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3 Download: 0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실행연구

Title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The Action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Skills Development of Five­-Year-­Olds Children
Authors
김혜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implement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five-year-olds childre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nagement plan on the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five-year-olds children? 2. How will methods for developing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of five-year-olds children affect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five-year-olds class of Sarang kindergarten, an annexed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the subjects were 27 children aged five years in Narae class. We identified the problem of inappropriate communication of the children, problems common to the children in Narae class, and problems in specific children. Based on this, we sought and implemented a management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the children in Narae class. The research period is from July 10 to November 30, 2016. The plan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recognizing the problems of children communication, searching for solutions to problems, firs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earching for second measure, second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evaluation of first and second measure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y the researcher, a teacher of Narae class, and they were recorded and transferred to make a field note. Besides, the daily education plan, children observation and voice recording, photographs, on-site summary, and children observation records were collected,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poor communication among children in Narae class, as a first implementation, we select and execute the activities such as recognizing the self and expressing appropriately, listening to the friends and responding relevantly, Solving the problems by talking with friends. As to the activity plan, we reconstructed and reflected what happened in the daily life of Narae class as a curriculum so that the children could participate in a meaningful way. Children were helped to develop a positive attitude and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participating happily in activities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listening attentively to the friends when they speak and giving proper responses. They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solving problems. As a result of the first implementation, it became necessary to support individual children who need special attention,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peers about their interests and concerns, and to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by reflecting the evaluation of the first implementation, we executed reading out the picture book and pair activity in order to support individual children who need special attention. We also provided the places where children could communicate comfortably, interesting materials and supported various communication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measures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on young children, we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children increased. In detail, there was an increase in speaking appropriately(e.g., offer, reject, comfort, request, explain, praise, encourage), speaking gently, speaking clearly, speaking with warm gestures, speaking intimately, speaking in turn, and speak confident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suggesting various ways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necessity and action research of communication skills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due to its multilateral support plan such as reconstructing the situations that are meaningful to the children or providing individual support, while focusing on the universal level of curriculum.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help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ffectively manage their activities for communication skill development.;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운영방안이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유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방안은 유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병설유치원인 사랑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실행했고 연구대상은 만 5세 나래반 유아 27명이다. 유아들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나래반 유아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과 특정 유아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했다. 이를 바탕으로 나래반 유아의 미흡한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했다. 연구기간은 2016년 7월 10일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이며, 유아 의사소통의 문제점 인식, 문제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및 평가, 1·2차 실행 방안 평가 순으로 진행했다. 교육활동은 나래반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실행했고 이를 녹화하고 전사하여 현장노트를 작성했다. 이외에도 일일교육계획안, 유아 관찰 및 음성 녹음, 사진, 현장 약기 및 유아 관찰 기록지 등을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래반 유아들의 미흡한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1차 실행에서는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해 자기 마음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하기, 친구의 말을 경청하고 관련된 반응 보이기, 친구와 대화를 주고받으면서 문제 해결하기 활동을 선정하여 실행했다. 활동 방안은 나래반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났던 일을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반영함으로써 유아들이 의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유아들은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활동에 즐겁게 참여하고 친구가 말할 때 주의 깊게 경청하고 관련 반응을 보이는 등 긍정적인 태도 형성 및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대화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즐겼다. 1차 실행 결과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개별 유아 지원하기, 또래 간 흥미와 관심사에 대한 의사소통 지원하기, 소집단 활동을 통한 다양한 의사소통 지원하기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를 반영하여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개별 유아를 지원하기 위해 그림책 소리내어 읽어주기, 짝 활동을 실행했다. 또한 유아들이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는 장소와 흥미 있는 자료를 제공했으며 소집단 활동을 통한 다양한 의사소통을 지원했다. 둘째,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방안이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아들의 의사소통능력이 신장했다. 시의 적절하게 말하기(예: 제안하기, 거절하기, 위로하기, 요청하기, 설명하기, 칭찬하기, 격려하기), 부드럽게 말하기, 명료하게 말하기, 따뜻한 몸짓으로 말하기, 친근하게 말하기, 차례 지켜 말하기, 자신 있게 말하기의 증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대한 필요성 및 실행연구를 통해 의사소통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보편적 수준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유아들에게 의미 있던 상황을 재구성하거나 개별 지원을 하는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