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노인의 고독감

Title
노인의 고독감
Other Titles
Loneliness of Elderly : mediating model of Ego Integrity and Social Support and Difference of Gender
Authors
임정숙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preventing senior loneliness by establishing a research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of seniors living in community and related key variables. A causal relationship and mediation effect are investigated and gender difference is identified additionally. South Korea is facing various elderly problems due to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early retirement, which result in prolonged elderly life. Among many problems, increasing senior loneliness is a crucial problem as it is chronic unlike that of other age groups, and as it can cause serious mental and social problems as well. In order to maintain prolonged elderly life successfully, it is essential to prevent senior loneliness beforehand. Therefore, social concern and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concerned.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that consists of loneliness, social activity, health status, ego integrity, and social support. For the research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senior loneliness are health status, an individual factor, and social activity, a social relations factor. The mediating variables are ego integrity, an individual factor, and social support, a social relations factor. In additi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gender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difference of gender. In this study,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530 senior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nd participate in community care services and in social education program at Senior Welfare Service Center. Purposive sampling was done for 9 Senior Welfare Service Centre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for survey, which i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n, the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1 and AMOS 21. The following shows results of the analysis and main ideas. Firstly, senior loneliness was below average and male seniors showed higher loneliness than female seniors. Secondly, the analysis result of measurement model showed its goodness-of-fit value was in acceptable ranges. Also, its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secured, which means observed variables signify the concepts of each latent variable Thirdly, the analysis result of structural model shows its goodness-of-fit value is in acceptable ranges. A model using control variable also proved to have proper goodness-of-fit value, so control variable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Fourthly, It was proved that ego integrity and social support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older adults' loneliness, but on the other hand, social activity and health status did not. Social activity and health statu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ces on ego integrity and social supports respectively. Fifthly, ego integrity and social supports were shown to have indirect effects in regards to the rel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health status and loneliness. Also, separate mediation effect of ego integrity and social supports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s. Sixthly,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from the verification of gender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model.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showed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ffecting factors about female older adults' loneliness had significances, but it was not the case with male older adults' loneliness. Based on the results, conclusion and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consistent social attention and policies on older adults' loneliness are needed for older adults became vulnerable to loneliness as the society changed. Secondly, It was proved that older adults' ego integrity prevented them from feeling loneliness. Ego integrity is an affecting factor not only on the lives at old age but also on the acception of death, which makes developing it an important duty for older adults. Thus, various and specific programs to help improve older adults' ego integrity should be created and spread. Thirdly, it was proved that social supports are an important factor which kept older adults from feeling loneliness. As older adults age, they need more social supports. Thus, social and political efforts are needed to strengthen social supports for them. Fourthly, it was proved that older adults' loneliness and the affecting factors on it had gender differences. Particularly, profound understanding and attention for male older adults' loneliness are needed for male older adults were shown to be more vulnerable to loneliness compared to female older adults. Also, affecting factors on male older adults' loneliness were not found from this study, which requires more profound and multilateral exploration.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ly,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empirical data and an integrative model which explains the affecting factors on older adults' loneliness by verifying how social activity and health status have direct effects on older adults' loneliness and how ego integration and social supports exhibit mediation effects. Secondly, this study verified older adults' gender differences in rega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older adults' loneliness and the affecting factors and thus provided the grounds for specific intervention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고독감과 관련된 주요 변수들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고독감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조기은퇴와 평균수명의 연장 등으로 노년기의 삶이 길어짐에 따라 다양한 노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그 중에서도 사회의 변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노인의 고독감은 다른 연령대의 고독감과 달리 만성적이며, 심각한 정신적ㆍ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길어진 노년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노인의 고독감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독감, 사회활동, 건강상태, 자아통합감, 사회적 지지로 구성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즉,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개인적 요인으로 건강상태를 사회적 요인으로 사회활동을 제시하였고, 매개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인 자아통합감과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를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설정하여 성별의 차이에 따른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노인복지관의 사회교육프로그램 이용 노인과 재가복지서비스 대상 노인 5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ㆍ경기지역의 노인복지관 9곳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참여를 희망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비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집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1과 AMOS 21을 이용해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델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고독감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며, 남성노인의 고독감이 여성 노인의 고독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 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수용할만한 수준이며, 신뢰도 및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어 측정변수들이 각 잠재변수의 구성개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모형 분석결과 모형의 접합도가 수용할만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통제변수를 투입한 모형에서도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통제변수를 포함한 모형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넷째, 노인의 고독감에 대하여 자아통합감과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사회활동과 건강상태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사회활동과 건강상태는 자아통합감과 사회적 지지에 각각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활동ㆍ건강상태와 고독감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과 사회적 지지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통합감과 사회적 지지의 개별매개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연구모형에 대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에서는 여성노인의 고독감에 대한 영향요인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남성노인의 고독감에 대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 및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의 변화에 따라 노인은 고독감에 취약한 상태에 놓이게 됨으로 노인의 고독감에 대한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노인의 자아통합감은 고독감을 예방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아통합감은 노인의 과거와 현재의 삶뿐만 아니라 미래의 닥칠 죽음에 대한 수용까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노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이다. 따라서 노인의 자아통합감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고독감을 예방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더욱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기 위한 정책적ㆍ사회적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넷째, 노인의 고독감과 이에 대한 영향요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성노인이 상대적으로 고독감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탐색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활동ㆍ건강상태가 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자아통합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고독감의 영향요인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여 구체적ㆍ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둘째, 노인의 고독감과 영향요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노인의 성별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성별 특성에 따른 구체적인 개입에 대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