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0 Download: 0

국내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플레이 패턴 연구

Title
국내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플레이 패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laying Pattern of Korean Mobile RPG
Authors
김화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스마트폰(smartphone)은 다른 어떤 미디어보다 인간 신체에 밀접하게 결합해 감각, 경험, 인지를 확장하고 있다. 통화와 문자 메시지를 통한 간단한 의사소통 도구였던 휴대전화는 모바일 컴퓨팅 기술과 결합해 진정한 모바일 미디어 시대를 열었다. 이동 중(on the move)에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인해 사용자는 언제든 인터넷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스마트폰은 모바일 게임(mobile game) 장르의 성장을 야기했다. 스마트폰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던 전화기, 컴퓨터, 게임기가 결합된 융합형 모바일 기기이기 때문이다. 2016년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은 역할수행 게임(Role-Playing Game)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앱스토어(Appstore)와 플레이스토어(Playstore)에서 매출 순위 상위권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목록에 다수의 역할수행 게임이 포진하고 있다. 또한 TV에서도 유명인을 내세운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광고를 쉽게 접할 수 있다. 기존의 컴퓨터, 콘솔 플랫폼에서의 역할수행 게임이 오랜 접속으로 인한 깊은 몰입(immersion) 경험을 제공했다면 모바일 플랫폼에서 역할수행 게임은 기기 자체의 편재적인 특성으로 인해 캐주얼(casual)하면서도 강렬한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자동전투(auto-combat)라는 조작이 부재한 플레이와 일상과 융합될 수 있도록 분절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는 '매직 서클(magic circle) 안에서 발생하는 플레이어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이라는 플레이의 기본 개념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만든다. 이에 본 논문은 모바일 미디어가 가지는 플랫폼적인 특성에 주목하고, 역할수행 게임 장르 고유의 플레이 경험과 결합해 나타나는 국내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플레이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대상으로는 실시간 조작 방식의 <레이븐 with Naver(Raven with Naver)>, <영웅 for Kakao(Heroes)>, <히트(HIT)>를, 턴기반 조작으로 <별이 되어라! for Kakao(Dragon Blaze)>,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Summoners War: Sky Arena)>, <세븐나이츠 for Kakao(Seven Knights)>를 선정했다. 이들은 오픈 마켓에서 전체 어플리케이션 매출 순위에서 상위권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1년 이상 안정적으로 서비스 중인 게임들이다. 2장에서는 장르로서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특징을 밝힌다. 위치기반 게임(Location-based Game)과 캐주얼 게임(casual game)을 통해 플랫폼적 특징을, 역할수행 게임(role-playing game)의 전통의 연장선에서 장르적 특징을 살펴본다.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형식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특성이 조작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이에 게임의 입출력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크린(screen) 공간의 이중성을 규명하고, 게임 플레이에 있어 액션(action)을 세분화할 것이다. 이는 본격적인 게임 분석에 앞서 장르 전반에 대한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3장에서는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플레이 양상을 조작과 콘텐츠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에서는 콘텐츠에 따라 자동전투 기능의 지원 범위가 상이하며, 그에 따라 플레이 경험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역할수행 게임의 대표적인 특징인 성장 경험 역시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확장된다. 성장의 주체가 플레이어 캐릭터에서 플레이어가 소유한 개별 캐릭터와 아이템의 성능 향상, 퀘스트(quest)를 통한 게임 경험의 누적, 플레이어 스킬의 선택으로 나타난다. 플레이어는 퀘스트와 업적 시스템을 통해서 보상을 확보하고, 스킬 포인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분배하면서 계정 전체를 강화한다. 이러한 전략적인 놀이 경험이 바로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성장 경험인 것이다. 4장에서는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각 콘텐츠의 플레이 경험이 모바일 플랫폼과 맞물려 어떠한 패턴을 형성하는지 장르 전반을 아울러 도출한다. 게임의 콘텐츠는 성장을 위한 자원을 생성하는 자동형 콘텐츠와 집약적인 재미를 제공하는 조작적 콘텐츠로 양분된다. 미시적으로 다변화된 콘텐츠로 인해 플레이어는 각 콘텐츠에 적합한 레퍼토리를 구성해야 하기에 메타 정보를 적극 활용해 게임을 플레이한다. 이로 인해 역할수행 게임에서 '역할(role)'이 강조되던 플레이에서 '역할로 놀이하는(role-playing)' 형태로 변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이라는 일상적인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게임의 플레이는 자연스럽게 일상의 시간과 융합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은 비(非) 플레이어였던 바쁜 현대인을 플레이어의 영역으로 포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본 논문은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장르적 특수성을 도출해 플레이의 개념에 대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시도로서 의의가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mobile RPG playing in Korean Society. Recently, smartphon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human bodies to expand their sense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lthough mobile phones used to be simple communication tools through phone calls or text messages, a true mobile media era has opened as mobile phones are combined with the mobile computing technology in these days. Smartphones can be used on the move, allowing users to access the Internet anytime, anywhere, and to enjoy multimedia. In particular, smartphones have led to the growth of the genre of mobile games. This is because the smartphone is a convergent mobile device that integrates a telephone, a computer, and a game machine, which had previously existed separately. Korean mobile game market is rapidly increasing around Role-Playing Game. Appstore and Playstore have a lot of role-playing games at the top of the rankings, and people can easily get to know the famous commercials on TV. Compared to the role-playing game in the existing computer and console platforms has provided strong experiences of immersion due to long-term connections, role-playing game on the mobile platform provides casual yet intense play experiences due to the ubiquitous nature of the device itself. Particularly, auto-combat, which does not require operation, and the content provided segmentally so that play and daily life can be fused cast new questions about the basic concept of play, which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layer and the system that occurs in the magic circle. In this sense,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tform characteristics of mobile media and analyzes the pla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mobile role-playing games combined with play experiences unique to role-playing game genre. The specific research targets include , , , , , and based on turn-based manipulation. These games are the top-notch games in the open market and are stable in service for over a year. In Chapter 2, the features of mobile role playing games as a genre are analyzed. This study examines the platform characteristics through location-based game and casual game, as well as the genre features in the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role-playing games. In doing so, this study deduces the form of mobile role-playing gam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role-playing game occur in the operation. Therefore, it identifies the duality of the screen space where input and output of the game occur at the same time, and classifies the actions in the game play. This is a task to be undertaken in order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genre as a whole before analyzing the game in earnest. In Chapter 3, this study examines the play aspects of mobile role-playing game, which is derived from the mechanics of the game. Since the support range of auto-combat function of mobile role-playing games varies according to the contents, the play experiences vary as well. Moreover, the growth experiences, which ar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role-playing games, also expand on mobile platforms. The subject of the growth is manifested from the player's character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characters and items, the accumulation of the game experiences through quests, and the selection of player skills. The players obtain rewards through the quests and achievement system, and strengthen their entire accounts while distributing the player skill points in the desired direction. This strategic play experience is the growth experience of mobile role-playing games. In Chapter 4, the playing pattern of mobile role-playing game is drawn. The contents of the game are divided into automatic contents that generate resources for growth and operational contents that provide intensive pleasure. Due to the microscopically diversified content, the players should construct a repertoire that is appropriate for specific contents. A player who wants to enjoy the overall contents plays the game using meta information. In this process, the player feels even more pleasure with 'role-playing' than 'role' itself. Also,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everyday devices such as mobile, the game play naturally fuses with the time of everyday life. For this reason, mobile role-playing games have been able to embrace busy modern people, who used to be non-players, into the player's realm.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present new possibilities for identifying the concept of play by deducing the genre specificity of mobile role-playing ga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