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정-
dc.contributor.author김잔디-
dc.creator김잔디-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58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5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9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91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118-
dc.description.abstract김대성(金大成, Dae-seong Kim)의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풀”>은 합창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곡으로 국악관현악과 굿장단에 서양음악 어법의 접목을 시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곡 전반에 걸쳐 김수영의 시「풀」이 인용되고 있으며, 문학적 재료인「풀」은 풀의 생명력을 극단적으로 억압되었던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한 열망을 갖고 있는 민중의 이미지와 연관 지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풀”>을 분석함으로써, 작곡가 김대성의 음악세계를 이해하고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하여 합창과 관현악의 가능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작곡가의 음악관에 대해 알아보고 악곡형식을 선율, 박자 및 빠르기의 변화, 악상의 전개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합창선율분석, 합창과 관현악의 진행형태, 관현악적 요소 및 기법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풀"의 악곡형식은 전체 345마디의 단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선율, 박자 및 빠르기의 변화, 악상의 전개에 따라 A~H까지 총 8부분으로 구분하였고, 선율의 흐름과 박자 및 세부적인 빠르기의 변화 등을 기준으로 총 32개의 단락으로 나눠진다. “풀”은 김수영의 시「풀」을 합창과 관현악의 형태로 형상화 시켜 작곡되었으며, 음악과 시를 연관 지어 살펴본 결과 A~C 부분은 1연, D~E 부분은 2연, F~H 부분은 3연에 해당된다. 둘째, 합창의 선율은 호모포니(homophony)와 폴리포니(polyphony)를 사용하는 혼합양식의 형태로 나타나고, 동해안 무가의 음계인 ‘미-솔-라-도-레’의 민요적 선율을 바탕으로 3화음의 형태로 출현한다. 또한, 다이나믹의 대조적 사용으로 가사의 반복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단조로움을 피하고 있다. 셋째, 악곡 분석을 통해 "풀"의 합창과 관현악의 진행 형태를 분석한 결과 합창과 관현악이 동일선율로 진행하는 형태, 합창과 관현악이 모방하는 형태, 합창을 관현악으로 화성 반주하는 형태 등 세 가지 유형으로 압축할 수 있었다. 관현악에서 옥타브 및 동일선율 진행은 다양한 음색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독주선율의 음량을 확대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합창과 관현악이 서로의 선율을 모방 및 변주하는 형태는 주제를 강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합창을 화성으로 반주하는 형태는 현악기가 주로 화성진행의 베이스 역할을 하고, 관악기는 파트가 2성부로 나눠지면서 화음을 만들어 음향적으로 풍부하게 뒷받침 해준다. 넷째, 관현악적 요소 및 기법을 살펴본 결과 관현악의 선율이 전경 ․ 중경 ․ 배경을 통해 역할이 분배되고 있다. 소금, 대금, 피리, 해금 등의 관악기는 음악의 주도적 선율인 전경과 중경이 되고, 그 외에 악기들은 보조적 선율인 배경이 되고 있다. 유니즌과 옥타브 중복의 형태는 주선율을 강조하고, 종결부는 튜티(Tutti)의 형태로 극적인 효과를 주며 곡을 마친다. 또한 작곡자가 제시한 베기장 장단은 리듬형이 배경(Back ground)의 역할을 하면서 (3+3+2) 박자 혹은 (2+2+2+2) 박자의 형태로 나타나며, 관현악을 통해 리듬적 요소로 표현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합창음악을 소재로 한 국악관현악의 가능성과 작품 속에서 전통적인 소재와 서양음악의 기법을 접목하여 활용하려는 작곡가들에게 새로운 발전적 방향의 모색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Pul” for choir and orchestra> composed by Dae-seong Kim is music for the choir and Korean orchestral music. It has attempted to combine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with Korean orchestral music and Gut rhythm. The literature material “Pul” implies vitality and it has been used across the entire music. “Pul”, from the poem by Su Yeong Kim, represents people who strongly desire democracy and nationalism under extreme oppression. The purpose of analyzing <”Pul” for choir and orchestra> is not only to help understanding better of composer Dae-seong Kim’s music world but also to identify significant features in his work. In this paper, musical thoughts of the composer will be discussed as well as analyzing music forms by the melody, change of rhyme and speed, and musical motivic development. Based on them, examining analysis of the choir melody, progression form of the choir and orchestra, and elements of orchestration and technique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music form of <”Pul” for choir and orchestra> consists of 345 measures as a single movement and it is classified into 8 parts A - H according to the melody, change of rhyme and speed, and musical motivic development. After that, it is subclassified into 32 parts according to change of rhyme and speed, and musical motivic development. The music <”Pul” for choir and orchestra> is musicalized from the poem by Su Yeong Kim. Comparing the music with the poem, the 8 parts (A - H) in the music can be divided into 3 stanzas in the poem: The first stanza is A - C, the second stanza is D - E, and the third stanza is F - H. Second, the choir melody appears as a mixed form of homophony and polyphony. The scale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shamanic music 'mi-sol-ra-do-re' appears in the form of 3 chords based on the folk song melody. Furthermore, it uses dynamic contrast to avoid simplicity that can be seen in repetition of lyrics. Third, analyzing the progression form of the choir and orchestra through music analysis of “Pul”, it can be categorized into 3 types which are progression of the choir and orchestra in octaves and same melody, imitation and variation of the choir and orchestra, and accompaniment of choirs as chords. Progressing octaves and same melody is not only an effective way to express a wide range of tones but also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olo melody. Imitating and playing a variation of the choir and orchestra emphasize the theme. In the type of accompanying choirs as chords, string instruments usually act as a chord progression base. Wind instruments make chords by dividing into 2 parts that acoustically support great. Fourth, examining the orchestral elements and techniques shows that the orchestral melody differentiates its roles through foreground, middle ground, and background. Among wind instruments such as Soguem, Daeguem, Piri, and Haegeum are categorized either as foreground and middle ground which are leading melody and the rest of the instruments are background as supplementary melody. Unison and overlapping octaves emphasize the leading melody and the coda of the music ends in a form of Tutti which gives a dramatic effect. In addition, Ba-Gi-Jang rhythm that is presented by the composer plays as a background in the forms of (3+3+2) or (2+2+2+2) beats which expresses rhythmic elements through the orchestra. This thesis analyzes to help composers, who attempt to combine Western music techniques with traditional materials, when they seek for new developmental direction hereafter. It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for potential growth of Korean orchestral music that materializes choi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4 Ⅱ. 본론 6 A. 작곡가 김대성의 음악관 6 B.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풀"> 작품개관 10 1. 작품해설 10 2. 김수영의 시「풀」 11 3. 악기편성 및 무대배치 15 C.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풀"> 악곡분석 17 1. 악곡형식 17 2. 합창선율 20 3. 합창과 관현악의 진행형태 62 4. 관현악적 요소 및 기법 77 Ⅲ. 결론 96 참고문헌 99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187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김대성 작곡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풀”>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al Study of <"Pul" for Choir and Orchestra> Composed by Dae-seong Kim-
dc.format.pagev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