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우지선-
dc.creator우지선-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0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2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2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05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외국인 유학생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선을 위하여 기존의 교재를 분석하여 쓰기 교재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외국인 유학생이 꾸준히 증가하고 그에 따라 학문 목적 한국어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학, 대학원에서 학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학업 과정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학문적 쓰기(academic writing)' 이다. 최근 학문 목적의 한국어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학문 목적의 쓰기 기능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가 높은 것은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기위한 필수적인 부분이기 때문이고, 평가 후 성적과 직접적인 관련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학문 목적 쓰기에 관한 수업과 학습의 비중이 말하기나 듣기 등의 다른 영역에 비하여 낮은 것이 현실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대학과 대학원에서 다양한 장르의 학문적 쓰기 활동에 직면해 있는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과 교재에 대한 연구는 지속과 발전을 거듭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쓰기 교재 개선을 위하여 학문 목적의 대학 한국어 쓰기 교재 5권과 교양 한국어 쓰기 교재 5권을 선정하여 총 10권의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기로 한다. 기존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교재의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교재를 분석하기에 앞서서 학문 목적 한국어와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학문 목적 한국어의 요구 분석에 관한 논의와 학문 목적 쓰기 교육 관련 연구에 관한 논의, 학문 목적 교재 개발에 관한 논의들에 대해 선행 연구를 고찰했다. 교재를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교재 평가 이론 및 분석 이론에 대한 연구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본 연구의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들을 분석할 때 필요한 분석 항목과 분석 기준을 세우는 데 참고하였다. 교재의 선정 기준 및 교재 분석 항목의 선정 기준을 세우고 그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하였다. 대상 교재의 선정 이유와 교재의 분석의 틀을 외적 구성의 측면과 내적인 구성의 측면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석 항목을 설정하고 각 항목에 관한 설명을 함께 제시하였다. 최근까지 개발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들의 외적·내적 구성 측면과 단원별 내용을 분석하여 교재별 특징을 살펴보고 분석한 교재들의 장·단점에서 보완해야 할 점을 모색해보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재는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수업이나 자습에서 학습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되어야 하므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의 동기를 극대화하고, 휴대가 어렵지 않아야 하며 다양한 부교재 및 구성물을 사용하여 학습의 능률을 올릴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다양한 전공을 고려하여 분야별 다양한 전공지식을 다룰 수 있는 주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어휘와 문법, 표현들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쓰기 활동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장르 중심 학습과 과정 중심 학습의 쓰기 활동이 적절하게 구성되어 학습자들이 완성된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장르별로 다양한 글쓰기 전략을 함께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자신의 완성된 글을 점검해 볼 수 있는 자가 점검 평가표나 동료와 교사에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을 담은 평가 점검표를 수록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학업에 필요한 쓰기에 대한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하나의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기존의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를 개선하고 쓰기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ing textbooks and to prepar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writing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writing Korean writing materials for improving the writing ability of foreign students. Currentl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has been increased steadily, and interest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has been increasing. Foreign students have a great deal of difficulty in studying at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nd academic writing is the most difficult part of the academic process. Recently, a lot of studies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have been conducted and researches reflecting the demand for writing function for academic purposes are continuing. This is because the learner's demand for writing is an integral part of successfully completing the study a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post-evaluation scores.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 propor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to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is lower than other areas such as speaking and listening. Considering that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face various genres of academic writing activities at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e study of academic writing and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should be continued and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writing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we selected the 5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written in the language institutes of the 5 universities and the 5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written as commercial, cultural publications in general publisher. We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10 textbooks. We analyzed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existing textbooks and presented desirable improvements of the textbooks. Prior to analyzing the textbooks, we reviewed in advan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bout the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and about the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lso, we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about the discussion of Korean needs analysis for academic purposes, about the discussion on research related to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nd about the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evaluate and analyze the textbooks, the study of evaluation theory and analytical theory of textbooks was examined and the analysis items and the analysis criteria needed for analyzing the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of this study were referred to. In order to establish criteria for selection of textbooks and analysis items for textbooks, existing studies were referred to. The reasons for selection of the textbooks and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the textbooks were divided into the aspects of external and internal composition, and each analysis item was set up and the explanation of each item was presented. We analyzed the external and internal compositional aspects of Korean writing materials for academic purposes developed until recentl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and looked for the points to be supplemented by the shortcomings and disadvantages of the analyzed textbooks.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to the desirable Korean writing textbook for academic purposes. The textbook should meet the needs of learners and be an effective tool for learners in class or self-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motivation of learners by encouraging learners' interest and it should not be difficult to carry around and improve learning efficiency by using various supplementary materials and constructs. In addition, it should include topics that can cover various field knowledge in consideration of diverse majors of academic purpose learner, and should include writing activities that can utilize vocabulary, grammar, and expression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writing activities of genre-based learning and process-oriented learning should be structured appropriately so that learn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complete the writing and various writing strategies by genre should be presented. It should also include a self-check evaluation table that can check completed texts for themselves and an evaluation checklist with criteria by which peers and teachers can receive feedback. It is meaningful that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help the improvement of writing skills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by suggesting ways to improve the textbooks required for foreign students' academic difficul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existing Korean writing materials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develop writing materia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 4 C. 논문의 구성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7 A. 이론적 배경 7 1. 학문 목적 한국어 7 2.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11 3.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 13 B. 선행연구 고찰 15 1. 학문 목적 한국어 관련 연구 15 2.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요구 분석 연구 16 3.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관련 연구 17 4.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19 C. 연구 문제 21 Ⅲ.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 22 A. 교재의 선정 및 분석 항목의 선정 22 B. 교재의 외적 구성 28 1. 대학 한국어 쓰기 교재의 외적 구성 28 2. 교양 한국어 쓰기 교재의 외적 구성 33 C. 교재의 내적 구성 37 1. 대학 한국어 쓰기 교재의 내적 구성 40 2. 교양 한국어 쓰기 교재의 내적 구성 55 D.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 결과 및 논의 69 Ⅳ.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선 방안 72 A.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선 방향 제언 72 B.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단원 구성 방안 75 1. 전체 단원 구성 76 2. 개별 단원 구성 79 C.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 개선의 교육적 효과 81 Ⅴ. 결론 83 A. 연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83 B. 한계점 및 제언 86 참고문헌 88 부록 1. 동료와 교사 피드백을 위한 평가 항목의 예 92 부록 2. 자가 점검을 위한 평가 항목의 예 94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240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쓰기 교재 분석과 교재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writing textbook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dc.format.pagevi, 97 p.-
dc.contributor.examiner송영빈-
dc.contributor.examiner이미혜-
dc.contributor.examiner김영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