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문해란-
dc.creator문해란-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14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1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2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24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17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EBS 수능연계정책에 따른 고등학교 3학년 수업에서 교사들이 EBS 수능연계교재(이하 EBS 수능교재)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과제는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EBS 수능교재 연계 비율을 수능시험에 70%까지 확대한다는 정책이 도입됨에 따라 EBS 수능교재는 학교 수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책의 취지 자체에 대해서는 공감하는 의견도 많지만 이에 따라 학교 수업이 EBS 수능교재에 얽매이게 된다는 문제의식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수능 문항의 EBS 수능교재 연계정책과 관련하여 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은 EBS 수능교재에 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교실 현장 수업에서 어떻게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질을 높이고 공교육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EBS 수능교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 수능교재 특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EBS 수능교재를 활용한 교사의 수업 실제는 어떠한가? 셋째, EBS 수능교재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EBS 수능교재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의 분석을 위해 고등학교 3학년 지도 경험이 많은 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과목은 영어로 제한하였고, 다양한 배경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심층면담 대상교사를 다양화하고자 하였다. 서울·경기지역 학교 이외에 지역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도서지역(섬) 고등학교 교사를 포함하였으며, 또한 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외국어 고등학교와 기숙학교 교사를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 수능교재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보면, 교사들은 기본적으로 EBS 수능교재를 수능시험 준비를 위한 교재라고 인식하였다. 교재의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1)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 (2) 교재의 질적 수준에 대해 공신력이 있다는 점, (3) 도시와 똑같은 교재를 통해 우수한 강의를 접할 수 있어 교육격차에 도움을 준다는 점 등에 대해 언급했다. EBS 수능교재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1) 점수를 위한 수업으로 수업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 (2) 학생에게 독해중심의 편향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점, (3) 비연계 문항 대비를 위해 여전히 사교육을 필요로 한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둘째, EBS 수능교재를 활용한 교사의 수업에 대해서 먼저 영어 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수업의 방향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운영의 방식을 면담하였는데, 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수업과 실제 수업 사이에는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서 수업의 실제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는 1문제만 틀려도 등급이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EBS 수능교재에서 틀리기 쉬운 문제, 난해한 문제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며, (2)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는 시험에 나올 가능성이 높은 문제를 선별하여 상세하게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학교유형별로도 수업 실제에 차이가 있는데, (1) 도서 지역의 경우는 많은 학생들이 농어촌 특별전형을 통해 대학에 진학하는 관계로 수능보다는 내신 성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히려 EBS 수능교재와 무관하게 교사의 판단에 따라 자유롭게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2) 외국어 고등학교의 경우는 많은 학생들의 영어 성적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학업성취도 상위권 학생의 경우와 같이 실수 안하기를 위한 EBS 수능교재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3) 기숙사 학교의 경우에는 시간적·공간적 장점을 활용하여 EBS 수능강의 청취, 방과 후 개별지도 등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여러 학습방법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수업에서의 EBS 수능교재 활용에 대한 개선 과제와 관련하여 교재에 이용된 지문의 우수성을 언급하면서, 영어 교육의 질 높은 수업을 위해서 지문의 출처와 배경, 그리고 원작자의 집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수능 문항의 EBS 수능교재 연계정책과 관련해서는 70%의 연계비율을 낮추면 수업의 다양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연계율 조정을 제안하였고, 내년부터 시행하는 영어절대평가제도의 도입이 학생의 영어 학업능력 저하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의함을 지적하면서 절대평가에 의해 수능의 부담이 낮아지는 것을 계기로 삼아 영어 수업이 내실화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영어 교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한계는 있으나 EBS 수능교재 연계정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EBS 수능교재를 활용한 수업 운영의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근거로, 공교육 내실화에 대한 정책과 EBS 교재 개선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Since EBS CSAT courses were launched with the aim of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reducing extracurricular education cost and narrowing regional disparity in education, a new policy was announced in 2011, to gradually increase EBS CSAT material contribution to CSAT as the source up to 70% and EBS CSAT course materials are exerting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education accordingly. Many agree to the rationale of the policy itself. However, there's growing skepticism that school education is too much tied to EBS course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ow teachers perceive EBS CSAT materials, in the view of the policy of developing CSAT questions in association with EBS course materials and check how classes are planned and run at schools and thereby define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olicy of developing CSAT questions from EBS course materials. Specific questions that were asked as par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do teachers view EBS course materials ? Second, how are classes run, using EBS course materials? Third, is there any issue in using EBS course materials in classes and what improvement directions do teachers present?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in-class utilization of EBS course material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6 teachers who were highly experienced in the third grade in high schools. The subject was limited to English.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and impact of varying environment, the in-depth interview with teachers was designed based on the divers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check educational disparities in regions, particularly other than school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reas, high school teachers in islands were included as interviewees. And to understand any influence of different school types, teacher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nd boarding schools were also includ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basically three types of perspectives among teachers, concerning the utilization of EBS course materials in classes. First of all, teachers primarily view EBS course materials as CSAT prep books. Teachers point out the positive aspects of EBS course materials as follows : (1) They motivate students to study, by proving an easily accessible learning opportunity, while effectively narrowing down the scope of study, (2) they are relatively less expensive than commercial workbooks and passages are plainly available onlin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3) they provide reliable quality materials and (4) they provide high-quality courses via standard course materials to regions where such high-quality classes are hardly accessible, and this may reduce the regional disparity of education. As for the downside of EBS course materials, teachers point out that (1) EBS materials tend to be score-driven, instead of satisfying the purpose of the subject, and this consequently decreases the overall quality of courses, (2) students tend to focus mainly on problem-solving skills and find it difficult to develop their English capability. In particular, high-performing students seem to study excessively as they need to prepare for non-EBS textbook questions while low-performing students tend to just read Korean translation of reading passages, as they are more interested in the possible areas where CSAT questions may be extracted. (3) EBS course materials being a significant source of CSAT seems to be reducing the cost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balloon effect is being witnessed in other subjects. Especially, high-performers or top-performers still require extracurricular education to prepare for non-EBS course material questions. Second, concerning school classes based on EBS workbooks, teachers were asked about the perceived direction of ideal English classes and how classes were run in reality and how students were assessed, etc. When asked about the direction of ideal English classes, teachers notably emphasize that (1) all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should be developed in a balanced manner and (2) students need to utilize and experience English in diverse manner, through various class materials including audio-visual materials, videos, etc. in classes. However, classes in reality fail to reflect such an insight. Generally speaking, (1) classes are not designed and planned in a comprehensive manner for one full semester or a month as the workbooks used in classes are questions-oriented. (2) Due to frequent mock examinations or students' absence, it is difficult to plan and run classes in a continuous and consecutive manner. Class planning is mainly done by each single class. (3) Reading passages in EBS workbooks are mostly extracts and it takes time and effort for teachers to study the related materials for the logic and rationale. Actual classes tend to differ,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level of students. (1) Classes for high-performing students are more focused on complex or difficult questions, as one incorrect answer may result in a lower grade. In contrast, (2) classes for low-performing students are focused on predicting and covering highly probable exam questions as much as possible. School types also influence how classes are run. (1) In islands, many students benefit from the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nd they prioritize academic scores at schools, rather than CSAT scores. Therefore, teachers run classes without being influenced by CSAT. (2) As for foreign-language high schools, the majority of students show high performance in English. Thus, their classes focus more on EBS course materials, so that they would not make any mistakes during exams, as is the case with the aforementioned high-performers. (3) In boarding schools, teachers deploy various study methods such as EBS classes, after-class tutoring, etc., making the best of time and places available for education. Third, regarding how EBS course material usage in classes can improve, the majority of teachers pay attention to the good quality of the passages used in materials. Teachers comment that more information on the reading passage such as source, background and author biography would be highly helpful for them to use such course materials as the tool of English education, rather than test materials. With respect to the policy of extracting CSAT questions from EBS course materials, the interviewees suggest that the diversity in English classes may result from decreasing the ratio of EBS material contribution to CSAT down from 70%. As for an absolute testing of English in CSAT, while cautioning against the possible deterioration of English capability, teachers hope that English classes become more substantial as the burden for CSAT decreases. This study is inherently limited as it deals with English only. However, it presents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looks at how teachers perceive the policy of extracting CSAT questions from EBS CSAT materials, how teachers actually run classes, using EBS course materials and how classes can be improved, etc. In this sense, this study provides the base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EBS 수능연계정책 및 교재 4 1. EBS 수능연계정책 4 2. EBS 수능연계교재 7 B. EBS 수능연계정책 및 교재에 관한 선행연구 10 1. EBS 수능연계정책 연구 10 2. EBS 수능강의 및 교재 효과 연구 11 3. 선행연구의 시사점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 설계 15 B. 연구 참여자 17 C.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9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2 A. EBS 수능연계교재 활용에 대한 인식 22 1. EBS 수능연계교재 활용 의의에 대한 교사의 인식 22 2. EBS 수능연계교재 활용에 대한 긍정적 측면에 대한 인식 24 3. EBS 수능연계교재 활용에 대한 부정적 측면에 대한 인식 27 B. EBS 수능연계교재 활용 수업의 실제 30 1. 수업운영에 따른 EBS 수능연계교재 활용방법 30 2. 학생 성취 수준별 활용방법 35 3. EBS 수능연계교재 분야별 활용방법 38 4. 평가 방법 40 5. 특수성을 가진 학교 유형별 수업의 실제 41 C. EBS 수능연계교재 및 정책의 개선점 46 1. EBS 수능연계교재의 개선점 46 2. EBS 수능연계정책 개선점 48 Ⅴ. 요약 및 결론 50 A. 요약 50 B. 논의 54 C. 제언 56 참고문헌 59 부록. 면담 질문지 63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38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의 EBS 수능 영어 교재 활용 경험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Experience about using EBS'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Prep Book as Teaching Materials-
dc.format.pagevii, 68 p.-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contributor.examiner백남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