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1 Download: 0

섬망 돌봄 교육이 해외 이주 돌봄 제공자의 섬망 돌봄 지식 및 수행에 미치는 효과

Title
섬망 돌봄 교육이 해외 이주 돌봄 제공자의 섬망 돌봄 지식 및 수행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Delirium care Education on Delirium care Knowledge and Practice of immigrant caregivers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주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nurse-led delirium-care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caregivers caring for postsurgery elderly patients on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delirium.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model. Participants were 55 immigrant caregivers—2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from one hospital in Seoul. The delirium-car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a 45-minute lecture, and it was applied individually. Knowledge of delirium was measured by an instrument developed by Jo Gwi-rae (2001)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eo Hui-jeong (2006; hereafter Jo/Seo) and an instrument on nurses’ knowledge of delirium developed by Lee Yeong-hwi (2007)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Won Jong-im (2011; hereafter Lee/Won). Jeong Ji-yeong (2013)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latter instrument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caregiver. The practice of delirium was measured by an instrument developed Jo Gwi-rae (2001)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eo Hui-jeong (2006; hereafter Jo/Seo) and later additionally by Park Yeong-suk (2011) and the instrument on nurses’care practice for patients with delirium that was developed by Yang Yeong-ae (2006; hereafter Park/Yang). Jeong Ji-yeong (2013)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latter instrument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caregiv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0 to discer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x2– test,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Study results follow: 1. Knowledge of delirium car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delirium care educ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8.38, p<.001). 2, The practice of delirium car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delirium care educ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0.78, p=.441). The delirium-care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s increased knowledge of delirium caring,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actice of delirium patient care. A modified and supplemented program accounting for the nature of immigrant caregivers will not only allow caregivers to provide quality care, it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xcellence of delirious patient care.;본 연구는 섬망 돌봄 교육이 해외 이주 돌봄 제공자의 섬망 돌봄 지식 및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서울시 Y구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해외 이주 돌봄 제공자 중 실험군 27명, 대조군 2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에게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Vancouver Island Health Authority(VIHA)에서 비의료인을 위해 제작한 섬망 교육 자료를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 및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고, 해외 이주 돌봄 제공자에게 예비 조사를 통해 받은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제작한 것이다. 교육 프로그램은 섬망 환자 경험 나누기, 섬망의 정의, 증상, 원인, 위험 요인, 치료, 돌봄 수행, 퀴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자가 간호부 세미나실에서 아이패드를 이용하여 티치백 방식의 개별 교육을 실시하였다. 섬망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섬망 돌봄 지식 및 수행에 관하여 사전·사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섬망 돌봄 지식은 조귀래(2001)가 개발하고 서희정(2006)이 수정ㆍ보완한 도구와 이영휘 et al(2007)이 개발하고 원종임(2011)이 수정ㆍ보완한 간호사 대상의 섬망 지식 도구를 기반으로 정지영(2013)이 요양 보호사 표준교재 및 돌봄 제공자 대상 교육 자료를 참고하여 돌봄 제공자 수준에 맞게 재수정ㆍ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섬망 돌봄 수행은 조귀래(2001)가 개발하고 서희정(2006)이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박용숙(2011)이 재수정ㆍ보완한 도구와 양영애(2006)가 개발한 간호사 대상의 섬망 간호 수행 도구를 정지영(2013)이 요양 보호사 표준교재 및 돌봄 제공자 대상 교육 자료를 참고하여 돌봄 제공자 수준에 맞게 수정ㆍ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x2– test와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섬망 돌봄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섬망 돌봄 지식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의 검증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8.38, p<.001). 2. 제 2 가설 ‘섬망 돌봄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섬망 돌봄 수행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의 검증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아 제 2가설은 기각되었다(t=0.77, p=.44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해외 이주 돌봄 제공자 대상의 섬망 돌봄 교육 프로그램이 섬망 돌봄 지식을 상승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나, 수행을 상승 시키는데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점점 늘어나고 있는 해외 이주 돌봄 제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들의 섬망 돌봄 수행을 상승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여 활용한다면, 해외 이주 돌봄 제공자들이 질 높은 섬망 돌봄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는 섬망 환자 간호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