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홍다은-
dc.creator홍다은-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0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5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58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051-
dc.description.abstractThough it is important to use appropriate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in Korean society, there is difficulty in their acquisition and usage. For sociocultural elements are reflected in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and, diverse factors influence on their selection, a limit exists in learning through text books.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that it is helpful to experience the culture of L2 country in acquiring and learning L2, and therefore institutes the concept of 'Cultural Experi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ypes of Cultural Experience are classified as Direct Experience(DE), Indirect Experience(IE), and Inexperience(NE) and the study discusses about experience of residence in Korea for DE and experience of using Korean culture contents for I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Korean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and degree of their Korean Cultural Experience, which is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d frequency of using Korean culture contents. The following is the composition of the study.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re clarified and several previous studies are examined. Previous studies refer to using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have residence experience in Korea, and the method or effect of L2 education utilizing culture contents. Research problems follow: 1. 'Does the usage pattern of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in Chinese Korean learners differ from those of Korean learners?' 2. 'Does the usage pattern of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in Chinese Korean learners differ according to their Korean cultural experience?' Subordinate research questions 2-1, 2-2 and 2-3 were set up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 differences according to IE, and interaction effects of DE and IE.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including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cultural experience and learning L2, etc. is examined. For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the concepts, types, selection factor and cultural-pragmatical features are organized. For cultural experience and learning L2, the concepts, types, and relation of those two factors are organized. According to So San Kang & Eun Joo Jeon(2013), terms of address are defined as 'terms that the speaker calls the listener' and terms of reference as 'terms that the speaker points to their own, the listener, and a third person in conversation'. The type is classified as 'kinship', 'name', 'pronouns', 'title', 'common noun', 'teknonymy', 'attraction of attention', and 'zero(omission)'. Cultural experience, the main concept of this study, is defined as 'experience of L2 country's culture(daily life and language use)' and the type is classified as 'Direct Experience(DE)', 'Indirect Experience(IE)', 'Inexperience(NE)'. DE means experiencing L2 country's culture directly through staying in the country, IE means experiencing L2 country's culture indirectly with the culture contents, and NE is that there is nothing about meaningful experience for L2 country's culture. Chapter Ⅲ contains research methods in the order of research procedures,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 and tool, and data analysis method.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16 multiple-choice items and the participants are Chinese Korean learners(C) who have TOPIK certificate level 3~6(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nd Korean native speakers(K) for comparison. Th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each problem is in chapter Ⅳ and conclusion is in chapter Ⅴ. Regarding research problem 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average of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with group C and K. Regarding research problem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core average according to the type and degree of cultural experience, that is DE and IE. As a result, DE, residence experience in Korea preferentially influenced the total score average rather than IE, experience of using Korean culture contents. In Case of those of a short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the frequency of IE was the most influential. Through the study proceed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idering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it is sh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using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per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d frequency of experience using Korean culture contents. The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nstitutes the concept of 'Cultural Experience' and tries to determine that experiencing L2 country's culture has positive effects on the acquisition of L2.;한국 사회에서 적절한 호칭어·지칭어 사용은 중요하나 한국어 학습자가 이를 습득하고 사용하기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호칭어·지칭어에는 사회문화적인 요소들이 반영되어 있고 호칭어·지칭어를 선택하는 데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데 학습자들이 교재를 통해 호칭어·지칭어를 학습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표어 국가의 문화를 경험하는 것이 목표어 습득 및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어 교육에 '문화 경험'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문화 경험의 유형은 직접경험, 간접경험, 무경험으로 분류하였으며 직접경험으로는 한국 거주 경험을, 간접경험으로는 한국 문화 콘텐츠 이용 경험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 경험 유형과 그 정도 등에 따라 한국어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한국 거주 경험의 기간과 한국 문화 콘텐츠 이용 경험의 빈도에 따른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주로 한국 거주 경험이 있는 한국어 학습자의 호칭어·지칭어 사용에 대한 연구와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L2 교육 방법이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문제 2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은 한국 문화 경험의 유형과 그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이며, 직접경험의 정도에 따른 차이, 간접경험의 정도에 따른 차이, 두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위 연구 문제 2-1, 2-2, 2-3을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호칭어와 지칭어, 외국어 학습과 문화 경험 등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호칭어와 지칭어에 대해서는 개념과 유형, 선택 요인, 문화·화용적 특징을 정리하였고 외국어 학습과 문화 경험에 대해서는 두 요인의 관계, 문화 경험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였다. 호칭어·지칭어의 개념은 강소산·전은주(2013)를 참고하여 '호칭어'는 '화자가 청자를 부르는 말', '지칭어'는 '화자가 대화 중 자신, 청자, 제3자를 가리키는 말'로 정의하였고 그 유형을 '친족형', '이름형', '대명사형', '직함형', '일반명사형', '자녀 이름 매개형', '주의 환기형', '영형'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개념인 '문화 경험'은 '목표어 국가의 문화(생활, 언어 사용)에 대한 경험'으로 정의하였고 그 유형을 '직접경험', '간접경험', '무경험' 등으로 분류하였다. '직접경험'은 목표어 국가의 문화를 해당 국가에서 체류함으로써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의미하며, '간접경험'은 목표어 국가의 문화를 해당 국가의 문화 콘텐츠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무경험'은 목표어 국가의 문화에 대한 유의미한 경험이나 자극이 없는 것을 말한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연구 절차, 실험 참여자, 자료 수집 방법 및 도구, 자료 분석 방법의 순으로 제시하였다. 실험지는 총 16개의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은 TOPIK 기준 중급 이상에 해당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C) 집단과, 비교를 위한 한국어 모어 화자(K)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문제별로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Ⅴ장에 결론을 정리하였다. 연구 문제 1인 K 집단과 C 집단 간의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 총점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항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 문항과 그렇지 않은 문항들이 있었다. 연구 문제 2인 문화 경험의 유형과 정도에 따른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결과 직접경험과 간접경험의 정도에 따라 집단 간 총점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직접경험과 간접경험 두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그래프를 분석한 결과 총점 평균에 있어 직접경험, 즉 한국 거주 경험은 간접경험, 즉 한국 문화 콘텐츠 이용 경험보다 우선적인 영향을 미치며 한국 거주 경험의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한국 문화 콘텐츠 이용 경험의 빈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문화와 언어의 관계를 고려한 관점에서 진행된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거주 경험의 기간과 한국 문화 콘텐츠 이용 경험의 빈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문화 경험'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하여 목표 국가의 문화를 경험하는 것이 목표어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문제 13 Ⅱ. 이론적 배경 16 A. 호칭어와 지칭어 16 1. 호칭어·지칭어의 개념과 유형 16 2. 호칭어·지칭어의 선택 요인 26 3. 호칭어·지칭어의 문화화용적 특징 29 B. 외국어 학습과 문화 경험 32 1. 외국어 학습과 문화 경험의 관계 32 2. 문화 경험의 개념과 유형 36 Ⅲ. 연구 방법 40 A. 연구 절차 40 B. 실험 참여자 42 C. 자료 수집 방법 및 도구 45 D. 자료 분석 방법 54 Ⅳ. 연구 결과 57 A.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 간의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 비교 57 B. 문화 경험의 유형과 정도에 따른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 비교 65 1. 직접경험의 정도에 따른 비교 65 2. 간접경험의 정도에 따른 비교 73 3. 직접경험과 간접경험 두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81 C. 소결론 84 Ⅴ. 결론 88 참고문헌 92 부록 1. 상황 설정 타당도 조사 설문지 97 부록 2. 본 실험 설문지 101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57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 경험에 따른 호칭어·지칭어 사용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using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according to Korean cultural experience of Chinese Korean learners-
dc.creator.othernameHong, Daeun-
dc.format.pagevii,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