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이은수-
dc.creator이은수-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59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5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9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92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생을 대상으로 실습소속감과 자아존중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간호대생의 실습 적응력을 키우고, 임상 실습 현장에서 학생 스스로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에서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대생으로 총 163명을 편의추출하여 2016년 9월 21일부터 2016년 10월 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로 실습소속감은 Levett-Jones 등(2009)이 개발한 간호 대학생이 실습지에서 경험하는 소속감을 측정하는 설문지인 Belongingness Scale-Clinical Placement Experience (BS-CPE)를 Kim과 Jung (2012)이 번안하고 적용한 한국판 실습소속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전병재(1974)가 적용한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은 Guglielmino (1977)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인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SDLRS)를 유귀옥(1997)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실습소속감은 평균 3.48±0.39점(5점 척도)이었으며, 자아존중감은 평균 3.66±0.52점(5점 척도), 자기주도학습은 평균 3.50±0.36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습소속감은 성별(t=-3.00, p=.003), 지역(t=-3.54, p=.001), 간호학에 대한 태도(t=2.74, p=.007), 변화에 대한 적응 정도(t=3.37, p=.001), 주 실습 지도자(t=3.17, p=.045), 실습 성적(F=3.92,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간호학에 대한 태도(t=2.65, p=.009), 변화에 대한 적응 정도(t=10.3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은 변화에 대한 적응 정도(t=2.26, p=.025)와 실습 조 인원(t=-2.33, p=.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연구대상자의 실습소속감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10, p<.001), 실습소속감과 자기주도학습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66, p<.001), 자아존중감과 자기주도학습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517,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β=.369, p<.001), 실습소속감(β=.290, p<.001), 5명 이상의 실습 조원(β=.154, p=.041)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자기주도학습에 대하여 35.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간호대생의 실습소속감 및 자아존중감, 자기주도학습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이 자기주도학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었다. 따라서 임상 실습 교육 시 간호대생의 자기주도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기 이해 및 수용을 높여주고, 실습 현장에서 간호대생의 소속감을 높이며, 5명 이상의 실습 조원으로 구성되도록 고려해야겠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belongingness and self-esteem on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1, 2016 to October 6, 2016 with 163 senior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lacement more than 1 year and lived in Seoul or Busan. The structured-questionnaire consist of a totally 88 items, which were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belongingness,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 program, which utili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belongingness was 3.48±0.39 and self-esteem was 3.66±0.52. The mean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3.50±0.36. 2. The level of belonging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ender(t=-3.00, p=.003), region(t=-3.54, p=.001), attitude of the major (t=2.74, p=.007), adjustment(t=3.37, p=.001), main clinical nursing instructor(t=3.17, p=.045), clinical practice grade(F=3.92, p=.01). The level of self-esteem was different from major attitude(t=2.65, p=.009) and adjustment(t=10.33, p=.001).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different from adjustment(t=2.26, p=.025) and members of clinical practice(t=-2.33, p=.026). 3. Belonging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r=.410, p<.001)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r=.466, p<.001).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r=.517, p<.001). 4. The elements that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such as self-esteem(β=.369, p<.001), belongingness(β=.290, p<.001), and 5 members of clinical practice(β=.154, p=.041), explained 35.2% of the self-directed learning(F=9.81,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belongingness,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Self-esteem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self-directed learning. Consequ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ek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for the education methods in the field of practical education which can enhance self-este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 고찰 7 A. 간호대생의 실습소속감과 자기주도학습 7 B. 간호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주도학습 10 Ⅲ. 연구 방법 14 A. 연구 설계 14 B. 연구 대상자 14 C. 연구 도구 15 D. 자료 수집 18 E. 자료 분석 19 F. 윤리적 고려 20 G. 연구의 제한점 2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1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B. 연구대상자의 실습소속감 및 자아존중감, 자기주도학습 정도 25 C.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습소속감 및 자아존중감, 자기주도학습의 차이 28 D. 연구대상자의 실습소속감 및 자아존중감,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35 E. 연구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37 Ⅴ. 결론 및 제언 41 A. 결론 41 B. 제언 44 참고문헌 45 부록 55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50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간호대생의 실습소속감과 자아존중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Belongingness and Self-esteem on Self-directed Learning-
dc.format.pagev,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