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8 Download: 0

스마트기기 기반의 AAC 도구를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 교수가 중도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친 영향

Title
스마트기기 기반의 AAC 도구를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 교수가 중도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친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cript Playing Teaching Through AAC Tools Based Smart Device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고희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ript playing teaching through AAC tools based smart device on communicat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elimentary school students who attend K Specialized School located in Seoul and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has been used toward them.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two scripts by turns each phase and the participants were trained to use AAC tools based smart device for requesting actions and objects, answering and rejecting. The whole process of the course was recorded to observe their reactions about 12 times opportunities and the communication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right reaction which was reactioned by AAC tools, wrong reaction and other reaction by gestures, vocalization or speech then right reaction and other reaction were scored one point whereas other reaction was zero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children were enhanced number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through AAC tools, the enhanced communication behavior was generalized to other situation and maintained after stopping the intervention. Second, their gesture for communication was discreased rapidly after intervention but their vocalization was used continuously with AAC tools, moreover two children of them attempted to imitate the voice of AAC device and to speak spontaneously in case one character wor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the script playing teaching through AAC tools based smart devic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at high-tech AAC was used with script toward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unlike previous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two groups: two children with general intellectual disabiities and one child with angelman syndrome, to compare the conclusion. As a result, the improvement of a child with angelman syndrome was almost equal after the intervention although non verbal and the lowest intellectual level.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future study have sufficient number of participants for categorizing to compare and discuss and observe diverse situation: different settings, different partners, to generalize the posotive effects.;우리가 다른 사람과 만나 관계를 형성하며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상호작용이며, 상호작용은 주로 구어 즉 말에 의한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사소통은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영역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도구적 영역으로 청자가 화자의 생각이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의 의도를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고, 인간의 전반적인 삶의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많은 중도 지적장애아동들은 언어 및 인지 장애로 인한 제한된 의사소통능력으로 학습 면에서 의존성을 높이고 또래와의 원활하지 못한 상호작용으로 정서적 위축과 좌절을 경험하게하며 자기옹호에도 영향을 미쳐 성인이 되어서는 사회체제 속에서 부적응을 경험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도 지적장애아동에게 적절한 의사소통방법의 교수는 개인의 긍정적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하며 이와 관련한 중재에 효과적인 것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보완대체의사소통이다. AAC 중재는 다양한 장애영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사소통판, 그림카드 등의 로우테크 AAC 도구에서부터 마이토키, 앱을 탑재한 Tablet PC 등의 하이테크 AAC 도구까지 활용되고 있지만 중도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이테크 AAC 도구가 중재에 활용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도 지적장애아동들의 인지적, 언어적 특성을 고려하여 재구성한 앱이 탑재된 스마트기기 기반의 AAC 도구를 활용하였고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일과에서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의 연습 기회를 제공하여 초기 의사소통기능 확립과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에 긍정적인 스크립트 활동 교수를 통해 그들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중도 지적장애아동들은 서울에 위치한 K 특수학교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며, 그들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은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의 절차로 연구자와 아동이 일대일 상황에서 두 가지 스크립트 활동을 회기마다 교대로 진행되었고, 사물 및 행동 요구하기, 대답하기, 거부하기에 해당하는 의사소통행동의 반응 기회를 총 12회를 제공하면서 아동의 반응을 디지털카메라에 녹화하면서 관찰하였다. 매 회기마다 아동들의 의사소통행동은 정반응, 오반응, 기타반응으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정반응과 기타반응은 1점, 오반응은 0점으로 처리하였으며 정반응과 기타반응을 합하여 총반응으로 기록하였다. 기초선에서는 언어적, 신체적 촉진 및 모델링의 제공 없이 10분 동안 관찰이 이루어졌고, 중재기간은 전 회기에 교수한 스크립트 활동 평가를 위해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10분 관찰과 당일의 스크립트 활동 20분 교수로 구성하였다. 아동별 중재는 총반응의 점수가 증가추세이며 연속 3회기 이상 총 12점 중 9점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을 때 종료하였으며, 중재 종료 후 아동별로 교수 후 습득된 의사소통행동의 일반화 측정을 위해 새로운 스크립트 활동으로 3회기씩 관찰하였고, 중재 종료 3주 후에 유지검사를 각 3회기씩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기기 기반의 AAC 도구를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교수는 연구에 참여한 중도 지적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행동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 되었고, 중재 종료 후에도 기초선 대비 정반응 및 총반응 발생률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 되었다. 또한 기존에 아동들이 사용하는 몸짓 등의 기타반응 발생률은 감소했으며 아동 3명 중 2명에게서는 한 단어 낱말의 경우 AAC 도구의 음성을 모방하면서 발화를 시도하려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무발화 및 제한적 발화를 하는 중도 지적장애아동들을 대상으로 스크립트 활동과 하이테크 AAC 도구를 함께 중재 에 적용하여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접근을 하였으며, 그들의 능력과 특성을 고려한 도구와 교수를 제공하면서 하이테크 AAC 도구를 활용한 의사소통중재를 시도하였고, 희귀질환인 엔젤만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아동을 연구 대상에 포함시켜 언어 및 지적 수준은 다른 두 명의 아동들보다 낮았으나 중재 종료 후 의사소통행동이 거의 유사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언어 영역에서 큰 어려움을 가지는 무발화 엔젤만 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하이테크 AAC 도구를 활용한 의사소통중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3명의 중도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엔젤만 증후군 아동은 한 명이므로 본 연구 결과를 모든 아동 및 엔젤만 증후군으로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중재 종료 후 상황의 일반화만을 측정하여 본 연구 결과가 모든 장소, 상황에서 일반화되었다고 해석하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동일한 지적장애영역 안에서 다양하게 범주화하여 결과를 비교, 논의 해보고, 다른 상황 및 장소, 대화상대자 등의 다양한 일반화 관찰을 통해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폭넓게 검증해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