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일현-
dc.contributor.author최진-
dc.creator최진-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25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2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8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8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211-
dc.description.abstractWhile learning transfer is drawing attentions recently as a resul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udies previously done are limited to standardization and certain formal learning that do not effectively reflect development of learning transfer in actual working environment,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Therefore informal learning, which is known to take a great portion of actual learning,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Especially, unlike formal learning where learning environment and actual working environment are different, informal learning is characterized by real time application into practice. Therefore, predicting the level of informal learning as a precedence factor to predict learning transfer will extend the scop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has been limited to formal learning and it will be significant to identify the resul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reflects the actual working environment. Existing studies on informal learning focused on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nd studies on the factors that promote or hinder interaction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were very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uses conceptual model of how managers develop proficiency(2003) in which Enos, Kehrhahn and Bell(2003) explained informal learning process as a model of learning transfer, to examine control factors in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These models emphasize 'interaction' as an important factor when informal learning is transferred as learning. Also, this study supports that interaction variabl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explains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among organization members. In this context, it is significant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through informal network that can identify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knowledge within organizations as well as interaction among the members. Informal network is hard to categorize and measured usually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at analyzes social phenomena according to network structures; individual centrality degree is an indicator to identify individual relative position within organizations and it can analyze direct effect on learning result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uses Social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control effect of individual centrality degree in informal network within organizations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level and learning transfer and set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Research problem 1. Does informal learning level significantly predict learning transfer? Research problem 2. Does centrality degree in informal network(information interchange network, advice network, friendship network)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level and learning transfer? For this study, 69 people working in the medical department in an organization A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to conduct a survey.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NetMiner was used for centrality degree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study results: First, informal learning significantly predicts learning transfer. Such result proves the model by Enos, Kehrhahn and Bell; it indicates that learning with others, external exploration and reflection are effective for real time transfer to work within organizations. Second, the control effect of centrality degree on informal network in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level and learning transfer did not show significant interaction therefore it was rejected. It was contrary to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and two things can be assumed. Centrality degree on information interchange network and that on advice network were introduced as predicting variables which were found significant(p<.05); therefore it is likely to be predicting variables, instead of control variables, on learning transfer. Another assumption is that centrality degree on information network does not play a role of moderate in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level and learning transfer. Since information learning itself is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no effect of controlling position of centrality degree on informal network. Such result is not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studies in which centrality degree on informal network was measured by self-report; however, the result is due to difference in measuring means.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used centrality degree on informal network as a variable to measure 'interaction with others' variable which had been measured by self-report; and it overcame the issue in measuring learning transfer by self-report which caused common method variance(CMV), through multi-source evaluation. Also, the practical significance suggests that the scope of learning transfer, an HRD concept should be extended to informal learning; and institutional and cultural foundation should be formed on organizational level, to promote informal learning among organization members.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overcom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subjects, following studies should be repeated with new samples. Second, since smaller sample size for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s likely not to be significa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increase sample size and power of test. Third, the interpretation should be carefully made on the study result in which ability of explanation on the main effect on informal learning level and learning transfer was low. Fourth, not as part of the model by Enos, Kehrhahn and Bell(2003) but for more in-depth positive research, various variables that can affect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should be considered.;최근,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는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성과 개념으로 주목받는 것에 비해,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정형화된 형식학습에 한정되어 실제 기업 현장에서의 학습전이 발현 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조직 구성원들의 실제 학습 중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알려진 비형식학습(informal learning)이 그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다. 특히, 학습상황과 실제 업무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형식학습과 달리, 비형식학습은 실시간으로 학습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학습전이를 예측하는 선행요인으로서 비형식학습 수준이 가지는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은 형식학습에 한정적이던 인적자원개발의 범위를 확대하여, 실제 기업 현장을 반영한 인적자원개발의 성과를 규명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그동안의 비형식학습에 대한 연구들은 비형식학습의 효과성에만 편중되어 왔으며, 비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변인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형식학습의 과정을 학습전이의 모형으로 설명한 Enos, Kehrhahn과 Bell(2003)의 관리자의 수월성 개발 모형을 통해, 비형식학습과 학습전이 관계의 조절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들 모형은 비형식학습이 학습전이 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이 주요한 변수임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도 조직 내 구성원 간 상호작용 변수가 비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지지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조직 구성원들 간 상호작용과 조직 내 지식 흐름의 방향을 파악 할 수 있는 비공식 네트워크를 통해 비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범주화하여 측정하기 어려운 비공식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구조로 사회현상을 분석하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주로 사용하여 측정되는데, 이 때, 개인의 연결 중심도 (cetntrality degree)는 조직에서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학습성과와 학습전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조직 내 비공식 네트워크상 개인의 연결 중심도가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 탐색하고자,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비형식학습 수준은 학습전이를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2. 비공식 네트워크(정보교환 네트워크, 조언 네트워크, 친교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가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A기관 소속 의료 사업본부에 근무하는 69명을 의도 표집하여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통계적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결 중심도를 분석하기 위해 NetMiner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형식학습은 학습전이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Enos, Kehrhahn과 Bell의 모형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것으로, 조직 맥락에서 타인과의 학습, 외부탐색, 성찰을 통해 학습한 결과가 실시간으로 업무에 전이 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둘째,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형식학습 수준과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하지 않아, 조절효과는 기각되었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들과는 상반되는 결과로, 두 가지의 가정을 할 수 있다. 정보교환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와 조언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가 예측변수로 도입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p<.05) 조절변수가 아닌 학습전이에 대한 또 하나의 예측변수로 작용될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가정으로는,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에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가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비형식학습 방식 자체가 타인과의 상호작용하며 학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공식 네트워크상의 연결 중심도의 위치의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가정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를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지만, 측정도구의 차이로 인해 기인한 결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적 의의는 자기보고식으로 측정되었던 ‘타인과의 상호작용’변수를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란 변수를 통해 계량적으로 측정하였다는 점과, 동일방법편향의 문제가 있었던 기존의 자기보고식의 학습전이 측정을 다면평가를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불어, 실천적 의의로는 HRD 성과 개념인 학습전이에 대한 범위를 비형식학습까지 넓히고, 조직 구성원의 비형식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조직차원에서 제도적·문화적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화의 문제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새로운 표본으로 반복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조절회귀분석 상 표본 크기가 작았을 때 유의하지 않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표본의 크기를 증대해서 검정력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에 대한 주효과의 설명력이 낮게 나타난 것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넷째, Enos, Kehrhahn과 Bell(2003) 모형의 일부가 아닌, 보다 심층적인 실증 연구를 위해 비형식학습과 학습전이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비형식학습 5 2. 비공식 네트워크 5 3. 연결 중심도 6 4. 학습전이 6 Ⅱ. 이론적 배경 7 A. 비형식학습 7 1. 비형식학습의 개념 7 2. 비형식학습 활동 10 B.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 14 1. 비공식 네트워크 14 2. 네트워크변수와 비공식 네트워크 18 C. 학습전이 21 1. 학습전이의 개념 21 2. 학습전이의 모형 23 D. 관련 선행 연구 32 1. 비형식학습과 학습전이 32 2.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조직 내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의 조절효과 34 E.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37 Ⅲ. 연구방법 39 A. 연구대상 39 B. 연구도구 41 1. 비형식학습 수준 42 2.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 43 3. 학습전이 정도 44 C. 자료분석 방법 45 Ⅳ. 연구결과 47 A. 기술통계 47 B. 사회 네트워크 분석 48 C. 상관관계 분석 53 D. 회귀 분석 54 1. 비형식학습 수준의 학습전이에 대한 예측력 검증 54 E. 조절효과 분석 55 1.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정보교환 네트워크 중심도의 조절효과 55 2.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조언 네트워크 중심도의 조절효과 57 3. 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친교 네트워크 중심도의 조절효과 58 Ⅴ. 결론 및 제언 60 A. 결론 및 시사점 61 1. 비형식학습 수준의 학습전이 예측 61 2. 비공식 네트워크상 연결 중심도의 조절효과 62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0 참고문헌 72 부록 82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19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비형식학습 수준과 학습전이 관계에서 조직 내 비공식 네트워크상에서의 연결 중심도의 조절효과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lor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Centrality Degree in Informal Network Within Organization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Level and Learning Transfer-
dc.format.pageix,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