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1 Download: 0

K-Fashion 활성화를 위한 쇼핑서비스 디자인 전략연구

Title
K-Fashion 활성화를 위한 쇼핑서비스 디자인 전략연구
Other Titles
To activate K-FashionStudy on design of shopping service design infrastructure : Focusing on dong-dae-moon special fashion zone
Authors
김하윤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Korean fashion is more sophisticated and trendier than any other city in the world. Therefore, K-fashion is attracting attention all over the world. Korean young women's style is leading the world, especially Chinese tourists wanting to buy K-Fashion in Korea and are coming to sightseeing. The fashion center is Dongdaemun Fashion Zone. Despite the potential of the Dongdaemun Fashion Zone, however, the number of tourists who have increased each year has been decreasing since 2015 and the number of products sold is decreasing. However, design studies that recognize the differentiation of the Dong-dae-mun Fashion Special Zone are insufficient.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paper to be approached with the judgment that the design strategy through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is necessary and should be proposed to revitalize the Dong-dae-mun Fashion Special Zone. It is a way to provide a more efficient and sensible service experience by materializing the invisible service. In the transition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the service industry, the power of economic activity shifted from the supplier-oriented to the consumer-oriented, and the design strategy was proposed and studied through the service design process. As the tourism market grows with the rapid change in trends, the scale of foreign tourist market is growing faster. This study, which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proposed a strategy to find out the needs of Chinese people visiting Dongdaemun Fashion Zone in terms of service design as a tool to identify and solve the nature of problem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or the Chinese in the north, they approach access to a variety of services and approach to service design that enables them to invest not only in short-term profits but also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t this time, K-Fashion was not merely a product or clothing, but an overall concept of fashion in the flow of Korean Wave.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K-Fashion, Dongdaemun Fashion District has linked the contents that should be taken with culture and experience to the overall service design.;K-Fashion은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드라마와 영화, 인기 가수 아이돌의 인기로 한국스타일의 패션과 화장법을 해외에서 따라하면서 시작되었다. 한류의 영향력으로 한국 전반의 대중문화 산업과 국가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경제적인 효과가 국가 경쟁력이 되고 있다. 그 패션의 중심에 동대문 패션특구가 있고, 중국 관광객들은 동대문 패션특구를 주 구매지로 찾고 있다. 동대문 패션특구는 2002년 관광특구로 지정된 이래 전통 재래시장과 현대식 쇼핑몰이 공존하는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특화된 구역이다. 2015년 외래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서 쇼핑하는 장소로 동대문이 우선 순위에 있고 쇼핑이 관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7.1%이다. 이처럼 중국인에겐 쇼핑관광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고 이러한 패션 특구지역을 개발하여 활성화시키는 디자인적 전략이 중요하다. 한국에 쇼핑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며 인터넷 SNS 확산으로 K-Fashion의 관심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동대문 패션특구는 2014년 3월 동대문 패션특구의 랜드마크로 DDP(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를 개관하여 문화 체험 관광지로써의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통한 동대문 패션특구가 활성화 해야한다는 판단 하에 접근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관광 인프라가 구축되고 흥인지문의 역사적인 공간까지 시대를 초월한 복합 관광지역으로 홍보와 마케팅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K-Fashion의 정확한 개념과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대문 패션특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한다. 앞선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하여 K-Fashion과 동대문특구와의 연계성을 마련하고,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으로 전략을 제안하고 한다. 관광의 변화 속에 복합적으로 진화하는 동대문 패션특구는 이제 단순히 쇼핑만을 위한 관광이 아니라 다양한 체험과 경험이 중요해지고 서비스의 모든 접점을 고객 니즈에 맞고 의미 있게 디자인하는 서비스디자인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서비스디자인으로의 접근은 관광객이 보다 매력적이고 높은 가치로 느낄 수 있게 하는 디자인 방법론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적 관점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 동대문 패션특구의 방한 중국인을 대상으로 삼고, 현재 동대문 패션특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국인 관광객의 니즈를 반영하여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된 연구 자료와 문헌을 기초로 하여 동대문 패션특구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여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대문 패션특구를 방문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동대문 판매자와 방한 중국인을 상대로 설문 조사하여 이해 관계도에서의 견해 차이를 도출하고 성공한 관광특구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동대문 패션특구가 가고자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인 4D 프로세스를 접목하여 동대문 패션특구와의 관계성에서 새로운 디자인 컨셉 방안과 디자인 전략을 도출해 블루프린트로 가시화된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동대문패션특구가 가진 매력도와 눈에 보이지 않는 서비스디자인을 가시화 하여 새로운 컨텐츠의 체험관광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통합적이고 복합적인 관점에서 개발과 관심이 중요성을 고취해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