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김대성 작곡 대금협주곡 <풀꽃> 분석 연구

Title
김대성 작곡 대금협주곡 <풀꽃>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Kim Daesŏng's Daegŭm concerto
Authors
최윤숙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Korean traditional music comes though numerous changes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music in the course of history and uasge Diredtion, Western music department and the pursuit of new music, harmony with the public. With musical scope and direction for the trouble with the coexistence and are inconsistent with challenges and see. Traditional music in Western music usage and grammar the Ch’angjak Kugak(창작국악) making in the final announcement the concerto payment of the original composer Kim Taesong presented by the music exp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he work of composer looked through my world. After discussing the orchestral music features views into rhythm, melody and structure of the music " harmony is as follows. First, although it was composed on the concerto format―A, B, C, D, three connecting phrases, and three Cadenza― it is still a single movement work piece in a free order according to the changes of main melodies and beats. Second, execute a piece of orchestral music are in the first half of melody going on around deployment, captain of the centre of Mars is the melody used since junbanbu was configured to Mars. A seven-stringed instrument as well as Western instruments versus a seven-stringed instrument, cattle in order to reinforce low on Mars one organization with the double bass. Third, many different traditional scales such as Gyemyŏnjo, Ujo, Menarijo, Phrygian scale, and heptatonic scale were used within its modes to make semitones, or to change center-tone, or to add modern atmosphere to be well-balanced with nature. Fourth, first using the rhythm of the Middle East, Africa, of an orchestral 내간 using traditional songs. there are two African rhythms, respectively, by sub-dividing the four classified as six different types, and this is rhythm, and modified that is modified in each instrument. Deployed or, as unison a variation of rhythm as the right mix of folk made them feel a gradient color in Africa. Fifth, Daegŭm and orchestra plays in a call-and-response form. As Daegŭm solo and orchestral accompaniments played a contrasting role, simple or segmentalized or contrary motions were found in sound forms. Compared to the utilization of African rhythm part’s same motion, it shows quite an opposite or contrast motion in A and B part. Sixth, a flute solo and orchestral music competition or confrontation that highli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ing same tune if you look with real musical content type, but, to aspects. Deployed as a type of rhythm, melody. Complement each other the melody lf the orchestral solo, in many ways, lover and flute solo, she will bounce back and to emphasize them, or secondary representation, driving up as much as possible. Wide to serve as an essential element. Daegŭm concerto expresses various colors bringing unity in many ways. Although it has similar melody’s repetition, it continues to change its tone color, sound, or combination of instruments. As the composer’s will―the globalization is a homework of life―this work is one composition work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본 논문은 “김대성 작곡 대금협주곡 <풀꽃>”에서 나타나는 대금독주와 관현악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악곡 구조, 선율과 화성, 리듬 분석과 함께 대금협주곡에서 독주대금과 관현악의 상호관계 및 독주대금을 보조하는 관현악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독주대금과 관현악의 선율관계에서 독주대금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현악이 여러 가지 유형으로 독주선율을 협력하며 연주한 점들을 포함하여 분석할 것이다. 김대성의 대금협주곡 <풀꽃>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대금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풀꽃>의 악곡 구조는 악장 구분 없이 단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기존의 협주곡 형식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전개한 방식이다. 그 구조는 주제 선율과 박자의 변화 등을 기준으로 하여 A, B, C, D와 세 개의 Cadenza, 그리고 세 개의 연결구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선율을 연구해 본 결과 악곡의 전반부에는 관현악이 대위적 선율 전개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중반부 이후부터 사용된 화성은 선율 중심으로 구성된 사실을 볼 수 있다. 화성의 저음을 보강하기 위한 소아쟁, 대아쟁과 더불어 서양 악기인 더블베이스와 팀파니를 저음역대 보강을 위한 역할로 함께 편성하였다. 음계로는 계면조, 우조, 메나리조와 프리지안 음계의 혼용, 12음 음계의 반음계 등 다양한 음계가 효과적으로 쓰였다. 각각의 선법에서 반음을 만들거나 중심음을 바꾸는 주요음 기법 등의 동기선율 변화는 전통적 요소에 현대적인 느낌을 가하며 조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리듬은 전통을 소재로 한 관현악곡 중 최초로 중앙 아프리카의 리듬을 사용한 곡이다. 보방가(Bobanga)와 양기사(Yangissa) 두 종류의 아프리카 피그미족의 리듬은 다시 세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를 분석한 결과, 변형 리듬형태를 발견하였다. 이 변형된 리듬은 각 악기로서 유니즌으로 전개되면서 아프리카의 민속적인 느낌을 표현하였다. 셋째, 관현악법적 특징으로 음계의 다양한 전조 방법을 통해 관현악적 색채를 돋보이게 하였다. 소재의 분배는 각 악기 군별로 전경·중경·배경으로 나뉘며 A와 B의 연결과 B와 A'의 연결, D에서 연결구를 통한 b의 연결로 진행하였다. 이와 동시에 대금독주의 반음 진행 직후, 5음 음계의 연결과 다성적(Polyphony)인 관현악 반주부분을 병행하였다. 또한 동일한 선율 연주 유형, 선율ㆍ리듬의 변주 진행 유형, 대립ㆍ대조적인 유형, 주고받는 유형(교창 형식), 숨고르기 유형 등으로 전개된다. 이와 같이 관현악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대금독주의 선율을 상호 보완하며 강조 또는 보조하고 있다. 아울러 대금독주의 기량을 최대한 끌어올리며 표현을 다양하게 하기 위한 필수요소로 작용한다. 대금협주곡 <풀꽃>의 분석을 통해 전통적이고 현대적인 음악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작품은 대금협주곡이지만 자유로운 전개방식을 띠고 있으며, 다양한 음계가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이 곡에서 활용된 아프리카 리듬은 다양한 변형을 낳아 연주되며 대금독주가 돋보일 수 있는 관현악곡으로 구성된 점을 볼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