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reator김수진-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52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5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5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57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09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wareness of child abuse among fathers of young children and determine if the awareness differed by fathers' backgrounds(age, education, income, number of children, gender of children). It aimed to determine their experience of and demand for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concerning child abuse prevention for fathers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made: 1. How are fathers of young children aware of child abuse? 1-1. Does the awareness of child abuse among fathers of young children differ by their general backgrounds(age, education, income, number of children, gender of children)? 2. What experience and demand do fathers of young children have for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2-1. What experience concerning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do fathers of young children have? 2-2. What demand do fathers of young children have for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372 fathers of young children at 9 nurseries and 6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i Province, and Incheon. An adaptation of the questionnaire in Ma and Ji(2000), Lee, Jeong, and Ha(2009), and Choi, Lee, and Kim(2005) was used to determine the fathers' awareness of child abuse and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To analyze the data,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Following one-way ANOVA, Scheffe's test was performed in case of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any fathers thought that child abuse currently occurring in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serious. They indicated that mothers committed the most serious type of child abuse and were most likely to mention family trouble as a cause of child abuse. Second, as for the general trend of fathers' awareness of child abuse types, they were highly aware of child abuse. In terms of child abuse types, the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of sexual abuse, followed by emotional abuse, neglect, and physical abuse. As for fathers' general backgrounds, their awareness of each child abuse type was at different levels by education, income level, number of children, and children's age. Third, fathers' experience of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is as follows: Many fathers had never participated in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failing to participate in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was no information about such education.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 they received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nurseries and kindergartens formed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ed by municipal, provincial, and local education offices and child protection centers. The factor having the greatest impact on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was a day of the week and time. Fourth, fathers' demand for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is as follows: Over 77% of the fathers intended to participate in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in the future. The majority of them suggested that a practitioner related to child abuse should be the most appropriate lecturer in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Most of them wanted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to be given at their children's nurseries and kindergartens for 1-2 hours in the morning on weekends.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having no inclination to participate was no relevance to themselves, followed by being too busy. In conclusion, fathers thought that child abuse occurring in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serious and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awareness of child abuse. They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receive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types of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and to provide fathers with customized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on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basis.;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학대 인식을 살펴보고, 아버지의 일반적인 배경(아버지의 연령, 학력, 수입, 자녀수, 자녀 성별)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아버지의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경험 및 요구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를 위한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프로그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인식은 아버지의 일반적 배경 (연령, 학력, 수입, 자녀의 수, 자녀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경험 및 요구는 어떠한가? 2-1.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경험은 어떠한가? 2-2.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9곳과 유치원 6곳에 재원 중인 유아의 아버지 3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학대 및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송희, 지성애(2000), 이옥경, 정규석, 하정화, 이혜주(2009), 최은영, 이진화, 김승진(200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아버지들이 현재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아동학대에 대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에서 누구에 의한 아동학대가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문항에서 아버지들은 어머니에 의한 아동학대가 가장 심각하다고 하였으며, 아동학대의 발생 원인에 대해 살펴보면 잦은 가정불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 유형에 대한 아버지 인식의 일반적인 경향을 펴보면 아버지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동학대 유형별 인식에서는 성 학대, 정서 학대, 방임, 신체 학대 순으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버지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부모의 아동학대 유형별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아버지 학력, 소득수준, 자녀 수, 자녀연령에 따라 아버지 인식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경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면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참석하지 못한 이유는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이 있는지 알지 못해서가 가장 높았다.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을 수강하였던 교육기관을 조사한 결과, 어린이집, 유치원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시․도 및 지역 교육청, 아동보호전문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참석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요일 및 시간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아버지의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향후 아버지를 위한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이 실시된다면 참여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77%가 넘는 아버지들이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의 강사로 가장 적합한 사람은 아동학대 관련 실무자가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의 개설 시간대는 주말 오전, 교육시간은 1~2시간, 장소는 자녀가 다니는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참여할 의향이 없는 경우 그 이유는 나한테 해당사항이 없다고 생각해서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너무 바빠서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버지들은 우리 사회의 아동학대 발생에 대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아동학대 인식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을 접할 기회는 적은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아버지들을 위한 맞춤형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이 지속적,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아동학대 5 B.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12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15 B. 연구도구 17 C. 연구절차 19 D. 자료분석 2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1 A.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학대 인식 21 B.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경험 및 요구 29 Ⅴ. 논의 및 결론 36 A. 논의 36 B. 결론 및 제언 42 참고문헌 46 부록. 설문지 55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95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아동학대 및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athers' Awareness of Child Abuse and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dc.format.pageiv, 68 p.-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