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미연-
dc.contributor.author이인행-
dc.creator이인행-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2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8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84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0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학생들이 과학수업 상황에서 드러내는 지식자금을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이들의 지식자금이 과학학습에 미치는 역할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탈북학생 대상의 A학교에서 진행되는 고등학교 3학년 과학반의 23차시 수업에 참관하였다. 모든 수업 내용은 녹음 및 녹화되었고 이는 전사를 거쳐 문서화 되었다. 학생들의 수업상황을 관찰하며 작성한 관찰노트와 수업 종료 후에 과학교사와 수업을 되돌아보며 작성한 반성노트는 문서화된 수업 전사본과 함께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탈북학생들의 지식자금은 지식자금이 형성된 요인에 따라 가정기반, 지역공동체기반, 또래문화기반, 대중문화기반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탈북학생들은 이같이 다양한 유형의 지식자금을 수업에 활용하여 학습에 참여하거나 과학을 이해해갔다. 먼저, 탈북학생들은 지식자금을 통해 인지적 권위를 획득하였다. 학생들은 과학학습 내용과 관련된 지식자금과 취미 및 특기와 같은 개인의 전문성을 학습공동체 안에서 드러내거나, 북한에서의 경험을 통해 습득하여 교사가 잘 알지 못하는 지식자금을 교사에게 설명하며 인지적 권위를 획득하였다. 둘째, 탈북학생들은 지식자금을 통해 주체적으로 과학지식을 구성하였다. 과학경험이 적은 탈북학생들은 추상적이고 단편적인 과학지식을 구체적인 맥락을 가진 지식자금에 접목하여 과학을 이해하였으며, 때로는 교사의 설명을 통해 이해한 과학지식을 다시 일상으로 가지고 가서 일상 속 과학을 이해하기도 하였다. 셋째, 탈북학생들은 지식자금을 통해 남북 간의 문화적 상이함을 해소하였다. 탈북학생들은 지식자금을 활용하여 과학언어의 어려움을 극복하거나 남북 간에 서로 다른 과학의 쓰임을 이해하였다. 특히, 학습공동체가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지식자금은 학생들 간에 간주관성을 보이며 또래의 학습지원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탈북학생들의 지식자금은 잠재적인 학습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탈북학생들은 지식자금을 다채롭게 활용하여 과학을 학습하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임을 알 수 있었다. 탈북학생들은 지식자금이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는 수업상황에서 이전까지의 과학경험, 과학성취도, 과학학습태도에 상관없이 과학학습에 참여하였다. 이는 탈북학생들의 사회, 문화, 역사적 삶의 환경과 방식에 대한 이해가 탈북학생들의 학습 잠재력을 발휘하게 하는 핵심임을 시사해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type the funds of knowledge, which the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show in science class in terms of social culture, and study the role of the nfunds of knowledge in science learning. For this, the researcher observed 23rd session of 12th grade science class in schoolA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defector students). The whole class was recorded and documented after being transcribed. Observer notes and teacher’s diary written after class were also analyzed together with the documented class transcrip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unds of knowledge of the North Korean students could mainly be labeled as family life based funds of knowledge, local community based funds of knowledge, peer group based funds of knowledge and pop culture based funds of knowledge depending on each different factor which formed funds of knowledge. The students used these various types of funds of knowledge to participate in class or to understand science. First of all,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obtained cognitive power through funds of knowledge. The students showed their individual expertise, such as funds of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hobby or talents within their learning community, or they used their unique knowledge as former North Korean, to achieve such authority by sharing their own funds of knowledge with teachers. Secondly, the North Korean students actively formed their own science acquaintance through funds of knowledge. Those students, who were mostly lack of science experience, adopted their abstract and fragmentary science understanding to the funds of knowledge which has specific context in order to grasp the science concept and principles. From time to time, under the instructions of their teachers, they were able to fetch their newly obtained knowledge to understand the science in their daily life. Lastly, the students were able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 two different cultures in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e funds of knowledge. Especially, the knowledge which could be shared within the learning community had intersubjectivity among students and used in scaffolding of the pe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unds of knowledge of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are considered to have value as a potential learning resource, and the students are claimed to be active and independent learners at the same time. The students were exposed in the learning circumstance in which they could freely show their funds of knowledge, and participated in class regardless of their prior science experience,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 This indicates that their understand on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and life style could be the key to their potential success in science learning situation and a main driver which enables the students to enlarge their learning possi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탈북학생의 과학학습 5 B. 지식자금 7 C. 학습자의 행위주체성 9 Ⅲ. 연구방법 11 A. 연구 대상의 특성 11 B. 연구 절차 15 1. 연구자의 탈북학생에 대한 이해 15 2. 과학 수업 실시 15 C. 자료 수집 17 D. 자료 분석 18 Ⅳ. 연구결과 20 A. 지식자금의 유형 및 특성 20 1. 가정기반 지식자금 20 2. 지역공동체기반 지식자금 22 3. 또래문화기반 지식자금 33 4. 대중문화기반 지식자금 39 B. 지식자금의 역할 및 특성 42 1. 인지적 권위 획득 42 2. 과학적 의미 생성 지원 54 3. 문화적 상이함 해소 65 Ⅴ. 결론 및 제언 73 참고문헌 76 부록 79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90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탈북학생의 과학학습을 매개하는 지식자금의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Funds of knowledge : As a coupling medium for science education.-
dc.format.pagev,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