that has innumerable mode and trend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e choices of expressional materials or making techniques can not be conditions to distinguish between art and craft, art and non-art. As craft is a product of all human activities including intellectual activities, it is a product of culture matching the visible value of function and utility and the invisible value of being aesthetic at the same time. We have to accept craft as a stage of diverse cultural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공예(Craft) 개념의 변화 9 A. 예술과 공예의 통합적 개념 9 B. 예술과 공예의 분리 18 1. 순수예술체제의 형성 18 2. 천재 대 기술자의 구분 20 C. 예술과 공예의 서열화 22 1. 표현과 기술의 구분 23 2. 예술의 자율성과 미학적 서열 26 D. 서열화의 극복 시도 32 1. 미술공예운동 32 2. 예술과 일상의 재통합 35 Ⅲ. 1960년대 이후 미술과 공예의 변화 38 A. 미술에 나타난 변화 38 1. 모더니즘미술에 대한 반발 39 2. 사회 · 정치적 의미 미술 40 B. 미술 속에 나타난 공예의 형식 41 1. 부드러운 재료 42 2. 여성적 특질의 표현 46 3. 과정의 시각화 및 가변적 재료 53 C. 미술의 영향과 공예의 변화 56 1. 예술로서 공예 (craft-as-art) 57 2. 행위를 통한 공예 (craft-in-action) 67 Ⅳ. 동시대 공예 이론의 쟁점들 71 A. 예술로서 공예 72 1. 하워드 리사티의 친예술(pro-art) 공예론 73 2. 브루스 메트칼프의 친공예(pro-craft) 공예론 81 B. 사회적 실천과 공예 93 1. 벳시 그리어의 크래프티비즘 (Craftivism) 93 2. 공예의 사회적 행동 도구화 96 Ⅴ. 래리 샤이너의 문화적 실천으로서 공예 102 A. 래리 샤이너의 예술체계론 104 1. 예술계, 예술제도, 예술체계 104 2. 제3의 예술체계와 공예 108 B. 공예의 새로운 조건 110 1. 규범들의 집합체로서 공예 111 2. 과정으로서 공예 113 3. 실천의 개념 안에 있는 과정으로서 공예 114 C. 문화적 실천으로서 공예 117 1. 문화실천의 미적 동등성과 다원주의 117 2. 예술과 공예의 경계를 넘어서 120 Ⅵ. 결론 128 참고문헌 132 도판 147 도판목록 154 ABSTRACT 1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06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960년대 이후 공예현상과 그 이론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래리 샤이너의 종합 - ‘문화적 실천으로서 공예’-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Aspect and the Theory of Craft since the 1960s : Larry Shiner's synthesis - ‘Craft as Cultural Practice’-
dc.format.pagevi, 15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