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istic Activities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on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uthors
임지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integrated artistic activities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affect the art disposition of five-year-old young children. Through th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e line data for development of the direction of integrated artistic activities and a program development to increase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are as follows: 1. How do the integrated artistic activities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affect every aspect of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2. How do the integrated artistic activities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affect the subordinate scope of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ttitude, expression, techniqu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research to review how integrated artistic activities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affect five-year-old children's art disposition. The subjects were an experimental group of 22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ngnam City, Gyeongi-do and a comparative group of 20 young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nearby J Elementary School with similar social and economic levels.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20 days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28, 2016, four days a week for five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exploration of formative elements, an integrated activity of appreciatio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as implemented, and for the comparative group, an artistic activity including formative elements was implemented by life theme. In order to measure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 tool of the Art Disposition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Ji Seong-ae(2011) was used after we revised and complemented some of its items.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pre and post tests were performed wi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ir differen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t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artistic activity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improved every aspect of young children's artistic disposi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young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integrated artistic activity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exploring formative elements in their life and participating in expression activities after appreciating the works of painters and communicating with their expression results,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every aspect of art disposition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subordinate scope of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ttitude, expression, techniqu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mproved through the integrated artistic activity focusing formative elements, but did not have an effective influence.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is because of a short-term experiment, young children's unprepared situation, the control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establishment of rapport with the tester, etc.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ubordinate scope of art disposi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artistic activity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but it did not reac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integrated artistic activities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ccordingly, integrated artistic activities focusing on formative elements suggest that they can be used in schools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본 연구는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미술 성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미술 성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통합적 미술활동의 방향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의 하위영역(태도, 표현, 기술, 이해 및 감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미술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B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2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였고, 사회·경제적 수준이 비슷한 인근의 J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0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처치는 2016년 9월 26일부터 10월 28일까지 5주간 주 4일씩 총 20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조형요소에 대한 탐색을 한 뒤 감상 및 표현, 소통하기의 통합적 미술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 주제별로 조형요소가 포함된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미술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2011)가 개발한 ‘유아 미술 성향 검사’도구를 본 연구자가 일부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에 대해 t검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은 유아의 미술 성향 전반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조형요소를 탐색하고 미술가의 작품을 감상한 뒤 표현 활동 참여하며 표현 결과에 대해 소통하는 과정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미술 성향 전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을 통해 유아의 미술 성향의 하위영역(태도, 표현, 기술, 이해와 감상)이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시간의 실험처치 기간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준비되지 못한 상황, 비교집단의 통제 한계, 검사자에 대한 낯선 반응 등을 이유로 유추해볼 수 있으며,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미술 성향의 하위영역이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은 유아의 미술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의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