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남승은-
dc.creator남승은-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02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0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9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90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132-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study had the objective of determining 'satisfaction with life'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and attempted to derive clinical and policy level implication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research study selected 2,108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maintained in the 4th tier survey from the total of 2,351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and were collected as the final test subjects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 (NYPI) as the research study test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ing using SPSS 22.0 to conduct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ational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factors of the research study. The appropriateness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effects of each of the factors were examined separate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earch study first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This means that higher level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and in other words means tha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including both depression and also aggression, confirm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Second, the research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life' and confirmed that higher level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resulted in lower 'satisfaction with life' for teenagers. 'Satisfaction with life' was also confirme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This confirms that while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life' meant low level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including depression and aggression, low levels of 'satisfaction with life' meant tha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including depression and aggression, would be high. Third, this research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s a direct link for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an indirect link for 'satisfaction with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satisfaction with lif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and confirmed that the model used in this research was appropriate. This conformed that 'satisfaction with lif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both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also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including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can be summarized to confirmed that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satisfaction with lif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nd that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had a direct effect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eenagers, including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that this effect was mediating by 'satisfaction with lif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based the design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can be referenced and utilized as basic reference and data for on-site application cases.;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건강한 청소년시기를 위한 임상학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NYPI)이 실시한「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중1 패널로서 최종표본으로 추출된 1차년도(2010년) 2351명 중 4차년도(2013년) 표본 유지된 고등학교 1학년 210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기술통계 및 요인분석과 주요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적합도를 검증하고 개별변수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수준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즉, 우울과 공격성 모두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결과이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삶의 만족도는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와도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이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으면 정서·행동문제 즉, 우울과 공격성이 낮게 나타난 반면 삶의 만족도가 낮으면 정서·행동문제인 우울과 공격성이 모두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인 것이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 있어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 정서·행동문제로 가는 직접경로와 삶의 만족도를 거쳐 가는 간접경로를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연구모형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즉 우울,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 청소년 정서·행동문제 모두 상관이 유의한 것이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인 우울과 공격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 영향은 삶의 만족도가 매개하는 것으로써 확인되었다. 이에 향후 본 연구는 연구 설계를 기반으로 청소년 복지를 위한 실천현장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6 C. 연구 의의 7 Ⅱ. 선행연구 고찰 9 A. 주요변수의 개념적 논의 9 1.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9 2. 삶의 만족도: 매개효과 13 3.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15 B. 청소년 정서행동문제 영향요인 21 1.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21 2. 삶의 만족도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24 C.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 청소년 정서행동문제 25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모형 27 B. 연구대상과 자료 28 C. 조사도구 29 1. 독립변수: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29 2. 종속변수: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32 3. 매개효과: 삶의 만족도 34 D. 자료 분석 방법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6 1. 인구사회학적 특성 36 B. 주요 변인 수준 38 C.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39 D. 연구 모형 분석 40 1. 부정적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 정서행동문제(총합) 매개효과 검증 41 2. 부정적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 우울 매개효과 검증 43 3. 부정적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 공격성 매개효과 검증 45 4. Sobel test를 통한 매개효과 검증 47 Ⅴ. 연구 결론 및 논의 50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50 B. 연구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55 참고문헌 57 부록2. 관련 작품 목록 71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24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of Youth-
dc.creator.othernameNam Seung Eun-
dc.format.pagevi, 75 p.-
dc.contributor.examiner양옥경-
dc.contributor.examiner정순둘-
dc.contributor.examiner노충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