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4 Download: 0

중재실형 정자의 사회적 수용과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Title
중재실형 정자의 사회적 수용과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용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재신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목조건축 중에서도 작은 규모인 정자건축을 대상으로 삼는다. 주된 연구 대상은 개인이 별서용도로 지은 유실형 정자이며, 그 중에서도 중앙에 방이 있는 정자를 위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중재실형 정자의 사회적 수용 과정과 평면특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첫째, 사회적 수용 과정을 알아기 위해 이 평면형태가 어떤 순서로 퍼져나갔으며, 당시의 주요한 사회적 변화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주로 경제적 측면에서 알아본다. 둘째, 중재실형 정자의 평면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가구 유형 표기법을 보완할 수 있는 FEB분석 기법을 도입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하였던 사상, 정치 및 문학적 특성 외에 당시 양반계층의 경제행태도 중재실형 평면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FEB분석의 도입으로 전통건축이라는 틀에 얽매이지 않고 연구대상 정자의 평면들을 다각적인 방법으로 비교하고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Jungja(Korean traditional pavilion), especially Jungjaesil type's plan. The Jungjaesil type is special type of Jungja architecture, which have small room at building's center. In chosun dynasty, most of Jungja that built by Yangban. This study tried to prove two theory. The first on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al background and architectural type in the Jungjaesil type's forming process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Yangban's economical system and architectural type, compared the national tax system's changing and Jungjaesil type building's year of construction. This study 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17th~18th century because in the era Daedong-law established and golden era of the Jungja construction. The second one is about analysing method a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y using mathematical tool which named FEB, this study could improve criticision on traditioinal architecture's plan analys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