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차이와 차별

Title
차이와 차별
Other Titles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 A Cultural History of Luxury Consumption in Modern Korea
Authors
권미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훈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luxury consumption in modern Korea(from the 1920s to the present). In presenting a cultural history of luxury consumption that has progressed in conjunction with the ideas such as coloniality, modernity, nationalism, materialism, statism, and sexism, politics was found to be an element pervading all of them.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public's luxury consumption had long been the subject of control. We may summarize this as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The desire to be different has led the development of luxury consumption, while, on the other side, the formation and effect of a negative discourse against luxury consumption have expanded to become an implicit social norm producing mutual interference and discrimination among members of the society. As consumption is a component of an individual's daily life that defines their life style, when power intervenes with it and exercises microscopic influence, daily life becomes politicized, which is a matter belonging in the realm of cultural studies. Thus, while this study is a cultural study, it also focuses on the cultural politics; accordingly, it has attempted an interpretation based on cultural politics as a frame of study. We examine the progression of luxury consumption, a universal phenomenon in human culture, in the context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modern Korea, portraying the dynamics between the practices of consent, deviation, and negotiation in response to state control and discriminatory discourse of criticism. In reality, because Korea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the public's luxury consumption is a phenomenon that has only recently become universally possible in the Korean society. A newly emerging nation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 and one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at the time, Korea passed through a period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quality of life beginning to improve gradually, and the formation of a consumer society is understood to be, by and large, not until the late 1980s and onwards. In terms of the world situation, we may say that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fact that it was in the 1980s that the Western luxury industry, dominating the world's luxury market today, established and began to implement a mass sales strategy geared toward the middle class. However, even during the previous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era of scarcity after liberation, and during the war, luxury consumption has always existed, which led to state power exercising control over it as well as the initiation of a discourse of criticism. The state power's control over luxury consumption was carried out in the traditional form of sumptuary law and tax increase. An import ban on luxury items was also crucial, as imported high-end goods comprised the majority of luxury items. Control measures on luxury consumption enac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such as the regulation on production and sales of luxury items, tariff increase on luxury items, item-specific tax, and import restrictions, continued under the post-liberation Korean government in a similar manner, gradually disintegrating amidst changes in the world situation – the termination of the Cold War,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 and the ensuing effects. However, the long-standing negative stigma on luxury consumption and the ensuing effect are even today operating at a low level. Examples of this are products of institutional control and the discourse of criticism that were continuously at work in the past: the contradictory coexistence of both repudiation of and desire for luxury consumption as a cultural byproduct and the discriminatory view towards women who indulge in luxury. This study traces the historical relationship – within the dynamics formed by reaction to control and discrimination – between luxury consumption and cultural concepts crucial in explaining modern Korea, such as modernity, nationalism, patriotism, and gender. For this, Chapter III gives a chronological account of popular luxury consumption and the state's intervention that have been developing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hanges, starting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hen luxury items first emerged as the signifier of modernity, until today. Chapter IV presents, along with actual case examples, the politics prominent in the rhetoric criticizing luxury mobilized for control, i.e., the effect of nationalism and statism and the phenomenon creat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power of the discriminatory view towards women and consent or deviation in response to it. The majority of cultural interpretations in luxury consumption studies until now are mainly accounted for by "Korean” elements with respect to consumption of luxury products, such as maintaining one's face, being conscious of others' eyes, deindividuation due to groupism, the desire to show off, and the desire for a higher social stat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a 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political power that has come to penetrate an individual's personal realm and the reaction of the people to it. This attempt has also broadened the scope of study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In other words, if existing studies were problematization of luxury consumption, we may say that this study problematizes the problematization of luxury consumption. Luxury consumption has been considered negative in many cultures, and this study focuses on what kind of context and motives, in the case of modern Korean society, were involved in luxury consumption acquiring negative qualities and, at the same time, becoming an object of desire, as well as how women came to be depicted as agents of luxury consumption. We may say that, in doing so, this study has also become a historical example verifying that the universal human behavior of seeking luxury in one form or another can under no circumstances be controlled by power. Furthermore, this study may be used to examine historical changes in modern Korea through the crucial topic of luxury consumption, which has become a style and goal of life to be sought after in a consumer capitalist environment, a critical indicator of the current age.;본 연구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의 약 100년간의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진행된 사치 소비의 문화사 구성과 그 의미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식민지, 전쟁, 산업화 등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 지점들을 통과하며 형성된 식민성, 근대성, 민족주의, 물질주의, 국가주의, 성차별 등과 연동하며 진행된 사치 소비의 역사와 문화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정치성은 이들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작용했다. 소비대중의 사치 소비는 오랜 기간 동안 통제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차이와 차별로 압축될 수도 있다. 차이에 대한 욕망이 사치 소비의 전개를 이끌었고, 그 반대편에서는 사치 소비를 향한 부정적 담론의 형성과 작용이 국가와 민족이라는 대의적 명분을 바탕으로 한 암묵적인 사회적 규율로 확장됨에 따라, 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 간섭과 차별을 양산했기 때문이다. 개인의 일상을 구성하고 삶의 양식을 규정짓는 소비에 권력이 개입함으로써 미시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때 일상의 정치화는 이루어지며, 이는 문화연구의 영역으로 포섭된다. 이로써 본 연구는 문화연구인 동시에 문화의 정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따라서 문화정치학이라는 연구의 틀에 근거한 해석이 시도됐다. 인류 문화의 보편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치 소비가 근현대 한국의 사회문화적 조건의 토양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됐는지, 국가의 통제 및 차별적 비난 담론에 대한 동의, 일탈, 타협의 실천이 구성하고 있는 역학관계를 그려내고자 했다. 사실 급속 경제 성장을 이룬 한국 사회에서 대중의 사치 소비란 최근에 와서야 보편적으로 가능해진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직후 최빈국 중의 하나였던 신생국 한국은 산업화를 거치며 조금씩 생활이 나아지기 시작했으며, 소비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점은 대체로 1980년대 후반 이후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또한 세계적인 흐름에서는, 오늘날 전 세계의 사치품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서구 명품 산업이 1980년대부터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대중적 판매 전략을 수립 및 시행한 것과도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의 일제강점기에도, 해방 후의 절대적 빈곤 속에서도, 전쟁 중에도 대중의 사치 소비는 존재했으며, 필수품과 사치품의 구분이 모호한 가운데 소비를 통제하는 국가의 권력 및 비난 담론의 작동을 야기했다. 국가의 사치 소비 통제는 제도적으로는 전통적인 방식인 금지법과 세금 인상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수입된 고급 소비재가 사치품의 대다수를 구성했기 때문에 사치품의 수입 금지도 중요했다. 일제강점기에 시행된 수입 제한, 수입 사치품 관세 인상, 사치품의 제조와 판매 금지령 등과 같은 통제 조치는 해방 이후의 한국 정부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이어지다가, 냉전의 종식, 세계화, 신자유주의의 세계적 흐름과 영향 속에서 점차 와해되어 갔다. 특히 IMF 이후 신자유주의가 정부의 경제 노선으로 채택됨에 따라 통제가 아닌 자유, 절약이 아닌 소비에 방점이 찍혔으며, 사치 소비에 대한 규제 또한 사실상 폐기된 것과 다름없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작용했던 사치 소비에 대한 부정적 낙인과 그 효과는 오늘날까지도 낮은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에 지속적으로 전개된 제도적 통제와 비난 담론으로 인해 생산된 문화적 부산물로서, 사치 소비에 대한 부정과 선망의 모순적 공존, 사치하는 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과 같은 것이다. 본 연구는 통제와 차별에 대한 대응이라는 역학관계 속에서 근대성, 민족, 애국, 젠더 등과 같은 근현대 한국을 설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문화적 개념들이 역사적으로 사치 소비와 관계를 맺는 과정을 추적했다. 이를 위해 Ⅲ장에서는 근대성의 기표로 소비된 사치품이 등장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시대적 변화에 따라 확장되는 대중적 사치 소비와 국가의 개입을 순차적으로 기술하고, Ⅳ장에서는 통제에 동원된 사치 비난의 수사학에서 두드러진 정치성, 즉 민족주의 및 국가주의의 작용과 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의 권력 및 이에 대한 동의와 일탈의 상호작용이 만들어 내는 현상을 실제적 사례와 함께 제시했다. 지금까지의 사치 소비 연구의 문화적 해석의 주류가 주로 명품 소비와 관련한 체면의식, 눈치, 집단주의에 따른 몰개성, 과시욕, 신분 상승욕 등과 같은 '한국적' 특징으로 설명되었는데,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와 독재정권을 거치며 형성된 강력한 수직적 통제 문화 속에서 개인의 사적인 영역에 침투한 정치력, 이를 가능하게 만든 한국의 정치경제적 상황, 이로써 근대성, 민족, 애국, 젠더 등의 요소와 결합하게 된 사치 소비에 대한 역사적 맥락에서의 문화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연구의 지평을 시공간적으로 넓힌 데 의의가 있다. 즉 기존의 연구가 사치 소비에 대한 문제화라면, 본 연구는 사치 소비에 대한 문제화에 대한 문제화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문화권에서 부정적으로 간주된 사치가, 한국 근현대의 경우 어떤 맥락과 의도에서 부정적 자질을 획득했고 동시에 선망의 대상이 되었는지, 그리고 여성이 어떻게 사치 소비의 주체로 형상화되었는지, 그 과정을 복원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사치를 추구하는 인류 보편적 행위는 권력으로 절대 통제될 수 없음을 입증하는 하나의 역사적 사례를 더했다고 할 수 있겠다. 나아가 본 연구는 현시대의 결정적 조건인 소비 자본주의의 풍토에서, 추구해야할 삶의 양식이자 목표가 되어버린 사치 소비라는 긴요한 주제를 통해 근현대 한국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