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인식과 경험

Title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인식과 경험
Other Titles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s and experiences of resilience
Authors
김새실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s and specific experience of resilience, through interviews. To this end, following questions are developed: 1. What is a meaning of the resilience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2. What is climate of an institution,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3. What are plans to re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kindergarten teachers? 4. What are plans to resolve job stresses of kindergarten teachers? This study measured the resilience of 308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located at the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e findings, 10 teachers who consented to interviews were examined by allocating them to one group with high resilience (n=5) and the other group with low resilience (n=5). The questionnaire used Gwon Suhyeon's scale of resilience, and the interview contents consisted of Patton's Questions of Knowledge, Experience and Behavior (1980) and Kim Hyejin's Sub-items of Members among Sub-Factors of Job-Stress (2005). The items in the questionnaire of resilience consisted of internal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behavioral, cognitive and social ability factors and external protection factors such as individual environment, relation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factors, and the interview contents consisted of a meaning of the resilience and climate of an institution, recognized by teachers and plans to resolve difficulties and job stresses, experienced by them.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estimat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hile the interview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at are identified as meaningful ones, after repeated read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although not all current teachers recognized the resilience, most of them heard of it in other training of similar subjects or somewhere. In addition, they understood it as a power to be returned or overcome, when they experienced any difficulties or crises. Second, current teachers with high resilience for cooperative climate felt that needs for supports can be fulfilled through the cooperation, while those with low resilience for it felt that only teachers with similar level of careers cooperated with each other. Some teacher with high resilience for smoothly communicative and consultative climate believed that the climate in which teachers could understand each other, while they freely talked about good and bad things, whereas those with low resilience likely to feel uncomfortable that some unintended messages can be sent in frequent consultations. Both teachers with high and low resilience for the climate according to peers said that affinity, mind to help and all-rounded personality formed good climate. Third, kindergarten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parents, and fellow teacher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 in the relationship with infants included misunderstandings derived from communications and negative relations occurring in instructing infants. To resolve these problems, teacher with high resilience endeavored to find causes of them through observations and understand infants on their positions, and those with low resilience practiced physical contacts and linguistic expressions. The difficulties occurring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clude misunderstandings cause by parent's distrust for the teachers and conflicts in communicating children's lives in kindergartens. To resolve these problems, teacher with high resilience persuaded parents by considering on their positions and those with low resilience cleared up misunderstandings of parents by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m.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relationships with peers included criticism from their superiors and lack of communications. To resolve these problems, teacher with high resilience reflected on themselves and considered on peers' positions, while those with low resilience did not appear to resolve such problems spontaneously or with others' supports. Fourth, teachers alleviated their stresses, while talking and receiving empathy and being consoled. Some teachers with high resilience communicated with peers, shared understandings and were consoled, while those with low resilience resolved their stresses while talking with employees working in other professions. Kindergarten teachers said that although they sometimes wanted to quit the job, they maintained the teaching profession, because of their students and aptitudes, fear of other professions and accumulation of care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resilien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understanding kindergarten teacher 's teaching life and for overcoming job stress and maintaining positive teaching.;본 연구는 면담을 통해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인식과 구체적인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회복탄력성의 의미는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기관의 분위기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은 어떠한가? 4.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해소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308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을 측정하였고, 측정한 결과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교사 각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권수현(2014)의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면담 내용은 Patton(1980)의 지식 질문, 경험・행동 질문과 김혜진(2005)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구성원과 관련된 하위문항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설문문항은 내적 요인의 심리적 요인, 행동적 요인, 인지적 요인, 사회적 능력 요인과 외적 보호요인의 개인적 환경요인, 관계적 환경요인, 조직적 환경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면담 내용은 교사가 인식하는 회복탄력성의 의미와 기관의 분위기,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직무스트레스 해소방법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면담은 전사내용을 반복적으로 읽고 의미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에 대한 인지여부에 있어, 교사들 모두가 인지하지는 않았으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사 연수나 어디선가 들어본 경험이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회복탄력성의 의미를 어려움이나 위기를 경험했을 때 극복하거나 돌아오는 힘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기관의 협력적인 분위기에 대해 회복탄력성이 높은 교사는 협력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다고 하였고, 회복탄력성이 낮은 교사는 비슷한 경력의 교사끼리만 협력한다고 하였다.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협의하는 분위기에 대해 회복탄력성이 높은 교사는 좋았던 점과 나빴던 점을 이야기 나누면서 서로를 이해하는 분위기가 형성된다고 하였고, 회복탄력성이 낮은 교사는 잦은 협의로 인해 의도와 다르게 전달되면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고 하였다. 동료교사에 따라 느끼는 분위기에 대해 두 집단 교사 모두 친밀감, 도와주려는 마음, 원만한 성격이 좋은 분위기를 형성한다고 하였다. 셋째, 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유아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별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유아들과의 관계에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소통에서 오는 오해, 유아 지도 시 발생하는 부정적인 관계 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이 높은 교사들은 관찰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유아의 입장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이 낮은 교사들도 신체적 접촉, 언어적 표현 등을 실천하였다. 다음으로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학부모가 교사를 신뢰하지 않아 생기는 오해, 자녀의 원 생활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이 높은 교사들은 부모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며 부모님을 설득하였고, 회복탄력성이 낮은 교사도 학부모와 대화를 시도하여 오해를 풀었다.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상사의 지적, 소통부족 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이 높은 교사는 자신을 반성하며 동료교사의 입장을 생각해보았으며, 회복탄력성이 낮은 교사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거나 스스로 해결하려는 시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교사들은 대화를 나누고 공감과 위로를 받으며 스트레스를 해소하였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교사는 같은 직종의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위로 받는 반면, 회복탄력성이 낮은 교사는 다른 직종의 사람들을 만나 대화를 하면서 스트레스를 풀었다. 유치원 교사는 스트레스로 인해 교직생활을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할 때가 있지만 유아를 좋아하는 마음과 적성, 다른 직업에 대한 두려움과 경력 누적 등의 이유로 교직을 유지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직무스트레스를 극복하고 교직을 긍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