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2 Download: 0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on the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Authors
박윤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an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through art therapy. In the area of psychiatry,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closely related to schizophrenia, and they are hard to be accurately diagnosed. Due to the limited cognitive functions by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nfused linguistic expressions by schizophrenia, it is hard to express symptoms and conditions, which delays the proper therapeutic intervention. The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need to observe schizophrenia in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specifically and in depth through art therapy by dealing with various inner mental world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rt therapy collect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the art therapy for an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and also to understand experience and its meanings shown in the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a female high school student(Grade2) with the 3rd grade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special school. When she was Grade3 of middle school, schizophrenia was diagnosed. Even though she received medical treatment after the diagnosis, it was suspended twice. There was a breakaway problem as continuously talking to herself. Total 30 sessions of art therapy excluding orientation and pre/post test were conducted 1-2 times a week(40 minutes/session) from April 10th 2016 to September 25th 2016. Data like art works & activity photos, recording & verbal translation record, observation record, treatment journal, and HTP pre/post test was collected. For data acquisition, the materials were composed of artwork and activity photographs, recordings and scrolls, observation records, and treatment logs every time, collecting documents, interviews, field observations, and image data.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repeatedly reviewed, and in the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area shown in the art therapeutic process, the conclusion like below was receive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can express themselves in positive language through art therapy. Second, the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can express emotions through art therapy, resolve them, and express positive emotions. Third, the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have improved flexibility and self control ability through art therapy. Fourth, the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have a positive and voluntary expression in the interaction of art therapy.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direction and understanding of hardship experienced by adolesc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by showing the meanings of experienc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chizophrenia through art therapy.;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지적장애와 정신분열증은 정신과 영역에서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 지적장애로 인한 제한된 인지 기능과 정신분열증으로 인한 혼란한 언어 표현으로 경험하고 있는 증상과 상태에 대한 표현이 어려워 적절한 치료 개입을 지연시킨다.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은 미술치료를 통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내면세계를 다룸으로서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질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미술치료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을 이해하고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고등부 2학년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3등급 여학생으로 중학교 3학년 때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았다. 진단이후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2차례 중단되었고 끊임없는 혼잣말을 하며 이탈 문제가 있다. 미술치료는 2016년 4월 10일부터 2016년 9월 25일까지 주 1회~2회, 40분씩 오리엔테이션 및 HTP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문서, 면담, 현장관찰,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여 매회기 미술작품 및 활동사진, 녹화 및 축어록, 관찰기록, 치료일지로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반복 검토하였고 인지, 정서, 행동 및 발달적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언어로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은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를 표출하고 해소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은 미술치료를 통해 유연성과 자기 조절 능력이 증진되었다. 넷째,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은 미술치료 과정에서 상호작용에 변화를 보이며 긍정적이고 자발적인 언어표현이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이 공존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하여 경험한 의미를 보여줌으로서 향후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공존 장애와 그로 인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치료개입 방향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