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creator이지혜-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14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1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6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6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1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실태와 개선 방향을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치원 교육은 생애 최초 교육 단계로서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유아기의 다양한 경험과 교육이 전 생애에 걸친 모든 영역의 발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치원 교육이 초기교육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육을 그 이후 단계의 교육, 특히 초등학교 교육과 내실 있는 연계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며, 이러한 이유에서 유·초 교육의 연계성에 대한 논의가 꾸준하게 이어져 왔다. 최근 유치원 교육을 위한 누리과정의 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공표를 계기로 하여 유·초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상태에 대해 유아교사와 초등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유·초 연계교육에서 교육과정상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유·초 연계교육을 위한 지원체제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유·초 연계교육에서 어려움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이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을 실천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114명과 초등학교 교사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초 연계교육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한 인식, 유·초 연계교육의 실태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유·초 연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초 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대부분의 유아교사와 초등 교사들은 아동의 계속적인 성장 및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또는 상급학교인 초등학교에서의 기본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계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초 교육의 연계 실태와 관련하여 유아교사와 초등교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각각 상대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가 낮으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비해 연계교육을 실제 수업에 반영하고 실천하는 빈도수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과 영역별로 보면, 연계교육의 중요성을 80% 이상의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답한 것에 비하여 유아교육의 의사소통 영역과 초등교육의 국어과 사이의 연계에 대해서는 유아교사는 60% 이상이 상대교육과정을 참고하고 실천한다고 답하였으며 초등교사는 30%이상이 상대교육과정을 참고하고 실천한다고 답하였다. 또, 유아교육의 자연탐구영역 수영역과 초등교육의 수학과 사이의 연계에 대해서는 유아교사는 70% 이상이 상대교육과정을 참고하고 실천한다고 답하였으며 초등교사는 40%가 상대 교육과정을 참고하고 수업에서 실천한다고 답하였다. 둘째, 유·초 연계교육의 실행상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업무과다와 환경적 어려움, 유아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사회적 인식의 차이,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교육과정상의 근본적 차이, 상대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접근에 대한 어려움, 교사에 대한 교육 부족과 교사인식의 미흡 등을 유·초 연계교육의 방해요인으로 다양한 의견을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개선 방안으로서 교사들은 연계교육에 대한 분명한 지침이나 기준의 제시, 교육과정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육방법 및 시간편성 방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계 모색, 연계교육을 위한 환경 개선, 상대교육과정의 이해를 위한 연수 강화, 연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교육 실시, 그리고 연계를 위한 실제적 교사연수와 교사인식 개선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초등학교 입학 초기부터 발생되는 학력격차로 인한 교육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상위 교육과정으로의 원활한 발달 및 성장 지원을 위해서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자연스러운 연계교육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앞으로 이 연구에서 확인한 교사들의 제언과 같이 유·초 연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실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유·초 연계교육의 실태를 확인하고 교사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선 방안을 확인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유·초 연계교육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education is the first stage of education as the first stage of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is emphasized all over the world because it has a crucial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ll areas of life throughout childhood. In order to faithfully carry out the role of early kindergarten education in this kind of education, it is an important task to make kindergarten education have a good connection with later education, especially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this reason, Has been steadily connected.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in the link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increasing with the enactment of the Nuri Course for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announcement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field teachers know about the actu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hich is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at is the practice of teachers to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linkag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and what are the practical ways to improve it?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14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8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practicing the Nuri proces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early. The recognition of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of education of earl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imary education-related education is evident in mos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support the continue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urse opera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linkage education was important. However, in relation to the linkag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relative education to be low and important, Respectively. In terms of curriculum areas, more than 80%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education is important.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Korean language of elementary education, more than 60% And that more than 30%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fer to and practice relative education. As for the linkage between the area of natural inqui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mathematics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more than 70%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aid that they refer to and practice relative education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40% . Second, in relation to the difficulties of implementation of earl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eachers were asked about differences between parental and social perceptions of overwork and environmental difficult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fundamental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The difficulty in ac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school, the lack of education for teachers, and the lack of awareness of teachers.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eachers are required to provide clear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cooperative education, to find ways to connect with various aspects such as teaching methods and time scheduling as well as content of curriculum, environment improvement for cooperative education, The need for strengthened training for understanding, the implementation of parent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linkage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practical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awareness for linkage.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to be link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olve the inequality of educa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attainment from the beginning of elementary school and to support the growth and growth of higher education. As suggested by the teachers in this study, various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revitalize the linkag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In this study, teachers 'perceptions were us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and to identify ways to improve the teachers' beliefs, suggesting ways to improve the linkag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6 1.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연계교육 개념 6 2.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의미 7 3.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연계를 위한 아동의 발달 특성 10 4.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현황 15 5. 외국의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연계 사례 19 B.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세부영역 연계 현황 27 1. 유아교육 의사소통 영역과 초등교육 국어과 연계 현황 27 2. 유아교육 수·조작 영역과 초등교육 수학과 연계 현황 28 Ⅲ. 연구방법 31 A. 연구절차 31 B. 자료수집방법 32 1. 문서자료 32 2. 설문지 32 C. 자료분석 33 D. 연구의 제한점 33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34 A.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에 대한 인식 34 B. 유·초 교육과정의 연계에 대한 인식 조사 37 C. 연계 교육 지원에 대한 조사 49 D.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를 위한 어려움 및 개선방안 52 Ⅴ. 요약 및 결론 64 A. 요약 64 B. 논의 및 제언 66 참고문헌 70 부록(설문지) 73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84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Link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Lee, Ji Hye-
dc.format.pageiv, 87 p.-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contributor.examiner백남진-
dc.contributor.examiner황규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