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25현가야금 이중주를 위한 <허현성(虛絃聲)> 분석 연구

Title
25현가야금 이중주를 위한 <허현성(虛絃聲)>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n Heo-hyeon-seong (虛絃聲) for 25-string-Gayaguem (Korean zither with 25 strings) Duet
Authors
민송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본 논문은 작곡가 지원석의 작품인 25현가야금 이중주를 위한 <허현성(虛絃聲)>분석 연구이다. 작품의 분석을 위하여 작곡자의 음악적 가치관과 배경을 알아보고 작품의 해설, 작품구조 그리고 조현법을 파악했다. 또한, 악장의 구분이 없이 단악장 구성인 작품을 선율의 흐름과 박자에 의하여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주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작품은 총 212마디로 구성되었으며, 빠르기는 느림에서 빠름으로 변해간다. 선율의 흐름과 박자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고, 세부 구성을 살펴본 바, 제Ⅰ부분은 〔A〕,〔B〕의 단락으로 구분하고 서주부-ⓐ-ⓐ'-ⓑ-ⓒ-ⓒ'-후주부의 형태이다. 제Ⅱ부분은 〔A〕,〔A〕'의 단락으로 구분하고 ⓐ-ⓐ'-ⓐ"-ⓑ-ⓐ‴-연결구-후주부의 형태이다. 제Ⅲ부분은 〔A〕,〔B〕의 단락으로 구분하고 서주부-ⓐ-연결구-ⓐ'-ⓑ-연결구-ⓐ"-ⓑ'-ⓒ-ⓒ'-후주부의 형태로 구성되었다. 본 작품 분석의 주요 내용을 각 부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제Ⅰ부분은 제1마디부터 제52마디까지이며, 총 52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선율의 진행방향이 상행과 하행으로 뚜렷하게 구분되고, 주요 선율들이 반복, 변형, 확장한 선율을 서정적인 선율에 가야금 주법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느낌을 나타낸다. 서주부에서 장단이 제시 된 후, ⓐ에서 3/4박자로 선율적으로 진행하고 전통적인 시김새와 주법이 나타난다. ⓐ'은 4/4박자로 변하고 선율과 장단이 보다 발전된 형태로 나타난다. ⓑ에서 박자와 중심음, 리듬과 음형을 변형하고, ⓐ는 3/4박자와 ⓐ'는 4/4박자로 전개된 것에 비해 ⓒ는 3/4박자와 4/4박자가 연속적인 변박의 형태로 제시되면서 7/4박자와 같이 효과가 나타나고, 셋잇단음표 리듬으로 극적인 김장감을 표현한다. ⓒ'에서 3/4+4/4박자가 혼합하여 7/4박자를 나타낸다. 각 부분들은 □ ♩의 리듬형으로부터 점차 확대되고, 반복적인 병진행 혹은 반진행하는 악구들이 결합을 이룬다. 두 번째, 제Ⅱ부분은 제53마디부터 제104마디까지며, 총 52마디로 이루어져 있고, 6/8박자를 사용한다. 전통적인 장단을 직접적으로 활용하지 않았으나, 굿거리장단의 리듬꼴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두 대의 25현가야금이 선율과 반주를 주고받는 형태가 나타난다. ⓐ에서 주제선율이 제시되고, ⓐ'는 □의 리듬이 ♩ ♪ 리듬, ♪♩리듬과 같은 부점 리듬으로 변형된다. ⓐ"는 전통주법인 눌러내는 주법을 사용하여 타령의 선율이 나타나고, ⓑ에서 헤미올라 리듬이 사용되었다. ⓐ‴는 앞 ⓐ'와 같은 리듬형이 강조되고 가야금1, 2가 앞부분에서 제시 된 선율과 반주의 역할을 서로 바꾸어 진행한다. 후주부에서는 가야금1이 독주선율은 연주하고, Db음을 사용하여 전조를 암시한다. 세 번째, 제Ⅲ부분은 제105마디부터 제212마디까지의 총 108마디로 이루어지고, 12/8박자와 2/2박자를 사용한다. 자진모리장단의 기본형을 제시하였고, 세분화된 리듬에 선율이 결합하며 보다 다이나믹한 효과가 나타난다. 점강법과 점약법을 사용하며 긴장과 이완의 모습을 도드라지게 표현한다. 서주부는 장단을 제시하고, 주제선율인 ⓐ는 연결구를 거쳐 ⓐ'와 ⓐ"로 발전한다. ⓑ에서 헤미올라 리듬으로 강조되며 제시 된 특징적인 음들은 ⓑ'에서 보다 세분화된 리듬으로 변형되었다. ⓒ와 ⓒ'는 2/2박자에서 오스티나토가 나타나고 규칙적인 리듬패턴에 선율이 변형되며 발전해 나간다. 후주부는 F음을 중심으로 선율과 리듬이 반복하여 극적인 표현을 한다. 이상 지원석 작곡의 25현가야금을 위한 <허현성(虛絃聲)>을 살펴본 바, 두 대의 25현가야금은 선율과 리듬을 단계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가야금1과 가야금2 간에 병진행, 유사진행을 보이고, 변박과 헤미올라의 부분적인 사용으로 리듬의 변화를 모색하다. 점강법과 점약법의 진행을 사용하여 다이나믹한 표현을 만들어 간다. 산조가야금에 사용한 전통적인 주법 뿐 아니라 현대적인 가야금주법을 사용하여 전통과 현대의 공존을 보인 악곡이다.;This study is an analysis on Heo-hyeon-seong, a 25-string-Gayageum (Korean zither with 25 strings) duet composed by Ji Won-seok. In order to analyze the duet,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ser’s musical values and backgrounds and figured out the interpretation, structure and accordatura of the duet. Furthermore, the study categorized the duet into three parts, which is originally single movement, based on the flow of melody and tempo thereby focusing on analyzing musical techniques. Heo-hyeon-seong is composed of 212 bars of which the tempo starts slow and gets faster. The due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based on the flow of melody and tempo. To mention specifically, Part 1 can be divided into sectio〔A〕and〔B〕. The organization of Part 1 is as follows; intro-ⓐ-ⓐ'-ⓑ-ⓒ-ⓒ'-postlude. Part 2 can be divided into section [A] and [A’]. The organization of Part 2 is as follows; ⓐ-ⓐ'-ⓐ"-ⓑ-ⓐ‴-link-postlude. Lastly, Part 3 can be divided into section [A] and [B]. The organization of Part 3 is as follows; Intro-ⓐ-link-ⓐ'-ⓑ-link-ⓐ"-ⓑ'-ⓒ-ⓒ'-postlude. Following is the gist of analysis on each part of the duet. Firstly, Part 1 is composed of 52 bars; from the first bar to 52th bar.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lody lines can be distinguished explicitly. The major melody repeats, transforms and expands thereby adding lyrical atmosphere into traditional setting through playing techniques. After the rhythm is suggested in the introduction part, ⓐ proceeds under 3/4 beat with traditional grace notes and techniques. ⓐ' is changed into 4/4 beat and its melody and rhythm is more developed. In ⓑ, factors such as beat, major note, rhythm and rhythmic pattern are transformed. Whereas ⓐ is 3/4 beat and ⓐ' is 4/4 beat, ⓒ proceeds with irregular time of alternating 3/4 beat and 4/4 beat repeatedly thereby making similar effect as 7/4 beat. In addition, triplet rhythms creates dramatic tension. In ⓒ', 3/4 beat and 4/4 beat are mixed into 7/4 beat. Each part gradually expands from “□ ♩” rhythm and the phrases moving in parallel motion and contrary motion are repeatedly combined together. Secondly, Part 2 is composed of 53 bars; from 53th bar to 104th bar. Part 2 is 6/8 beat. It does not use traditional rhythm directly but partly represents Gutgury rhythmic pattern. In addition, two 25-string-Gayageums exchange the melody and accompaniment together. The theme melody is presented in ⓐ and the rhythms are transformed into dotted rhythms such as “♩ ♪” and “♪♩” in ⓐ'. ⓐ" presents traditional technique thereby creating the melody of Taryeong (Korean traditional ballad). In ⓑ, Hemiola rhythm is used. In ⓐ‴, the rhythmic pattern which is the same with ⓐ' is emphasized where 1st Gayaguem and 2nd Gayaguem proceed by exchanging their role of melody and accompaniment together which are presented in ⓐ". In postlude, 1st Gayageum performs solo and uses Db notes in order to imply the modulation. Thirdly, Part 3 is composed of 108 bars; From 105th bar to 212th bar. In this part, 12/8 beat and 2/2 beat are mainly used. The basic form of Jajinmori beat is presented. Subdivided rhythms are combined with the melody thereby creating more dynamic effect. Tension and relaxation are clearly expressed through crescendo and decrescendo. The intro presents the rhythm and the theme melody ⓐ is developed into ⓐ' and ⓐ" while passing through the link. Characteristic notes which are presented in ⓑ while emphasized with Hemiola rhythm are transformed into more subdivided rhythms in ⓑ'. ⓒ and ⓒ' is 2/2 beat with ostinato where the melody develops and transforms under the regular rhythmic patterns. Postlude makes dramatic expression by repeating the same melody and rhythm based on F note. By analyzing Heo-hyeon-seong, the duet for 25-string-Gayaguem composed by Ji Won-seok, it can be said that the two Gayaguems gradually develop the melody and rhythm. 1st Gayaguem and 2nd Gayaguem move in parallel and similar motion and seek to the transformation of rhythm by partly using irregular time and Hemiola. In addition, it achieves dynamic expression by proceeding with crescendo and decrescendo. It incorporates both traditional technique in Gayaguem Sanjo (Free-style solo) and contemporary playing technique thereby achieving the coexistence and combination of past and pres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